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종속형’ 인터넷 신문기사의 명예훼손에 대한 법적용을 통해 본 정보통신망법 명예훼손죄의 해석론 및 대법원 판례의 주요 쟁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Über Auslegungen der Cyber Ehrverletzung durch Ehrverletzung des ‘Abhängiges' Internet Zeitungsartikel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9 최종저작일 2011.08
29P 미리보기
‘종속형’ 인터넷 신문기사의 명예훼손에 대한 법적용을 통해 본 정보통신망법 명예훼손죄의 해석론 및 대법원 판례의 주요 쟁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52권 / 3호 / 137 ~ 165페이지
    · 저자명 : 신영호

    초록

    각 신문사가 오프라인상의 신문기사의 내용 그대로 인터넷 정보통신망을 통하여 올리는 이른바 ‘종속형’ 인터넷 신문기사는 인터넷 정보통신망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온라인상의 ‘정보통신망법(사이버) 명예훼손죄’의 적용을 벗어날 수 없다.
    이에 비해 오프라인상의 신문기사에 의한 명예훼손은 일반 명예훼손죄(형법 제307조)에 비하여 가중된 구성요건인 ‘출판물등에 의한 명예훼손죄’(형법 제309조)의 전형으로 다루어진다.
    하지만 양죄는 일견 구성요건이 거의 동일하게 보이면서도, (특히 필자의 관점에서는) 그 체계와 본질, 그리고 법률효과가 상이하고 법적용 및 해석상의 적지 않은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으며, 또한 그러한 결과 비방의 목적, 위법성조각사유 등은 물론, 사이버 모욕행위 등에 대한 법적용 및 입법론 내지는 가중처벌의 가능성에도 많은 해석론의 차이를 가져온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차이를 가져오게 된 정보통신망법 명예훼손죄의 적용에 관한 필자의 여러 가지 의문점들, 즉1) ‘종속형’ 인터넷 신문기사에 의한 명예훼손은 정보통신망을 이용했지만 출판물등에 의한 명예훼손죄(형법 제309조)가 적용되어야 하지 않은가 하는 의문,2) 2001.1.16. 「정보통신망이용촉진등에관한법률중개정법률안」(대안)으로 정보통신망법 명예훼손죄가 탄생한 입법당시의 처벌근거는 무엇인가?3) 인터넷 환경에서 익명의 개인정보생산 때문에, 특히 강도 높은 표현의 광장을 ‘공공의 광장’에 멍석처럼 미리 깔아 논 특수한 사정이라면 오히려 형의 가중이 아닌 형의 감경이 이루어져야 하지 않는가 하는 의문,4) 사이버 명예훼손적 행위 등에 관한 대법원 판례의 기본적 태도는 무엇인가?5) ‘비방의 목적’과 ‘공공의 이익’에 관한 대법원 1998.10.9. 선고, 97도158 판결의 타당성에 대한 의문,6) 표현촉진체인 인터넷에서는 정보통신망법 명예훼손죄는 독립된 구성요건으로 비방의 목적이 없으면 제307조의 명예훼손이 성립할 수 없다고 보는 것이 상식적으로 타당하지 않는가 하는 의문 등을,그 기본맥락으로 하여 현행 법체계에서의 정보통신망법 명예훼손죄에 대한 분석적, 체계적 해석을 새로이 시도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대법원 판례의 주요 쟁점들을 비판적으로 재검토하였다.

    영어초록

    Eine Internet-Zeitung ist reguliert vom koreanischen Informations- und Kommunikationsnetzwerksgesetz. Da ‘Abhängiger’ Internet Zeitungsartikel substantielle Seiten des off-line Internet Zeitungsartikels widerspiegelt, er gilt für ‘Verletzung durch Verbreiten von Publikationen usw.’ (§309 kStGB)Aus dem Grund, daß Kommunikationsnetzwerk gegen Ehrverletzung des ‘Abhängiges’ Internet Zeitungsartikels benutzt wird, wenn ‘Zweck der Verleumdung’ steht nicht, obwohl es kommt darauf an, wie man es sieht, sie können zum einander widersprechenden Resultat der Schuld oder Unschuld gegen Ehrverletzung des gleiches Zeitungsartikels führen.
    Es scheint, daß das oberste Gericht Cyber Raum von Realitätswelt nicht unterscheidet und nicht verfassungskonforme, systematische Auslegung, sonderen nur strafende Stellung für Strafrechtsauslegung nimmt.
    Aber in Cyber Raum ist Umwelt des ehrverletzenden Unrecht schon gefördert worden wie das unbeschränkte Verlangen nach Ausdruck.
    Charakter als selbständiger Tatbestand in Cyber Ehrverletzung kann Milderungsfaktoren beeinflussen.
    Beziehung der Meinungsäußerungsfreiheit zu Cyber Ehrverletzung ist die der Grundsatz der Großten Garantie zu Ausnahme. Daher wird Cyber Ehrverletzung selbständiger Tatbestand und ohne Zweck der Verleumdung können nicht Ehrverletzung des §307 kStGB zustande kommen.
    Obwohl Cyber Ehrverletzung qualifizierter Tatbestand ist, Grundgedanke des §310 kStGB ist das, was Zweck der Verleumdung steht nicht, wenn Cyber Ehrverletzung nur öffentliche Interessen betrifft. Aber wenn es nur öffentliche Interesse betrifft nicht, es ist schwer zu sagen, daß Zweck der Verleumdung steht nicht, selbst wenn Zweck der Verleumdung koexistent oder gehörig ist.
    Insbesondere in Cyber Raum wegen der Unklarheit der Verteilung der Information Produzent und Konsumer, obwohl es nicht Persönlichkeit des öffentlichen Lebens betrifft, wenn Privatpersonen Information Produzenten werden, im Vergleich mit Massenmedien ist Zweck der Verleumdung schwer zu vermuten ihnen einseiti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2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