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셜미디어 매개 매니페스토 정책선거 활성화 방안 (A Study of Activation Plan Policies Election Mediated Social Media)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12.07
36P 미리보기
소셜미디어 매개 매니페스토 정책선거 활성화 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당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정당학회보 / 11권 / 2호 / 189 ~ 224페이지
    · 저자명 : 조희정

    초록

    2006년부터 논의된 한국의 매니페스토는 선거문화, 후보자, 유권자의 지체 및 매니페스토 담론 자체의 정체적 . 도덕적 관점 때문에 발전되지 못하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매니페스토의 운동성을 강조하며 매니페스토 지체요인에 대한 구조와 행위자 측면에서의 비판과 외국사례의 시사점 도출을 통해 선거문화발전의 조건, 매니페스토 개념 재정립, 매니페스토 생산의 민주화, 매니페스토 콘텐츠 개선, 과학적인 평가체계 마련이라는 발전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참여 . 공유 . 개방의 가치를 내재하고 있는 신기술로서의 소셜미디어를 매니페스토 영역에 적용할 경우 매니페스토의 생산 . 홍보 . 평가모델이 구축될 수 있음을 논증한다. 생산모델에서는 유권자를 위임에서 책임의 주체로 부각시킬 수 있고, 정보공개에 기반한 정보의 민주성 확립 및 정치자본의 네트워크 구축 등 민주적 기술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매니페스토 홍보모델은 다차원적인 신기술을 활용하여 입소문과 관심이 형성하는 네트워크 홍보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매니페스토 평가모델의 경우는 구현 정도에 대한 상시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구조를 구축하여 시민들과 원활한 소통 구조 확립하고, 책임성 높은 매니페스토 생산 . 교육 .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매니페스토에 대한 평가는 추후 매니페스토 작성에 반영되며, 이 과정에서 매니페스토 작성자와 평가자의 소통을 통한 정치참여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셜매니페스토의 활성화를 통해 시민 중심성, 생산성, 지속성의 정치문화과정에서의 가치를 회복하여 기존의 결과중심적이고 문화외면적인 선거풍토를 개혁할 수 있다는 것이 이 글의 민주주의적 시사점이다.

    영어초록

    Korean manifesto, which began to be discussed since 2006, has not advanced because of the underdevelopments of election culture, candidates, the electorate,and the perspective of polity and morality of manifesto discourse itself.
    Existing studies have emphasized the mobility of manifesto and suggested the conditions to develop election cultures, the re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manifesto, the democratization of the process of producing manifesto, the improvement of manifesto contents, and the establishment of scientific estimation system, through critiques from the aspects of structure and actors on the delay factors, and lessons derived from foreign case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production PR estimation model of manifesto could be established if social media, understood as a new technology inherent in the values of participation sharing openness.
    By the production model, it can bring the electorate into the fore not as the subject of delegation, but as the subject of responsibility.
    The manifesto PR model can effectively advertise networks that form word-ofmouth and interests by utilizing a multi-dimensional new technology.
    The manifesto estimation model aims to establish structures that can constantly estimate the degree of its realization, to build up smooth communication structures with citizens, and to produce/educate/estimate highly reliable manifesto.
    The estimation for manifesto is reflected in the next process of making manifesto,and it is expected in this process that the invigorat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could be done through the communications between manifesto writers and estimators.
    Through the invigoration of social manifesto that would restore the values of the process of political culture such as the centrality of citizen, productivity,and durability, this study suggests, it could be possible to reform existing election environments, which are results-oriented and culture-disregard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