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玄菟郡의 改編과 高句麗 -‘夷貊所侵’의 의미와 郡縣의 對應을 중심으로- (The reorganization of the Xuantu Commandery and Koguryo -Based on the meaning of ‘Koguryo's invasion’ and the responses by commanderies and prefecture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11.12
38P 미리보기
玄菟郡의 改編과 高句麗 -‘夷貊所侵’의 의미와 郡縣의 對應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64호 / 285 ~ 322페이지
    · 저자명 : 이성제

    초록

    이 글은 ‘夷貊所侵(고구려의 침입을 받아서)’의 의미를 검토하여 제2玄菟郡의 개편 내용을 살핀 것이다. 현도군은 지역적으로 이격해 있는 한반도 동해안과 압록강 중류의 두 지역을 하나의 권역으로 묶어 관할하였다. 이는 현도군의 개설이 매우 의도적인 것이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특정 세력을 관할했던 다른 3개의 군과는 판이한 양상이었다. 그 의도와 관련하여서는 遼東郡에서 나온 幹線이 沃沮縣에까지 이르게 되었다는 사실로 보아, 漢은 현도군을 개설하여 樂浪郡 朝鮮縣으로 연결되는 루트 외에 별도의 통로로서 한의 東方 진출에 필요한 또 다른 교두보를 마련하고자 했다고 이해된다.
    그러던 현도군의 중심(郡 治所)을 옮겨야만 했다는 점에서 ‘고구려의 침입’은 한의 동방전략 전체를 뒤흔드는 것이었다. 이에 대해서는 종래 한의 지배 아래 있던 고구려가 군현을 몰아낸 사실을 가리킨다고 보아왔으나, 고구려는 당초부터 군현지배의 대상이 아니었다. 고구려 중심지에 대한 발굴 조사 결과, 郡縣城의 존재가 부인되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또한 현도군이 고구려를 상대로 ‘互市’를 열었다는 것은 고구려가 군현 지배 바깥의 이민족이었음을 알려주기 때문이다.
    이에 ‘고구려의 침입’이란 경계 바깥의 세력인 고구려가 경계를 넘어 군현 영역을 침범해왔다는 사실을 가리킨다. 이는 ‘침입’이라는 표현에 부합되는 것이기도 하다. 한에 협조적이었다고 믿어지는 고구려가 태도를 바꾸었다는 것은 그 자체로 문제였지만, 군현의 입장에서 더 큰 문제는 영내에 거주하고 있던 고구려인의 존재였다고 믿어진다. 현도군의 45,000여 戶에는 이들이 포함되어 있어 유사시 군사력으로 동원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은 현도군의 개편을 통해 군현내 고구려인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고 군현 바깥의 고구려에 대응해야만 했던 것이다.
    구체적인 개편의 내용과 관련하여 제2현도군에는 현이 3개에 불과했다는 점에서 별도의 대응 장치가 필요하였다. 현도성의 증축이 있었지만, 그것으로 충분한 것은 아니었다. 遼寧省 撫順 일대의 漢代 烽燧線에 관심이 가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제2현도군의 街道를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요동군으로의 연결로 상에 자리잡고 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이 봉수선은 離隔해 있는 군현성 간의 사이를 메워주고, 경계 바깥 고구려의 침입 조짐을 살펴 인근의 군현성과 요동군에 전파하는 임무를 맡았다고 보인다. 특히 그 배치 양상이 조밀하다는 것은 현도군내 고구려인의 동향을 감시 통제하는 역할과 관련이 있다고 보인다. 끝으로 제2현도군 시기의 독특한 교섭방식인 幘溝漊는 교섭이 열리는 장소가 군현의 東界라는 양측의 경계지점이었다는 사실에 관심이 간다. 책구루는 군현 안팎 고구려인 간의 연결을 방지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군현 바깥의 고구려를 회유해야 했던 고충 속에서 나온 산물이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thesis is to review the meaning of ‘Koguryo's invasion’(夷貊所侵) and study the reorganization of the second Xuantu Commandery(玄菟郡). The Xuantu Commandery had jurisdiction over two regionally distant areas including the eastern coast area of Korea and the midstream area of the Amnok River(鴨綠江) as one district together. This shows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Xuantu Commandery was quite intentional and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3 other commanderies having jurisdiction over specific forces. With regard to this intention, a trunk line from the Liaodong Commandery(遼東郡) to the Okjeo Prefecture(沃沮縣) shows that the Han Dynasty established the Xuantu Commandery to prepare another a bridgehead required for advancing into the East as another passage besides a route connected to the Joseon Prefecture(朝鮮縣) in the Lelang Commandery(樂浪郡).
    ‘Koguryo's invasion’ had crippling impact on the Han Dynasty's whole strategies against the East since they had to move the center (Governing Office) of the Xuantu Commandery. This has been considered to indicate the fact that Koguryo previously governed by the Han Dynasty expelled commanderies and prefectures, but Koguryo was not governed by the commanderies and prefectures from the beginning. A result of excavation works on the central area of Koguryo indicates that the existence of commanderies and prefectures was denied. And also, Hosi(互市, trade center) established by the Xuantu Commandery for Koguryo shows that Koguryo was a group of immigrants not governed by the commanderies and prefectures.
    Therefore, ‘Koguryo's invasion' indicates the fact that Koguryo which was a force outside of the boundary crossed the boundary and invaded the territory of commanderies and prefectures. This also corresponds with the expression of ‘invasion'. For the Han Dynasty, Koguryo which was believed to be cooperative to the Han Dynasty changed its position against the Han Dynasty became an obstacle, but the bigger issue was the existence of Koguryo people residing inside of their territory of commanderies and prefectures. It's because these people were included in 45,000 households in the Xuantu Commandery and mobilized as the military force in case of emergency. Therefore, the Han Dynasty had to strengthen the control over Koguryo people in their commanderies and prefectures and also deal with Koguryo outside of their commanderies and prefectures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the Xuantu Commandery.
    With regard to the reorganization details, a separate countermeasure was required due to the fact that the second Xuantu Commandery had only three Prefectures. The Xuantu Commandery was extended, but it was not enough. It's why the Han Dynasty took an interest in beacon mounds near Fushun(撫順) of the Liaoning Commandery(遼東郡). These were located along the streets in the second Xuantu Commandery as well as on a link way to the Liaodong Commandery. These beacon mounds took a role of filling in the gaps between commanderies and prefectures, observing any sign of Koguryo's invasion and notifying the sign to neighboring commanderies and prefectures as well as the Liaodong Commandery. These densely arranged beacon mounds indicate their role of observing and controlling the movement of Koguryo people in the Xuantu Commandery. Lastly, it is very interesting that the place of Chaek-guru(幘溝漊) which was a unique trade method in the period of the second Xuantu Commandery was the boundary point between commanderies and prefectures called the eastern frontier(東界). Indeed, Chaek-guru was a result of the Han Dynasty's difficulties to prevent any link between Koguryo people inside and outside of their commanderies and prefectures and conciliate Koguryo outside of their commanderies and prefect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