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安養 望海庵 石造如來立像 硏究 - 銘文과 樣式의 編年 不一致를 中心으로 (A Study on the Stone Standing Buddha of Manghaeam Hermitage, Anyang: Focused on the Discrepancy between the Inscribed Date and Style)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21.12
23P 미리보기
安養 望海庵 石造如來立像 硏究 - 銘文과 樣式의 編年 不一致를 中心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사학 / 56호 / 91 ~ 113페이지
    · 저자명 : 황이연

    초록

    경기도 안양시에는 고려시대 이래 다수의 사찰이 건립되었고 현존하는 불교문화재의 수도 적지 않다. 그중 관악산에 인접한 삼성산 망해암에는 높이 약 3.4m의 석조여래입상이 있다. 하반신 일부가 전각의마룻바닥 아래에 감추어져 있던 이 상의 보개 하단에는 “成化十五年四月日造成”이라는 명문이 있어 조선성종 10년(1479)에 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었는데, 근래 불상의 회칠을 벗겨내는 보존처리작업을 실행한결과 기존에 알려져 있던 것과 판이한 조성 당시의 상호가 드러났다. 추가적인 조사를 위해 마룻바닥을탈거한 결과 연화문이 시문된 대좌까지 완전하게 남아 있는 여래입상임을 알게 되었다.
    망해암 석조여래입상의 상호와 착의법, 수인 등은 고려전기의 석불에 보이는 양식적 특징을 지니고있다. 즉 양감있는 상호 표현과 양 어깨에서 외반하는 U자 형태의 대의 주름, 왼손의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오른손 옷자락을 쥐듯 손가락을 구부리고 있는 수인은 고려전기에 중점적으로 조성되는 특징이다. 이는특히 고려전기에 새롭게 보이는 보살입상에서도 간취되는데, 신양식의 고려전기 보살입상이 미륵보살로인식된다는 점에서 역으로 망해암 석조여래입상 또한 미륵불로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망해암 보개에 음각된 명문이 가리키는 조선 성종대의 불상과 망해암 상은 양식적으로 매우 이질적이다.
    조선전기의 석불입상에 보이는 보개는 그 형태나 착용 방식에 있어 망해암 상과 매우 유사하나, 상호의표현이나 신체 비례, 수인과 옷주름의 조각 등에 있어서는 단순히 제작기술의 우열을 넘어서는 차이를 보인다.
    한편 망해암 상의 양식적 편년에 해당하는 고려전기에는 석불이 보개를 착용할 경우 불정과 맞닿는 보개하단이 연화문 등으로 장식되었다. 이와 같은 표현은 통일신라대의 석조미술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망해암 석조여래입상은 고려전기에 제작된 후, 1479년에 현재의 보개가 씌워졌을 것으로 보인다.
    추후 망해암 석조여래입상에 대한 정밀조사가 진행된다면 추가적인 양식 및 편년상의 특징에 더하여존상과 관련된 내용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In Anyang-si, Gyeonggi-do, many temples have been built since the Goryeo Dynasty,and the number of existing Buddhist cultural properties is not small. ManghaeamHermitage in Samseongsan Mountain, adjacent to Gwanaksan Mountain, has a 3.4mhigh stone standing Buddha. It was known to be produced in the 10th year of KingSeongjong (1479) of Joseon Dynasty, according to the inscription at the bottom of thechattra. However, as a result of removing the lime coating on the surface as well as thefloor, which was hiding a part of the lower body for further investigation, it was foundthat it was a standing Buddha statue that is completely preserved from the top to thelotus-patterned pedestal.
    The face, drapery, and mudra of the stone Buddha statue of Manghaeam Hermitagehave stylistic features seen in the stone Buddha of the early Goryeo Dynasty. In otherwords, the voluminous face expression, the U-shaped drapery that is turned inside outon both shoulders, and the mudra which makes a ring with thumb and middle fingerof the left hand and bends fingers like holding the hem of clothes with the right hand,is a feature that is mainly created in the early Goryeo Dynasty. Interestingly, the newtype of Bodhisattva statues in the early Goryeo Dynasty also shows that style. As thenew style of standing Bodhisattva in the early Goryeo Dynasty is recognized as MaitreyaBodhisattva, it is possible that the standing stone Buddha of Manghaeam Hermitage wasalso built as Maitreya Buddha.
    On the other hand, the time of the production in King Seongjong’s reign of Joseon, indicated by the inscription of the chattra, and the Manghaeam statue are very differentin style. The stone chattras of Joseon are very similar to the Manghaeam’s, in terms ofthe shape and the way of wearing. However, the facial expression, body proportion,mudra, and drapery show differences beyond just the superiority and inferiority ofmanufacturing technology. During Goryeo dynasty, when is believed to the periodof Manghaeam image’s production, the lotus pattern is appeared on the bottom of thechattra. This seems originated in the Unified Silla dynasty.
    Therefore, it seems that the standing stone Buddha of Manghaeam Hermitage wasmade in the early Goryeo Dynasty and was covered with the current chattra in 1479. Ifa detailed investigation is conducted on the stone statue of Manghaeam Hermitage in the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image’s iconography will be understood in addition to thestylistic and periodical feat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