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맥(靑脈)』 혹은 실종된 유산들의 아카이브-1960년대 중반 통일 담론을 중심으로- (Chungmaek(靑脈), or an Archive of Missing Legacies —A Focus on the Unification Discourse in the Mid-1960s—)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20.11
40P 미리보기
『청맥(靑脈)』 혹은 실종된 유산들의 아카이브-1960년대 중반 통일 담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사이間SAI / 29호 / 75 ~ 114페이지
    · 저자명 : 장세진

    초록

    『청맥靑脈』 1964년 한일국교정상화 반대 운동(6.3)의 국면에서 창간된 교양 잡지였다. 이 논문은 『청맥』을 매개로 4.19 시기 통일 논의들이 어떤 양상으로 1960년대 중반의 공론장에서 다시금 전유되며 소환되었는지, 또한 4.19시기와는 어떤 차이를 보이며 새롭게 담론의 구조와 내용을 변모, 쇄신시켜 나갔는지 그 양상을 살펴보려 한다. 『청맥』을 1960년 시민혁명이 탄생시킨 담론 상의 적자로 볼 수 있는 것은 이 잡지가 4.19의 주역인 ‘청년’이라는 기호를 적극적으로 전유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특히, 『청맥』은 4.19 직후 가장 혁신적인 특징을 보였던 통일 부문의 담론을 보존한 일종의 사회적 아카이브 역할을 담당하면서, 1960년대 중반의 국제‧국내 환경이라는 새로운 변수와 제약 조건 아래서 통일 논의의 외연과 내포를 꾸준히 업데이트 해나간 실험적 지면이었다. 이 논문에서는 4.19 시기 대표적인 시민사회의 두 가지 통일론(남북협상론, 중립화통일론)이 『청맥』이라는 지면을 통해 어떻게 당국의 검열과 법적 제재를 피해가며 스스로를 갱신하면서 새로운 담론적 시도를 선보였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알 수 있는 것은 이 잡지가 다극화된 냉전의 국제 정세와 제3세계 민족주의의 흐름을 꾸준히 업데이트 하는 가운데 ‘평화’라는 개념을 자신의 전략적인 캐치 프레이즈로 삼았다는 사실이다. 평화는 통치 권력의 근대화 개념을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통일을 논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큰 개념이었다. 『청맥』은 이처럼 평화 개념의 토대 위에서 (민족) 주체성을 강조하는 한편, 동시에 세계시민과 영구 평화 사상을 통해 민족주의의 배타성을 넘으려고 시도했다.

    영어초록

    Chungmaek(靑脈) was a culture magazine founded in 1964 when people were protesting the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which occurred on June 3rd) This study examined Chungmaek to determine how the unification discourses of the April 19 Revolution period were brought into the public sphere again in the mid-1960s and how their structure and content changed. Chungmaek can be considered a successor of the discourses that the 1960 civil revolution created because the magazine tried to possess exclusively the symbol of youth, the leading force behind the April 19 Revolution. Specifically, Chungmaek served as a kind of social archive that preserved unification discourses. Its most innovative features were seen after the April 19 Revolution. It was an experimental print media that steadily updated the denotation and connotation of the unification discourses despite the emergence of new domestic and international variables and constraints in the mid-1960s. This study examined how the two representative civil society unification theories that emerged during the April 19 Revolution period, the theory of inter-Korean negotiations and the theory of neutralization, were renewed and presented new discursive attempts through Chungmaek while avoiding censorship and legal sanctions by the authorities. The magazine strategically used the concept of peace as its guiding concept while steadily informing readers about the multi-polar Cold War and trends in third world nationalism. Peace was a concept through which unification could plausibly be discussed without denying the ruling power’s concept of modernization. As such, Chungmaek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national identities based on the concept of peace while attempting to overcome the exclusiveness of nationalism through the ideas of permanent peace and cosmopolitan citizenshi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