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지 맥아피 맥큔(George McAfee McCune)의 생애와 한국 연구 (The life of George McAfee McCune and his view on Korea)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18.06
30P 미리보기
조지 맥아피 맥큔(George McAfee McCune)의 생애와 한국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연구 / 181호 / 237 ~ 266페이지
    · 저자명 : 김서연

    초록

    본 논문은 조지 맥아피 맥큔의 생애 및 그의 한국 연구에 대해 고찰했다. 맥큔은 ‘선교사 2세’로 태어나 최초로 한국을 학문적으로 연구했으며, 태평양전쟁기 미국 내 걸출한 한국문제 전문가로 불렸다. 또한 그는 전후 미국의 대학에서 한국학을 처음으로 육성한 인물이었다. 선교사 2세들은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능통해 한국과 관련을 맺은 다른 외국인들보다 특수하고 다층적인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고, 태평양전쟁기 미 정부기관에 근무하던 ‘극동 전문가들’의 대한인식과는 사뭇 다른 노선을 취했다. 또한 미국에서 한국 관련 연구로 학위를 취득한 최초의 인물들로, 미국 제도권 학계에 한국학이 처음으로 등장할 수 있는 발판을 제공했다. 선행 연구들은 인물 연구에서 필수적이라고 여겨지는 맥큔의 생애를 완벽히 복원하지 못했고, ‘선교사 2세’ 집단에 대한 연구 역시 윗세대인 선교사들을 다루는 맥락에서 소략하게만 언급하였다. 하지만 맥큔으로 출발하는 선교사 2세 연구가 궁극적으로는 한국사에서 서구인들의 좌표를 규정하는 작업의 기반이 되기 때문에 맥큔의 생애를 복원하는 것은 이 작업의 출발점으로써 의미를 지닌다. 이 글에서는 선교사 2세 집단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그 중심인물인 맥큔의 생애를 복원하고 그의 한국 연구를 분석하고자 했다.
    유년기 맥큔의 한국 경험은 짧았으나, 그에게 일본군국주의에 대한 강한 혐오감과 한국·한국인들에 대한 연민을 남겼다. 이에 더해 맥큔과 한국인들이 쌓은 친교 관계로 그는 기본적으로 한국인들이 신뢰 가능한 사람들이며, 이들의 잠재력에 대해 긍정적으로 전망했다. 한국에 대한 관심과 일본에 대한 문제의식은 그가 학위논문 주제를 선택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의 논문은 새로운 주제와 참신한 자료를 바탕으로 집필되었지만, 기존 학자들의 논의 범위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못했다. 서구에서 한국학이라는 것이 전무했던 시기 맥큔의 연구는 시대적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맥큔의 학문적 시도는 단지 관찰자로써 한국을 바라봤던 기존 극동 연구자들의 노선과는 그 깊이에서 분명한 차이가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studied George McAfee McCune's life and his view on Korea. McCune was born as ‘Second generation of missionaries’ and studied Korea academically for the first time. During the Pacific War, he was called as a leading expert on Korean affairs in the United States. He was also the first scholar to cultivate Korean studies in universities in postwar period.
    ‘Second generation of missionaries’ group was fluent i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so they had a special and multi-layered identity than other foreigners who had ties with Korea, and he took a different line from the perception of 'Far East experts' in U.S. government. They were also the first scholars to earn degrees in Korean-related studies in the United States, providing the American institutional academic community with a platform for Korean studies to appear for the first time.
    The preceeding studies did not fully explained McCune’s life and described ‘Second generation of missionaries’ group only in the context of missionaries who first got to Korea before his period. However, restoring McCune’s life as a starting point is a significant footstep for the work which will ultimately forms the basis for defining the coordinates of Westerners in Korean history.
    Although his childhood in Korea was not really long, he left a strong hatred of Japanese militarism and sympathy for Koreans. In addition, the friendship between McCune family and Koreans has given him a positive view of the potential of Korean people, who are basically reliable. McCune’s interest in Korea and awareness of issues in Japan have motivated him to choose the subject of his thesis. His thesis was not only based on new topics among the historians in the same period but also based on new materials from Korea. But they could not gone out of the scope of the existing scholars’ discussion. At a time when there was no Korean studies in the West, his research was bound to have a period of limitations. Nevertheless, his academic endeavors were clearly different in depth from those of established Far Eastern researchers who prospected at Korea as an observ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