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제현의 「김공행군기」와 『태조실록』 「총서」의 고려말 이성계의 전투 기록과의 비교 분석 -중세 전쟁사 기술의 원형 찾기와 그 응용- (Analysis on ‘Kingogn Haengkungi’ written by Yi Je-hyun and record of Yi Seong-gye’s battle activity in late Goryoe in the “Taejosillik” preface)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7.08
45P 미리보기
이제현의 「김공행군기」와 『태조실록』 「총서」의 고려말 이성계의 전투 기록과의 비교 분석 -중세 전쟁사 기술의 원형 찾기와 그 응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실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실학 / 63호 / 5 ~ 49페이지
    · 저자명 : 윤훈표

    초록

    본고는 고종 3년(1216) 고려를 침공했던 거란 유민을 격파하는데 공을 세운 김취려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작성했던 이제현의 「김공행군기」와 『태조실록』 「총서」에 수록된 고려말 이성계의 전투 기록을 비교 분석하여 그 의미를 파악하는 것과 더불어 중세 전쟁사 기술에서 원형에 속하는 것이 시대 상황에 따라 응용돼 새로운 모습으로 바뀌는 과정과 그 역사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행군기」와 「총서」의 전투 기록을 단순히 외형이나 서술 목표, 주제 등의 측면에서 비교했을 때 차이가 크게 나는 것처럼 비춰지기도 한다. 하지만 내면적으로 서로 통하는 바가 많았다. 궁극적으로 전쟁터에서의 공적이 외세를 물리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민생 안정의 바탕이 되는 평화로운 대외 관계를 수립했다는 것으로 귀결된다는 점에서는 유사하다. 전자가 비록 훌륭한 재상으로, 후자는 창업 군주로서의 면모를 부각시킴으로써 정반대의 이미지를 지녔으나, 원형과 응용이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위대한 전쟁 지도자가 결국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는 여정을 기술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총서」의 전투 기록은 「행군기」와 달리 한 번에 완결된 것이 아니었다. 이성계 개인의 위업뿐만 아니라 왕조 개창의 정당성까지 천명해야 했기 때문이다. 『태조실록』의 증보편수 과정에서 여러 차례 보강 작업이 이루어졌는데, 고려말 전투 활동에 대한 정리 및 그 의미와 관련하여 「행군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즉 김취려와 이성계의 처한 상황이 달랐지만 그 지향하는 바는 매우 유사했다. 최씨 정권하에서 거란 유민을 격퇴하려는 순간에 갑작스런 몽골군의 등장 등 안팎의 위기에서 김취려가 보여주었던 굳건하고 사려깊은 자세가 「총서」에서는 위화도 회군에 임하는 이성계의 그것으로 한 단계 더 향상돼 새롭게 태어났다.
    각자의 문무에 걸친 탁월한 능력과 원만한 인품, 그리고 자기 희생과 끝없는 헌신이 있었기 때문에 위대한 공적을 세울 수 있었다고 기술했던 것은 공통된다. 뿐만 아니라 개인의 노력이나 주변의 도움만으로는 불가능했으며 거기에는 신령의 비호로 말미암아 이루어졌다는 점도 역시 동일했다.
    이때 신령의 은밀한 도움을 「행군기」에서 이제현은 그 실체를 구체적으로 표현하지는 않았다. 강조했지만 분명하게 무엇이라고 규정하지 않았다. 반면에 「총서」에서는 위화도에서 회군하는 순간에 군민과 노소의 구분 없이 ‘木子得國’이라는 가사가 들어 있는 동요를 불렀다는 것으로 현실화시켰다. 즉 모든 백성들이 이미 이성계가 즉위할 것을 은연중에 희망하였으며 자발적으로 동참할 것을 암시했다.
    결국 외형상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내적인 흐름, 특히 상황의 대처 방식과 논리, 구조라든가 표현 기법 등에서는 매우 유사함을 인식할 수 있다. 그것은 「행군기」를 원형으로 간주하고, 거기서 필요한 요소들을 선별적으로 취해 최대한으로 응용하여 「총서」의 전투 기록을 체계화했기 때문으로 가능했던 것으로 이해된다.

    영어초록

    In this thesis, it finds its meaning in comparatively analyzing the record of Yi seong-gye(李成桂)’s battle activity in late Goryoe in the "Taejosillok(太祖實錄)" preface and Yi Je-hyun(李齊賢)’s 'Kimgong Haengkungi(金公行軍記)' which praises the peformance of Kim Chwi-ryeo(金就礪) who crushed the Kitan’s invasion into the north-western region at King Gojong in Goryeo dynasty 3rd(A.D. 1216). Through such thesis, it looked into the prototype of the medieval war history narrative as well as how it was applied and modified thereafter.
    The 'Kimgong Haengkungi' and the record of Yi seong-gye(李成桂)’s battle activity in late Goryoe in the "Taejosillok(太祖實錄)" preface have greatest status in the history of medieval war. However the former is a summary of diaries of Kim Chwi-ryeo who led the army that crushed the Kitan army that invaded Gangdong castle(江東城). That is, focusing on the individual of Kim Chwi-ryeo himself has shown how the war depends upon the personality of the commander rather than objective status of its war. Through such, Yi Je-hyun expressed his status of a war general who tries to save its country at war.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stated the war performance of Yi seong-gye at the battle activity in late Goryoe. That was described by the historical servants rather than the individuals. They went beyond of saving the country to establishing a new nation and tried to state the vision of a hero who saved the people from hardships.
    These two records differs from each other in terms of theme but in terms of structure or the narrative of its content and the purpose of its making etc. are similar. That is, although it seems they are looking towards different directions on the outside, within themselves, they have lots of things in common. Especially, the latter took the former as its prototype and enhanced its status and tried to promote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accomplishments of Yi seong-gy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