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東京三才’(洪命憙, 崔南善, 李光洙)를 통해본 한말 일제 초 조선의 지성계 (The study of Three Korean geniuses in Tokyo during from Late Chosun dynasty to Japan colonial period)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08.09
34P 미리보기
‘東京三才’(洪命憙, 崔南善, 李光洙)를 통해본 한말 일제 초 조선의 지성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인물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인물사연구 / 10호 / 359 ~ 392페이지
    · 저자명 : 류시현

    초록

    한말시기 ‘新大韓’을 건설할 주역으로 ‘新靑年’이 주목되었고, 이들 ‘신청년’이 국민국가 수립에 기여할 근대적 지식을 얻는 주된 경로는 일본 유학이었다. 실제로 이들은 일본 유학기간에 습득한 근대적 지식을 그들 자신의 실천 활동에서 적용하고자 했고 이와 병행해서 뒷 세대 청년과 소년층에 출판 및 저술활동을 통해 그 내용을 전달하고자 했다. 이들 동경 유학생 가운데 주목받은 3인이 있었고, 이들을 ‘東京三才’라고 불렀는데, 홍명희, 최남선, 이광수를 가리켰다. ‘아시아의 런던’이라고 불리던 일본 동경에서 유학했던 이들 3인은 학교 및 서점․도서관 등을 통한 근대의 경험을 바탕으로 귀국 후 다양한 분야에서 조선의 ‘문명화’를 이루는 영역에서 활동했다. 홍명희는 1888년, 최남선은 1890년, 이광수는 1892년에 태어났으며, 이들 3인은 각각 2살 터울이었다. 비슷한 연배의 이들은 한말 일제 초 일본에 유학을 했던 경험이 동일했으며, 문학의 영역에서 활동을 한 공통분모를 지녔다.
    귀국의 시점에서 홍명희는 자연주의 문학 영역에서, 최남선은 역사와 조선문화 영역에서, 이광수는 문학과 사회 평론의 영역에서 장점을 지닌 존재였다. 이들 ‘동경삼재’의 본격적인 활동은 식민지 상황 속에서 이루어졌다. 귀국과정 및 국내에서의 이들의 활동 폭은 이러한 현실에 의해 제한되거나 굴절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동경삼재’는 일제에 의해 병합된 시기를 전후해서, 자신들의 역할을 스스로 부여하고 교육과 언론 영역에서 활동을 전개했다. 하지만 일본에서 습득한 근대적 사고와 물질적 영역의 성과를 조선에서 실현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이들 동경삼재는 ‘신경쇠약’에 걸리기도 하고 외국을 ‘방황’하기도 했다. 아울러 이들은 윗세대의 도움을 받지 못한 존재로서 자신들을 규정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유학시절 경험했던 민족주의적 각성을 토대로, 이들 ‘동경삼재’는 1919년 전민족적 항일운동인 3‧1운동의 과정에서 주역의 역할을 담당했다.

    영어초록

    The eventual opening of Korea's ports was compelled not by the Western powers but by Japan. Therefore the adoption of Western civilization would come via Japan. At that time, the Korean intellectuals had a question; this is, how to resist Japanese imperialism, and how to adopt aspects of Western civilization while maintaining Korea's distinctiveness from Japan. After the Russo-Japanese War(1904~1905), many Korean new intellectuals studied in Japan Tokyo for Korea's civilization. Among them, there were young men who were called the Thee Korean geniuses in Tokyo.
    At that time, Tokyo was regarded as the London of Asia. Korean elite, who studied in Tokyo, avidly introduced Western culture and civilization coined the term new cultural movement to describe their activities. I want to read Hong Myung-hwi(1888~1968), Choi Nam-son(1890~1957), Lee Kwang-su (1892~1950)'s activities on Korean civilization and new culture. They had lived as poet, novelist, publisher, editor, teacher, and historian through their whole life.
    Their hope for new Korea got frustrated by the Japan colonizer. So they experienced wondering in China, neurasthenia and so on. However, they strove to propagate the new culture to Korea society and their efforts were not ignored. They had a key role in Korean national movement such as Match First Movement in 1919. Analyzing these three Korean geniuses in Tokyo will help deepen our understanding of Korean nationalists' cultural activities in the early 20th century. Moreover, the future work on the Thee Korean geniuses in Tokyo should focus on their thoughts and activities between Japan colonial period and the liberation of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인물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