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 말 漕船의 致敗와 官의 대응 -『飛鷹島及駕島致敗嶺南金海府大同寒來兩漕船謄錄』의 사례 소개- (Ship Sinking and the Government Response to It in the Late 19th Centur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3.06
31P 미리보기
19세기 말 漕船의 致敗와 官의 대응 -『飛鷹島及駕島致敗嶺南金海府大同寒來兩漕船謄錄』의 사례 소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도서문화』 / 41호 / 273 ~ 303페이지
    · 저자명 : 장경준

    초록

    1880년 9월 9일과 9월 11일, 전라도 옥구현 관내 비응도와 가도 부근 해상에서 경상도김해부 소속 조선인 來字船과 寒字船이 각각 치패했다. 치패로 인해 두 조선 선인들의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조선의 선체가 전부 또는 일부 파쇄되고 장재된 세곡이 침수되는가 하면 이 중 일부는 표실되는 등 재산피해는 결코 적지 않았다. 두 조선의 치패 사실을 인지한 옥구현은 즉각 사건 수습에 나섰다. 사건 수습은 침수된 세곡을 증출한 뒤 이를 발매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침수 세곡의 증출 작업은 9월 11일부터 9월 20일까지 진행되었다.
    옥구현은 이 기간 동안 來字船에서 침수된 세곡 1,100석 14두 4승 2합 5작 중 1,017석을,그리고 寒字船에서 침수된 세곡 1,320석 14두 7승 3작은 그대로 모두 건져냈다. 세곡의 증출과 발매가 어느 정도 마무리되자 옥구현은 사건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진상조사와 관련자 처벌에 착수했다. 옥구현은 사건의 원인 규명을 위해 두 조선의 사격과 호송감색에 대한문초를 진행했다. 각처에서 유박한 탓에 운항이 지체되었고, 치패에도 불구하고 선인들 중 사상자가 전무했다는 점에서 옥구현은 이 사건을 이들이 고의로 운항을 지체해 우기에 조선을치패케 함으로써 진패로 위장하지 않았나 의심하고 있었다. 그 결과 이들에 대한 문초는 이사건이 과연 진패인지 고패인지를 가리는데 집중되었고, 옥구현은 자백을 받아내기 위해 이들을 호되게 추궁했다. 하지만 이들은 옥구현의 추궁을 시종일관 부인했고, 이 사건이 선인들의 농간에 의한 고패였을 것이라는 확신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고패죄로 처벌할만한 결정적단서를 확보하는 데는 실패했다. 그리하여 운항 상의 부주의 책임만을 물어 선인들을 현옥에가두는 것으로 사건 처리를 종결했다.
    이 사건은 치패 사건 처리를 맡은 담당 관아가 상부 관아와 긴밀한 보고․지시체계를 유지한 채 즉각 대응해 나가는 모습을 통해 사회적 불안과 모순이 심화되어 가던 시기에도 관의위기관리시스템이 일정 부분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시켜 준다. 또 사건의 원인을 선인들의 농간으로 확신하면서도 호송감색과 사격들의 자백에만 전적으로 의존할 뿐 그 밖의 범죄입증능력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 모습을 통해 관의 사건 대응 상의 한계도 함께 보여준다.

    영어초록

    On 9th and 11th of Sep in 1880, in the sea around Biyeung-do and Ga-do, ruled by Okgu-hyeon in Jeonra-do, two ships, Naeja-seon and Hanja-seon, belonging to Kimhae-bu Gyeongsang-do both sank. Apparently there was no loss of life due to the sinkings, but the front of the ships was damaged and the load of grain, paid as taxes, was soaked with water and destroyed, and some of the load was also washed away. The damage to property was not small. The Okgu-hyeon (a division of an administrative district), when they realized what had happened, immediately worked to resolve the crisis. The events were settled by taking the waterlogged grain out of the water and releasing it. The work of saving the grain lasted from 11th September to the 20th September. During this period, Okgu-hyeon fished 1,017 Seok of the 1,100 Seok 14 Du 4 Seung 2 Hab 5 Jak of the tax grain from the sunken Naeja-seon, and 1,320 Seok 14 Du, 7 Seung, 3 Jak from the Hanja-seon. When recovering and releasing the tax grain was almost settled, Okgu-heon set an investigation in motion to discover the cause of the event, and began by punishing the people involved in the event. Okgu-heon proceeded to question the sinking of the two ships and the method of transportation. Due to the fact that the sailing was delayed due to the ships frequent stops in each area, and as there were no injuries sustained during the sinking, Okgu-hyeon doubted that the people delayed the sailing on purpose in the midst of the rainy season and created a situation in which the ships sank. As a result the investigation into this event focused on the fact that,whether the sinking was an accident or planned event, the Okgu-hyeon had to use intense interrogation on the crews in order for them to confess. However, the people continued to deny the official’s questions, and the government officials failed to find critical evidence to punish them for the fabricated crime event although they had a strong gut feeling that this incident was a trick. Therefore the final punishment was to imprison the people only for careless sailing.
    Through this event we are able to see that the person responsible for the sinking of the ship immediately dealt with the event in a closed report-order system with the high government division. This event assures us that, even in the unsettled period,with social discord and contradictions, the government crisis-management system was working to a certain degree. However, at the same time, the officials were so sure of the people's trickery but could only depend on the people's confession and question on the method of transportation. Through this, it also demonstrates the limits of the government in dealing with this ev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서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