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망 (救亡)”과 “계몽”으로 접근한 중국 다큐멘터리사진 약사 (A Brief History of Documentary Photography in Chinain the Contextof “Salvation” and “Enlightenment”)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9.06
14P 미리보기
“구망 (救亡)”과 “계몽”으로 접근한 중국 다큐멘터리사진 약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20권 / 3호 / 13 ~ 26페이지
    · 저자명 : 김광영

    초록

    본 연구는 중국의 다큐멘터리사진 역사를 “계몽”과 “구망(기울어져가는 나라를 구함)”의 이중주로 살펴본 것이다. 아울러 그것을 몇개 덩어리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는데, 1) 먼저 다큐멘터리사진의 명칭의 함의와 그 수용사를 논한 다음 2) 중국적 상황속에서 다큐멘터리사진이 어떻게 정착 되었으며 3) 격동의 시대에 어떤 역사적 과정을 겪어왔으며 4) 현대다큐멘터리사진은 어떤 양상을 보여주는가가 그것이다. 아울러 본고는 다큐멘터리사진과 저널리즘(정치보도)사진으로 전유된 “다큐멘터리”사진의 역사를 대비시키면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는 거대서사와 유사미시서사의 관계로 중국 다큐멘터리사진의 역사를 깊이 있게 분석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구망(救 亡)”과 “계몽”의 관계로 관련 작품을 분절한 것은 다큐멘터리사진을 구체적인 역사적 사회적 지평에 놓기 위함이다. 본고는 1980년대와 1990년대까지를 연구범위로 할 것인데 이는 지면의 한계이기도 하거니와 또 그 이후의 다큐멘터리사진도 그것의 연장선에 서있기 때문이다. 기록성과 사실성을 중시하는 다큐멘터리사진은 중국적 상황 속에서 지속적인 변화와 발전을 가져왔는데, 이는 구체적인 역사적 상황 속에서 “시대성”과 “사실성”이드러나는 과정이기도 하다. 결론적으로 다큐멘터리사진의 의미 분석은 예술가가 어떤 역사(시대)적 지평에 서서사실을 어떤 시점으로 바라보는가에 대한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사실성”과 “기록성”은 간(间) “주관”적인 것만큼 간(间) “객관”적인 것이다. 이러한 입장에서 연구자는 “구망”과 “계몽”이란 시대적 기후(에피스테메)로 중국 다큐멘터리 사진약사를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끝으로 국내외적으로 중국다큐멘터리사진을 “구망”과 “계몽” 으로 분석한 논문은 처음일 것이니 본고는 시론적 연구에 속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will observe the history of documentary photography in China from the perspectives of salvation and enlightenment. First of all, it will discuss the definition of documentary photography and its adaption in history. And then, it will answer how documentary photography was settled down in China, what kind of processes documentary photography has been experienced, and what kind of aspects it has presented in history. It will also contrast the histories of documentary photography and of “documentary photography”, which transforms into journal photography(or political photography). In doing so, the history of documentary photography in China could be studied in the relation between metanarrative and micronarrative. Besides, documentary photography will be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s of salvation and enlightenment. The discussion would be limited in the specific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 ranging from 1980s and 1990s, because the documentary photography after 1980s and 1990s is the extension of the documentary photography from the 1980s and 1990s. Based on the belief that documentary photography could record the historical facts “correctly”, documentary photography has well developed in China. The study could reveal the senses of time and facts because of such specific context tangles with history, culture, and politics. Epistemologically speaking, the senses of time and facts would be changed with different ways of understanding things. In other words, the senses are also “subjective”. In conclusion, the semantic analysis of documentary photography is about how the artist perceives the historical facts. That is to say, the senses of “fact” and “document” are in-between “subjective” and “objective” perceptions.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reconstruct the history of documentary photography in China from the epistemic perspectives of salvation and enlightenment. Considering that this paper is the first attempt to perceive documentary photography in China from the perspectives of salvation and enlightenment at home and abroad, it could be regarded as a poetic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