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데올로기적 환상과 실재 - 코맥 맥카시의 『로드』를 중심으로 - (Ideological Fantasy and the Real in Cormac McCarthy’s The Road - A Zizekian Approach -)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16.05
35P 미리보기
이데올로기적 환상과 실재 - 코맥 맥카시의 『로드』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 / 61호 / 223 ~ 257페이지
    · 저자명 : 안상연

    초록

    코맥 맥카시(Cormac McCarthy)의 『로드』(The Road)는 현대사회에 대한불안과 공포로 가득 찬 현대적 주체가 가진 위기의식을 잘 반영한 작품이다.『로드』에 대한 종전의 비평들은 이 작품에 나타난 현대 문명의 종말론적 비전을 중심으로 이 작품을 포스트 묵시록 장르로 규정하지만, 이는 『로드』라는 작품이 지닌 포스트모던적 특성을 간과한 해석이다. 『로드』 는 오히려 여행 문학의 감성이 돋보이는 작품으로 남자와 소년이 ‘로드’ 를 따라 여행하며 겪게 되는 이질적 세계에 대한 탐구가 주된 서사를 이룬다. 주인공들이 여행하는 ‘로드’는 실제(reality)와 실재(the Real)의 경계조차 흔들리는 곳으로 생존자들은 환상의 빛이 제거된 깊은 어둠 속에서끝까지 살아남기 위해 생존과의 처절한 싸움을 시작한다. 『로드』에 나타난 깊은 어둠으로 제시되는 장소들은 물리적 장소가 아닌 의미화와 상징화의 과정이 파괴된 슬라보예 지젝(Slavoj Zizek)의 “실재의 사막”(the desert of the Real)과도 같은 공간이다. 이름이 없는 남자와 소년, 그들은 “실재의 사막”에서 생존하기 위해 거부할 수 없는 이데올로기적 환상의 상징인 “불”을 가슴에 품으며 상징적 주체로 탄생한다.
    『로드』의 생존자들이 보여주는 생존의 딜레마는 이데올로기적 환상의 작동 방식에 숨겨진 비밀을 파헤칠 실마리를 제공해주며 “상징적 주체” (symbolic subject)의 탄생 이면에 감춰진 “존재”(being)의 죽음에 대한 이중성을 제시한다. 주인공들은 ‘로드’를 따라 펼쳐지는 여행을 통해 매혹적 카리스마로 다가오는 이데올로기적 환상이 만들어낸 휘장 뒤에 가려진 불안정성, 불가능성, 틈과 균열의 실재를 경험한다. 본고의 연구목적은지젝의 이론적 틀을 바탕으로 『로드』를 포스트모던 여행 문학 장르로 규정하고 이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이 작품이 기존 포스트 묵시록 소설이제시해왔던 디스토피아적 상상력을 넘어서는 작품임을 밝히며 이데올로기적 환상에 감춰진 실재와의 조우의 가능성을 열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Road by Cormac McCarthy is frequently associated with the tradition of post-apocalyptic novel as well as the sense of the ending in the aftermath of the world’s collapse. Most scholars regard the barren and devastated space represented in The Road as a geographical as well as physical one destructed by natural disasters or any tangible attack such as a nuclear war or an alien invasion. From the contemporary point of view, however, where the boundaries between reality and the Real become blurred, the space of The Road is the space of the Real, void of symbolic order and ideological fantasy.
    With regard to the protagonists, an unnamed man and his son traveling in the disparate world - in Zizekian terms “the desert of the Real” - The Road fits best in the genre of journey literature. Along the journey of the road, they begin to fight for survival and learn how to survive in order to enter the symbolic and to escape from the Real. The father, unlike other survivors in the road, begins to function as a Lacanian “(Name of the) Father” to his son. After the suicide of his wife, feeling keenly the necessity of the ideological fantasy, he tries to inculcate the ideological fantasy and symbolic order such as “carrying the fire” and the ethics of “a good guy” in his son’s mind.
    According to his Father’s words, the boy tries to “carry the fire” and to be “a good guy”. At the end of the novel, after his father’s death, the boy finally becomes a member of the family who he thinks carries the fire and continues his journey in search of hope. Becoming a new family member symbolizes that the boy becomes a symbolic subject who keeps the ideological fantasy and adds absolute value to his Father’s words, which control the boy’s unconsciousness. This fact can be explained in the Lacanian “alienation” which the symbolic subjects are to undergo in order to enter the symbolic, since the birth of a symbolic subject dominated by the Father’s words and ideological fantasy is accompanied by the death of a “being”. Consequently, the symbolization of “maps and maze” presented in the last page secretly reveals the truth of the Real hidden behind the ideological fantas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