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金甁梅』와 영화 「시카고」의 ‘미녀에 의한 살인’ 서사 비교 - 여성 美에 대한 이중적 시선을 중심으로 - (Comparison of the "Murder by Beauty" narrative between the novel "JinPIngMei" and the movie "Chicago")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23.08
19P 미리보기
『金甁梅』와 영화 「시카고」의 ‘미녀에 의한 살인’ 서사 비교 - 여성 美에 대한 이중적 시선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국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인문과학 / 84호 / 419 ~ 437페이지
    · 저자명 : 이서현

    초록

    본고는 명대 소설 『金甁梅』와 Rob Marshal 감독의 영화 『Chicago』에 등장하는 미녀 潘金蓮과 Roxie의 살인서사를 분석대상으로 삼았으며, 그녀들이 살인을 저질렀음에도 죄를 처벌받지 않는 과정에서 그녀들의 외적 아름다움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음에 주목하였다. 두 여인은 당시 여인에게 요구되었던 외적 아름다움을 모두 갖추고 있는 미녀들이었다. 반금련은 전족 중에서도 가장 최고로 평가받는 세치의 작은 발을 가지고 있었고, 록시는 금발의 백인에 코르셋을 연상시키는 무대복을 입고 대중의 관심을 끌었다. 전족과 코르셋은 여성의 신체를 억압하고 남성의 주시적 대상으로 만들어 남성에게 종속시키는 도구라는 점에서 동일하다. 반금련과 록시는 남성중심 사회에서 요구하는 외적 아름다움의 기준을 충족하여 많은 남성들이 그녀들을 욕망하였고 이로 인해 그녀들은 남성과 대중을 조종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녀들은 살인을 저질렀고 죄의식조차 없었으며 죄의 백지화를 위해 거짓과 배신을 일삼는다는 점에서 악마적인 요부로 묘사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반금련과 록시의 살인 서사를 분석하고 여성의 아름다움을 바라보는 양가적 시선과 태도를 밝히고자 한다.

    영어초록

    Ban Jin-Lian, the heroine of Ming dynasty novel "JinPingmei," and Roxy, the heroine of the movie "Chicago," were not punished for their crimes due to their beautiful appearance, despite clear evidence of their involvement in a man's murder. They are exceptional beauties who conform to the standards of beauty established by a male-dominated society. Men coveted their sexual appeal, and the public's attention was captivated by them. In the vulnerable position of women within traditional society, they actively utilized their beauty. They knew how to manipulate powerful and capable men through their attractiveness and sex appeal. Moreover, they were resolute in their desires and pursued them. Here, these two beauties face a contradiction. Externally, they meet the aesthetic criteria set by a male-centered society, but internally, they resist the norms of traditional society and strive to remain true to their own desires. Both Jin-Lian and Roxy refuse to conform to the role of submissive wives. They demand more rights than what is permitted in a male-dominated society and openly express their sexual desires. From the perspective of men, these women are seen as "destroyers of order" and the "roots of evil." Positioned in opposition to the sacred and sublime ideal of the "mother," these women are simultaneously desired and feared. Their actions are perceived to have had an impact, and this is where their individual coldness and cruelty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 "beautiful devil" charac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인문과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