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경망 모델을 이용한 치통발생 예측 모형에 관한 연구 (Predictive Modeling of Dental Pain Factors Using Neural Network Model)

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09.06
7P 미리보기
신경망 모델을 이용한 치통발생 예측 모형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치위생과학회
    · 수록지 정보 : 치위생과학회지 / 9권 / 2호 / 181 ~ 187페이지
    · 저자명 : 김은엽, 임근옥

    초록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을 통하여 구강건강 유지 및
    증진을 위해 구강건강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치통을 일으키
    는 요인을 기반으로 치통예측 모형을 개발하였다(n = 110).
    1. 연구대상자는 총 110명 남성 27명, 여성 83명이었다.
    신장 평균은 남성 172.59 cm, 여성 161.95 cm, 체중
    평균은 남성 64.33 kg, 여성 53.81 kg이었다. BMI
    (Body Mass Index)는 남성이 21.58±1.84, 여성
    20.51±2.00으로 성별에 따라 유의하였다(p = 0.004).
    2. 식습관0 조사 결과 선호하는 맛은 남성 51.8%가 짠
    맛을 선호하는 반면, 여성 62.7%는 보통(중간)의 맛
    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
    타났다(p=0.009). 본인의 식사가 균형이 있는지 인식
    을 조사한 결과 남성 76.9%는 ‘그렇다’라고 한 반면,
    여성 49.4%만 균형 있는 식사를 하고 있다고 하여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p = 0.011).
    3. 운동 및 기호에 대한 조사결과 일주일 동안 운동 시
    간에 대한 결과 남성 55.6%, 여성 55.5%가 주당 4시
    간미만 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 운동의 적절
    성에 대한 인식 결과 남성 82.6%, 여성 66.7%가 적
    절한 운동이라고 답하였다. 흡연은 남성 77.8%, 여성
    100%가 전혀 흡연을 한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
    다(p < 0.001).
    4. 구강 건강 습관 조사결과 조사시점에 치통 유무는 남
    성 11.5%, 여성 20.7%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칫
    솔질 교육은 남성 55.6%, 여성 69.9%가 받았다고 하였다. 하루 3번 칫솔질하는 횟수는 남성 50.0%, 여성
    66.3%로 나타났다.
    5. 잇몸수술 경험은 없으며, 칫솔횟수는 하루 4회하며
    균형 있는 식습관을 하고 있으며, 약간 단맛을 선호
    하는 사람이 치통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치통 예측 모델링에 대한 결과 신경망 모델을 사용한
    상대적 중요도가 높은 독립변수는 선호 맛, 스트레스
    합, 흡연 유무, 잇몸수술, BMI, 균형 있는 식사 인식,
    나이였으며, 치통발생 모형의 정확도는 88.75%이였
    다.

    영어초록

    Oral diseases may hinder people from living a healthy life by causing obstacles in the nutrition supply of the human body. This study aims at the found out the eating habits and recognition factors of people who are currently suffering from dental pain, and made a predictive modeling using neural network, which is a data mining.
    The oral health condition for maintaining and improving oral health has been examined and analyzed through a survey and the groups were divided based on the presence and the absence of dental pain. This study observed on eating habits, exercise and oral habits.
    The study results of neural network modeling input parameter was selected significant survival factors. As a result of making a predictive modeling using the neural network, the fitness of the predictive modeling of dental pain factors was 88.7%.
    As for the people who are likely to experience dental pain predicted by the neural network model, preventive measures including proper eating habits, education on oral hygiene, and stress release must precede any dental treat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치위생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