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서교섭사로 보는 일본의 ‘미학적 국가주의’: 19세기 말~20세기 초 세계박람회 속 일본의 전시관 건축을 중심으로 (Okakura Kakuzo’s ‘Aesthetic Nationalism’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Exchange Revolving around Japanese Pavilions in World Exposition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6.12
36P 미리보기
동서교섭사로 보는 일본의 ‘미학적 국가주의’: 19세기 말~20세기 초 세계박람회 속 일본의 전시관 건축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연구 / 31호 / 193 ~ 228페이지
    · 저자명 : 전영백

    초록

    19세기 후반의 일본은 강력한 제국주의 세력으로 부상하면서 서구 권력 구도에 뛰어들어 다른 아시아 국가들과의 차별성을 호소했다. 그리고 근대국가로서 체제 정비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서구 열강에서 ‘배운’ 제국주의 이데올로기의 행사를 그대로 아시아에 적용했다. 그들의 전략은 고도의 수사와 담론을 배경으로 했으며, 그 과정에 문화적 우수성과 미술의 창의력을 강조한 미술사 담론은 결정적이었다. 이러한 담론의 핵심에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 마련된 ‘동경-보스톤 네트워크’가 있었다. 이 연계는 동서교섭의 이상적 관계에 기반하여 시작되었는데, 어네스트 페놀로사에서 오카쿠라 가쿠조(텐신)로 이어진 이 동서교섭의 유기적 연계는 일본문화가 서양 중심의 세계무대에서 그 우수성을 인정받는 데 근본적으로 작용했다. 이러한 오카쿠라의 미술사관은 세기의 전환을 맞는 세계박람회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개입했다.
    본 논문은 일본이 자국의 국가주의를 대외적으로 인식시키는 데 ‘세계박람회’라는 실천의 장에서 어떠한 건축적 조성과 전시의 기획을 구상했는가를 살펴보면서, 그 과정에 결정적으로 작용한 오카쿠라의 미학관을 추적하려는 연구목적을 갖는다. 논문의 논지는 그러한 동서교섭의 결실로 내재화된 그의 담론이, 존 클락이 명명했듯, ‘미학적 국가주의’로 표출되는 과정에서 학술적 중립성을 잃고, 군국주의 시대를 맞이하면서 더욱 변용된 점을 분석한다. 그리고 오카쿠라의 미술사 담론이 현장의 수사(修辭)로 작용하는 과정에 저변의 이론적 다양성과 중립성이 단일화되고 이데올로기적 정향성이 강화된 것을 추적한다. 그런데 본 연구는 이러한 담론의 분석을 단순히 추상적 논리전개가 아닌, 세계박람회라는 동서교섭의 장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탐색하려는 것을 그 취지로 삼는다. 따라서 오카쿠라가 실제적으로 개입하고 주도한 세계박람회 세 곳을 중심으로 그 건축적 조성과 기획에 어떻게 그의 미학적 국가주의가 연계되어 실현됐는가를 구체적으로 고찰한다. 요컨대, 미술의 담론이 역사의 현장에 실제로 작용하게 된 과정을 분석하는 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구조적으로, ‘담론과 수사’를 ‘실천의 현장’과 연계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영어초록

    From the mid-19th century onwards nationalist diatribe infiltrated deeply into all forms of European culture, affecting visual arts, literature and architecture at the highest and most popular level. The world expositions launched at that time were the international site to compete revealing the driving force of nationalism. Japan’s participation in it as the first runner among the Asian countries left strong and ever-lasting impression of its national identity via not only its construction of Pavilion but also discourse and rhetoric around Japanese art and culture going along with it. Okakura Kakuzo’s contribution to the latter was so significant that the early history of Japanese world expositions could not be examined without his catalogues and books published for spreading his idea of ‘aesthetic nationalism.’ Owing to the small circle of friends centred around Tokyo Imperial University and the Boston Museum of Fine Arts, Japanese art could gain its international reputation in Meiji period. It represented the leading edge of Japanese art scholarship in America at the turn of the century. Among them the relationship between Ernest Fenollosa and Okakura Kakuzo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see how Japanese art made its way to receive its successful recognition of the West. Under the inf luence of Fenollosa, Okakura had absorbed Hegelian perspective, which affected his interpretation of Far Eastern thought and its relation to the West.
    On the basis of the close connection to the America’s leading authorities on Japanese art, Okakura’s contribution to its promotion was never to be emphasized especially through his publication such as The Ideal of the East, The Awakening of the East and The Awakening of Japan, and Book of Tea not to mention of the exposition catalogues. His influence to the West was quite fundamental with his involvement with the several world expositions such as Chicago Exposition(1893), Saint Louise Exposition(1904), and Japan-British Exposition(1910). Those World expositions were most crucial in terms of the direct relation of his discourse of Japanese art. This essay probes into the way Okakura’s discourse involves with the construction of expositions and how it goes along with Japanese nationalism. His rhetoric of Japan’s art and culture was strongly ideological enough to be called ‘Aesthetic Nationalism,’ which led the West to recognize Japanese culture representing Asia in totality as was asserted by Okakura’s phrase “Asia is one.” He published those catalogues to explain and aestheticize the architectures and artworks installed inside pavilion buildings for the western public: such as The Ho-o-den (Phoenix Hall) for Chicago Exposition, Japanese Temples and Their Treasures for Japan-British Exposition. He also delivered a lecture entitled “Modern Problems in Painting” for Saint Louise Exposition.
    This essay therefore has been launched to explore Okakura’s discursive alignment with the construction of Japanese pavilion and its organization at the field of world expositions of the three major ones mentioned above in particular. In a word, the main purpose of the research lies in probing into the relation of construction of Japanese pavilion and subsidiary areas such as garden and fair. In order to enlighten such alignment, the project particularly focused on the way in which Japanese nationalism engaged in organizing and promoting Japan’s art and culture. In doing so, I would shed light on Japan’s colonialist attitude toward Asia, to which Okakura’s idea contributed theoretically. His suggestion of ‘one Asia’ has been used strategically for the purpose of empowering Japan in its competition with the Western countries. This research aims to reveal the way in which Okakura’s aesthetic discourse of Japanese art has been put into political strategy under Japanese nationalism, that is not necessarily the same with his own theoretical perspec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