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례기반 추론기법과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서비스 수요예측 프레임워크 (A Hybrid Forecasting Framework based on Case-based Reasoning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2.12
15P 미리보기
사례기반 추론기법과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서비스 수요예측 프레임워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능정보연구 / 18권 / 4호 / 43 ~ 57페이지
    · 저자명 : 황유섭

    초록

    제조업에 있어서 판매 후 서비스 건수와 내용 등은 향후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자원배분의 효율성 증진과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정보이다. 따라서 기업들은 향후 발생하는 판매 후 서비스에 대해 정확히 예측하고 그에 따라 적절히 대처하는 능력을 확보할 필요성이 제조업을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이들 기업들이 활용하고 있는 서비스 수요예측 방법들은 전통적인 통계적인 예측기법이거나, 시뮬레이션을 기반한 기법들이다. 예를 들면, 전통적인 통계적인 예측기법으로는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의 경우, 다양한 제품모델에 대한 판매 후 서비스 발생 패턴이 선형적인 관계가 매우 적음에도 불구하고 선형으로 가정하여 추정한다는 점과 적정한 회귀식을 가정하여야 되며, 이러한 가정이 실제 경영환경에서는 매우 어렵다는 점 등이 기존의 예측기법들의 한계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TV 모델을 생산․판매 하는 A사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최근 인공지능연구에서 각광을 받고 있는 사례기반추론(case-based reasoning; CBR) 기법을 활용한 서비스 수요예측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사례기반추론에서 핵심적인 역할 중 하나인 유사 사례추출 방법에 있어서 가장 일반적인 nearest-neighbor 방법 이외의 유사 사례추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유사 사례추출 방법은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을 활용한 자기조직화지도(Self-Organizing Maps : SOM) 군집화 기법을 활용한 유사 사례추출 방식으로 이를 활용한 서비스 수요예측 프레임워크에 구현하고, 실제 기업의 판매 후 서비스 데이터를 활용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서비스 수요 예측 프레임워크의 유효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o enhance the competitive advantage in a constant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an enterprise management must make the right decision in many business activities based on both internal and external information. Thus, providing accurate information plays a prominent role in management’s decision making. Intuitively, historical data can provide a feasible estimate through the forecasting models. Therefore, if the service department can estimate the service quantity for the next period, the service department can then effectively control the inventory of service related resources such as human, parts, and other facilities. In addition, the production department can make load map for improving its product quality. Therefore, obtaining an accurate service forecast most likely appears to be critical to manufacturing companies.
    Numerous investigations addressing this problem have generally employed statistical methods, such as regression or autoregressive and moving average simulation. However, these methods are only efficient for data with are seasonal or cyclical. If the data are influenced by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product, they are not feasible. In our research, we propose a forecasting framework that predicts service demand of manufacturing organization by combining Case-based reasoning (CBR) and leveraging an unsupervised artificial neural network based clustering analysis (i.e., Self-Organizing Maps; SOM). We believe that this is one of the first attempts at applying unsupervised artificial neural network-based machine-learning techniques in the service forecasting domain. Our proposed approach has several appealing features:(1) We applied CBR and SOM in a new forecasting domain such as service demand forecasting.


    (2) We proposed our combined approach between CBR and SOM in order to overcome limitations of traditional statistical forecasting methods and We have developed a service forecasting tool based on the proposed approach using an unsupervised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Case-based reasoning. In this research, we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on a real digital TV manufacturer (i.e., Company A). In addition, we have empirically evaluated the proposed approach and tool using real sales and service related data from digital TV manufacturer. In our empirical experiments, we intend to explore the performance of our proposed service forecasting framework when compared to the performances predicted by other two service forecasting methods; one is traditional CBR based forecasting model and the other is the existing service forecasting model used by Company A. We ran each service forecasting 144 times; each time, input data were randomly sampled for each service forecasting framework. To evaluate accuracy of forecasting results, we used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MAPE) as primary performance measure in our experiments. We conducted one-way ANOVA test with the 144 measurements of MAPE for three different service forecasting approaches. For example, the F-ratio of MAPE for three different service forecasting approaches is 67.25 and the p-value is 0.000. This mean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PE of the three different service forecasting approaches is significant at the level of 0.000. Since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different service forecasting approaches, we conducted Tukey’s HSD post hoc test to determine exactly which means of MAPE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which other ones. In terms of MAPE, Tukey’s HSD post hoc test grouped the three different service forecasting approaches into three different subsets in the following order: our proposed approach > traditional CBR-based service forecasting approach > the existing forecasting approach used by Company A. Consequently, our empirical experiments show that our proposed approach outperformed the traditional CBR based forecasting model and the existing service forecasting model used by Company A.
    The rest of this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Section 2 provides some research background information such as summary of CBR and SOM. Section 3 presents a hybrid service forecasting framework based on Case-based Reasoning and Self-Organizing Maps, while the empirical evaluation results are summarized in Section 4. Conclusion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finally discussed in Section 5.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