•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맨손무술의 변천 과정과 유형에 대한 스포츠인류학적 탐색 (A Sport-Anthropological Research on Change Process and Pattern of Chinese Unarmed Martial Art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12.12
31P 미리보기
중국 맨손무술의 변천 과정과 유형에 대한 스포츠인류학적 탐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스포츠인류학회
    · 수록지 정보 : 스포츠인류학연구 / 7권 / 2호 / 115 ~ 145페이지
    · 저자명 : 김용수, 박기동, 윤대중

    초록

    연구는 중국의 맨손무술이 시대별로 어떤 변천 과정을 거치면서 중국문화 속으로 스며들었는지 그 배경과 유형을 살펴봄으로써 중국 맨손무술에대한 스포츠인류학적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상고시대(上古時代) 제천행사(祭天行 事)의 무도(舞蹈)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민속놀이ㆍ유희(遊戱)의 형태와 수박(手搏) 등과 같은 맨손무술을 거쳐 무예(武藝)로 발전하게 되었다. 중국에서싸움기술이 보다 체계화되고 조직화되기 시작한 것은 전국시대(戰國時代)로접어들던 시기로 기격술(技擊術) 사용을 중시하였으며, 사병 선발을 위해 매년 봄과 가을에 ‘각시(角試)’를 실시하였다. 둘째, 진(秦)ㆍ한(漢) 시대 수박(手搏), 각력(角力), 각저(角觝) 등 격투 형식의 맨손무술이 나타났는데, 원초적인 격투술(格鬪術)이었다. 삼국시대(三國時代)는 상복(相扑), 교력(校力)이라는 말이 있었고, 후기에 무예(武藝)란 이름으로 격렬한 격투로 전환되어갔다. 한(漢)나라 때부터 각저(角觝)와 시합 성질을 띤 수박(手搏)이 있었으며, 위(魏)ㆍ진(晋)ㆍ남북조(南北朝) 시대는 각력(角力)이 지역마다 다양한 이름으로 등장하였다. 셋째, 수(隋)ㆍ당(唐)ㆍ송(宋)ㆍ원(元) 시대에는 민간 무술조직들이 많이 생겨났으며, 제(齊)ㆍ수(隋) 나라 때는 궁궐 안에 각저대(角觝 隊)를 두었다. 당대(唐代)에서는 수박을 수권(手拳)이라고도 불렀으며, 송대(宋代)에는 각저(角觝), 상박(相撲), 쟁교(爭交), 그리고 각력(角力)이라는 명칭으로 사용되었다. 넷째, 명(明)ㆍ청(淸) 시대 맨손무술은 내가권(內家拳)과 외가권(內家拳)으로 구분되는데, 내가권(內家拳)은 태극권(太極拳), 형의권(形意 拳), 팔괘장(八卦掌, 八卦拳)의 3권(拳)을 통칭하였으며, 외가권(外家拳)은 수박(手搏)ㆍ각저(角觝) 등 기존의 소림권법(少林拳法)등 이었다. 외가권(外家 拳)인 소림권법(少林拳法)은 복건성 소림사의 적파(嫡派)인 숭산(崇山) 소림사의 승려들과 민간인 사이에 전해진 권법으로 지역과 기술에 따라 다양한문파(門派)를 형성하였다. 다섯째, 중국 대륙을 횡단하는 양자강(陽子江)을경계로 북파무술(北派武術)과 남파무술(南派武術)이라 칭하며, 태극권, 형의권, 팔괘권, 태극권, 당랑권, 소림, 장권 등 여러 문파(門派)로 저마다 독특한특징의 기법으로 전수되었다. 여섯째, 중국 무술에서 맨손으로 실시하는 무술(武術)은, 중국 씨름으로 알려져 있는 솔각(摔角)과 금나(擒拿), 권법(拳法) 등으로 분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일곱째, 명(明)ㆍ청(淸) 시대 이후에는무술(武術)에서의 기술성, 건강, 흥미, 경기, 사상과 교육성 등 새로운 문화가치들을 맨손무술에서 찾으려 하고 있다. 전장(戰場)에서 화력 무기의 도입으로 인해 맨손무술은 호신술 내지는 무형 문화유산의 기능을 담당하게 되었으며, 특히 태권도(Taekwondo), 우슈(Wushu), 타이치차운(Taichichaun), 유도(Judo), 아이키도(Aikido)와 같은 맨손 무술은 그 심원(深遠)한 기교를인정받아 무술의 주요한 입지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러한 아시아 무술을 역사적인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은 잘못된 역사 지식을 바로잡음과 더불어 근ㆍ현대 무술을 이해함에 있어서도 훌륭한 지침서가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sport-anthropological basic data of Chinese unarmed martial arts by studying the pattern of Chinese unarmed martial arts and how they were changed. The conclusions are as shown below. First, ‘Mudo’ from religious services in ancient times was developed into folk games, or a sort of entertainment and into unarmed martial arts such as ‘Soobak’ and then into Mooyeah as time went by. the age of civil wars, in China, arts of fighting were systematized and organized. Using hitting skills(Gigyeoksool) were regarded as important and the military service examination called ‘Gagsee’ was taken to select private soldiers every spring and summer.
    Second, in Gin and Hahn Dynasty Periods, martial arts for combat such as Soobak, Gagyeok, Gagjeo etc. appeared but it was primitive.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the terms such as Sangbok and Kyogyeok were used, and later they were called Mooyeah and changed into fierce combas. from Hahn period, there were Gagjeo and Soobak which is a sort of tournament and in Yu, Gin and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Gagjeo appeared in many different names in every area. Third, in Su, Tang, Song and Yuan, private martial arts organizations were formed. In Su and Ze periods, there was Gagjeodae in the royal palace.
    In Tang period, Soobak was called Sookwon, and unarmed martial arts are prevalent and powerful and so it was called Tangsoo. In Song period, terms such as Gagjeo, Sangbak, Jangkyo, and Gagryeok were used. Fouth, in Ming and Ching periods, unarmed martial arts were divided into Inside Family martial arts and Outside Family Martial arts. Inside Family Martial Arts include Taegeukkwon, Palgaejang(Palgaekwon), and Hyoungeuikwon and Outside Family Martial Arts means original Sorimkwonbup. Sorimkwonbup, one strand of External Family, has been handed down to both the warrior monks Sungsan Shaoin Monastery, the main line of Fujian Shaolin Temple, and lay people through generations and, in meantime, has been developed into various sects in accordance with its region and techniques. Fifth, the Yangtze River running through Chinese Continents divided North faction from South faction and a lot of factions developed their own distinguishing features such as Taegeokkwon, Palgaekwon, Dangrangkwon, hyoungeuikwon, Sorim, Jangkwon etc. Sixth, martial arts exercising with no arms and also known as Chinese Wrestling classified as Solgak, Geumna and Kwonbup etc.
    Seventh, after Ming and Ching periods, new cultural values such as skills, health, interest, competitions, ideas, and the effect of education tried to be found in unarmed martial ar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스포츠인류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