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생후 3개월 미만의 영아에서 정상 담관, 간동맥, 간문맥 직경의 초음파 측정 (Ultrasonographic Measurement of the Diameter of a Normal Bile Duct, Hepatic Artery and Portal Vein in Infants Younger Than 3 Months)

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09.09
6P 미리보기
생후 3개월 미만의 영아에서 정상 담관, 간동맥, 간문맥 직경의 초음파 측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초음파의학회
    · 수록지 정보 : ULTRASONOGRAPHY / 28권 / 3호 / 167 ~ 172페이지
    · 저자명 : 김상윤, 이영석

    초록

    목적: 초음파 검사를 이용하여 생후 3개월 미만의 영아
    를 대상으로 간문맥 분지부에서 정상 담관, 간동맥, 간문맥
    의 직경을 측정하고, 상호간의 상대적 비율을 구하고자 한
    다.
    대상 및 방법: 임상 및 검사 소견 상 간담도계와 연관된
    이상이 없는 생후 3개월 미만의 영아 (평균 연령: 생후
    32.76 일) 50 명을 대상으로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다.
    간문맥 분지부에서 17-5MHz 선형 탐촉자를 이용하여 담
    관, 간동맥, 간문맥의 직경을 측정하였고, 상호간의 상대적
    비율을 구하였다. 담관, 간동맥, 간문맥 직경의 평균값에 유
    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
    (one-way ANOVA)을 수행하였고, 어느 측정변수 사이
    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기 위해 Scheffe 사후 검정을
    수행하였다. 세 변수 사이의 상대적 비율을 구하기 위해 담
    관 대 간동맥 비율을 간동맥/담관, 간동맥 대 간문맥 비율
    을 간문맥/간동맥, 담관 대 간문맥 비율을 간문맥/담관으로
    정의하였고, 각각의 평균 ± 표준 편차 (최소값~최대값)를
    - 171 -
    김상윤 외 : 생후 3개월 미만의 영아에서 정상 담관, 간동맥, 간문맥 직경의 초음파 측정
    구하였다.
    결과: 50명의 영아 모두에서 담관, 간동맥, 간문맥의 직
    경을 측정할 수 있었다. 정상 담관의 평균 직경은 0.85 ±
    0.19 mm (0.56~1.47 mm) 이었고, 간동맥은 1.33 ±
    0.31 mm (0.90~2.37 mm), 간문맥은3.32 ± 0.68 mm
    (2.06~5.08 mm) 이었다.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수행한 결
    과, 유의수준 5%에서 담관, 간동맥, 간문맥 각각의 평균 직
    경은 서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 0.001). Scheffe 사
    후 검정 결과 간동맥 직경은 담관보다, 간문맥 직경은 담관
    및 간동맥보다 각각 유의하게 크게 측정되었다. 담관 대 간
    동맥 비율은 1.60 ± 0.41 (0.77~2.66), 간동맥 대 간문
    맥 비율은 2.53 ± 0.69 (1.16~4.30), 담관 대 간문맥 비
    율은 3.93 ± 1.04 (2.08~6.60) 이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측정된 담관, 간동맥, 간문맥의 평균
    직경과 상호간의 상대적 비율은 소아 간담도계 초음파에
    유용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measuring the diameter of the normal bile duct,
    hepatic artery and portal vein with high resolution US in infants younger than 3
    months, and we wanted to determine the relative ratio of these diameters.
    Materials and Methods: Fifty US examinations were performed on infants younger
    than 3 months and who did not have any clinical or laboratory abnormality associated
    with the hepatobiliary system. We measured the diameter of the bile duct, hepatic
    artery and portal vein at the level of the portal vein bifurcation with using 17-5 MHz US
    and we determined the relative ratios of these diameters. To evaluate the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diameter of the bile duct, hepatic artery and portal vein, we performed
    one-way ANOVA and Scheffe’s multiple comparison test. To determine the relative
    ratio of these diameters, the ratio of the bile duct to the hepatic artery was defined as
    the hepatic artery/bile duct, the ratio of the hepatic artery to the portal vein was defined
    as the portal vein/hepatic artery and the ratio of the bile duct to the portal vein was
    defined as the portal vein/bile duct. We calculated the averages ± standard deviations
    of this data (minimum ~ maximum).
    Results: In all fifty infants, the bile duct, hepatic artery and portal vein were
    detectable and measurable. The average diameter of a bile duct was 0.85 ± 0.19
    mm (0.56 ~ 1.47 mm), it was 1.33 ± 0.31 mm (0.90 ~ 2.37 mm) for the hepatic artery
    and 3.32 ± 0.68 mm (2.06 ~ 5.08 mm) for the portal vein. The diameter of these
    structur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one-way ANOVA (p
    < 0.001). The average diameter of the hepatic artery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the bile duct and the average diameter of the portal vein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bile duct and hepatic artery on Scheffe’s multiple comparison test. The relative
    ratio of the bile duct to the hepatic artery was 1.60 ± 0.41 (0.77 ~ 2.66), that of
    the hepatic artery to the portal vein was 2.53 ± 0.69 (1.16 ~ 4.30) and that of the bile
    duct to the portal vein was 3.93 ± 1.04 (2.08 ~ 6.60).
    Conclusions: The diameter of the normal bile duct, hepatic artery and portal vein
    measured in this study and the relative ratios of these structures could be a useful reference
    for the US evaluation of infants who are suspected of having hepatobiliary disea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ULTRASONOGRAPHY”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