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梅山 禮說에 대한 一考察 -『梅山先生禮說』 「通禮」를 통해 본 梅山의 宗統 傳承에 관한 인식- (Maesan(梅山) Hong Jik-pil(洪直弼)’s Theories on Rites: his understanding of lineage system appeared in his Rites in general(通禮) in Theories on Rites by master Maesan(梅山先生禮說))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17.06
45P 미리보기
梅山 禮說에 대한 一考察 -『梅山先生禮說』 「通禮」를 통해 본 梅山의 宗統 傳承에 관한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古典硏究 / 34권 / 1호 / 117 ~ 161페이지
    · 저자명 : 이영준

    초록

    본고는 李鎭玉이 편찬한 『梅山先生禮說』 「通禮」의 綱 가운데에 宗法, 出後, 次養, 侍養, 攝祀 등의 항목를 통해 洪直弼의 宗統 傳承에 대한 인식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程朱性理學을 國是로 삼았던 조선조에서 종통의 전승에 관한 예법인 ‘종법’은 사회를 유지하는 기초 질서였는바, 이는 매산의 예설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매산은 家系의 승계에 있어서 기본적으로 次子가 아닌 嫡長子로 종통을 이어가야 한다는 원칙을 강력하게 고수하고 있다. 하지만 부득이한 상황에서는 옛법을 고려하여 차자에게 傳重하는 것을 인정하기도 하였다. 또 嫡庶의 구별에 있어서는 嫡子와 庶子의 구분을 엄격히 해야 한다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지만, 천륜 관계를 배제하지 않아서 서자가 부친과 적자인 아우의 喪을 주관할 수 있다고 보았다. 특히 서자가 집안의 嫡統을 계승하는 문제에 대해, 직접적인 혈연관계가 없는 族子를 양자로 들이기 보다는 핏줄이 직접 닿아 있는 서자를 후사로 세우는 것이 국법에서도 허락하는 바이고 禮經에도 근거가 있는 바이며 人情에도 부합하는 바임을 들어서 그 타당함을 밝혔다. 本生家에 대해서는 그 屬稱과 예법을 所後家와 엄격히 구별하여 차등을 두어야 한다는 원칙을 고수하였다. 다만 인정을 참작하여 本生父母의 墓道文字 등에서는 자신을 ‘不肖從子’라고 칭하여 여느 伯ㆍ叔父母와 다름을 보이면서도 본생부모에 대한 사사로운 정을 펴는 것이 옳다고 보았다. 次養과 侍養에 대해서는 세속에서 시행되고 있기는 하지만 예법에 없는 것임을 밝혀 원칙적으로는 불가하다고 주장하였다. 다만 시양은 길러준 인정을 고려하여 시양손의 당대에 제사를 지내는 것까지는 허용해야 한다고 보았다.
    매산은 예법을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 판단할 사안이 발생하였을 때에 항상 ‘經’이라는 원칙을 우선하면서 人情과 實情을 함께 고려하였다고 할 수 있다. 원칙적인 예법을 고수하는 가운데에 人情을 참작하여 ‘變通’의 방법을 제시해주고 있는바, 이는 經의 범주 안에서 알맞은 길을 찾은 것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관점은 그의 종통 전승에 관한 예설 저변에 일관되게 깔려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surveys Hong Jikpil’s understanding of lineage system through his 梅山先生禮說(Theories on Rites by master Maesan) compiled by Yi Jinok(李鎭玉), especially focused on the items of 宗法, 出後, 次養, 侍養, 攝祀 of its 通禮(Rites in general). In Joseon dynasty which adopted Neo-Confucianism as a national policy, it was lineage system which maintained public order rightly and it was same to Hong Jikpil.
    Hong strongly kept the principle of succession by the eldest legitimate son(嫡長子), however he also allowed succession by the second legitimate son in unavoidable circumstances accounting the old rituals. He maintained the principle of the strict distinction between legitimate and illegitimate lines of descent, but he, on the other hand, also admitted that a illegitimate son could hold a funeral of his father and legitimate sons which meant that he did not break moral laws of family relationships. He also regarded succession by a illegitimate son as appropriate rather than adopting a relative who had no blood relationship in respect that first, it was permitted by national law; second, it was based on Classic of Rites; and third, it was appropriate to human feelings.
    As to the title and rituals for the original family of adopted son(本生家), he kept the principle of rigid distinction between the original family and the family he adopted(所後家). But he asserted that one should share one’s natural feeling to one’s original parents that he called himself as an ‘unworthy’ nephew in the epitaph of his original parents which showed the distinction between the original parents who as a result had become an uncle and aunt, and the ordinary uncle and aunt. As to the second adopted son(次養子) and an adopted son regardless of succession(侍養子), he insisted that they are in principle illegal according to ancient ritual though they were widely accepted and conducted among people. He added however, 侍養子 could hold a memorial service for his adoptive parents. He believed that this would be appropriate to human feelings.
    It is presumable that Hong gave priority to the principle of JIng(經) while considering human feelings and the realistic situation when a judgement on theories on Rites was needed. He on the one hand strongly kept the ideal theories on Rites, and on the other hand suggested the way of 變通(accommodating to circumstances) which was the result of consideration of human feelings. It is assumable that this standpoint which compromises the ideal with the reality underlies his understanding of lineage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