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세기 말 19세기 초 英陽縣 雲谷影堂의 置廢 -조선후기 영남 復縣의 노론계 院宇 건립 사례 (The Chipye of Ungokyeongdang in Yeongyang-hyeon from the Late 18th to the Early 19th Century - Focusing on the case of building Noron-line wonwoo in the region of bokhyeon in Yeongnam during late Cho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8.03
32P 미리보기
18세기 말 19세기 초 英陽縣 雲谷影堂의 置廢 -조선후기 영남 復縣의 노론계 院宇 건립 사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영남학 / 64호 / 239 ~ 270페이지
    · 저자명 : 채광수

    초록

    본 연구는 17세기 후반 복현 된 영양현에서 주자와 송시열을 배향한 운곡영당이 치폐를 다룬 연구이다. 영양현에서는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초반까지 新舊鄕간의 향전이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이와 관련된 기록인 『雲谷影堂掌故』를 근거로 관찬사료에서 비교적 간략히 언급된 운곡영당의 치폐를 살펴보았다.
    18세기 초 서원은 중앙 집권세력에게는 자파 세력 부식을, 재지사족에게는 향촌 주도권을 확보하는 세력 간 분기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영남에서도 갑술환국 후 중앙 노론세력과 지방 관권의 지원과 이에 부응한 신출노론의 협조 하에 20여개소 노론계 원우가 건립되는데 이중 송시열을 배향한 원우가 그 비중이 제일 높다.
    영양현에서도 이러한 분위기에 편승한 신향세력들이 京鄕의 자문을 받아 곡절 끝에 1781년(정조 5) 윤5월 영당을 건립했으나 9월 경상감사로 부임한 소론계 趙時俊에 의해 서원을 신설한 혐의로 곧바로 훼철을 당한다. 5년 뒤 영조연간 朝野에 파란을 일으킨 안동 김상헌 서원의 후신인 西磵祠가 1786년(정조 10) 사액된다. 이러한 분위기에 편승해 중건이 이루어진 듯 했으나 남인들의 저지로 무산 된다. 이에 운곡영당 측은 성균관 등에 통고하여 훼철 주도자를 儒罰하고, 1802년(순조 2) 2월 노론계 감사 남공철의 부임과 때를 맞춰 중앙의 도움을 받아 마침내 중건에 성공한다. 그러나 1806년(순조 6) 2월 소론계 감사 尹光顏에 의해 또 다시 훼철을 당하자 임금에게 상서하여 진상조사가 실시되었다. 그 결과 훼철과정에서 移奉 예절 등에 심각한 문제점이 규명되면서 훼철 관련자들은 처벌을 받지만 더 이상의 영당 중건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운곡영당은 중앙으로부터 인정받은 영당임에도 3차례나 훼철되었다. 이는 구향에게는 향촌내 우위를 지속하기 위한 절박한 문제였다. 반면 신향은 3차례나 영당을 건립을 시도할 만큼 성장하여 향권에 도전했다고 할 수 있다. 운곡영당의 치폐는 이러한 신구향이 충돌한 사건이자 조선후기 영남 노론계 원우 건립이 얼마나 어려웠는지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Grounded on 『Ungokyeongdang-janggo』, the records of hyangjeon developed fiercely between sin-gu hyang in Yeongyang-hyeon that went through bokhyeon during the late 17th century about founding Ungokyeongdang to enshrine Chu-tzu and Song Siyeol from the late 18th until the early 19th century, we can reorganize the case of chipye(installation and abolition) of Ungokyeongdang that is rather briefly mentioned in government-compiled historical records.
    Seowon in the early 18th century had roles in accelerating the split of cliques by letting the central ruling clique to bring down the japa clique and also jaejisajok take the lead in the hyangchon. In Yeongnam, too, after the Gapsulhwanguk, reacting to the support of the central Noron clique and local government authority, rising Noron cooperated to found 20 Noron-line wonwoo, and among them, the ones to enshrine Song Siyeol are found the most.
    In Yeongyang-hyeon, too, taking advantage of that situation, the sinhyang clique built yeongdang in yun May of 1781 (Jeongjo 5) after all the hardships getting advice from gyeonghyang; however, Soron-line Jo Si-jun appointed as Gyeongsang Gamsa in September damaged and demolished(hwecheol) it on a charge of building seowon newly. Five years after that, Seogan-sa, the future being of Andong Kim Sang-heon Seowon that had caused troubles both in public and private sectors in Yeongjo’s reign, seemed to be reconstructed with the saaek in 1786 (Jeongjo 10) as an opportunity; however, it went for nothing due to namin’s interference. After that, Ungokyeongdang notified it to Seonggyungwan and others to yubeol the initiators of hwecheol, and in February of 1802 (Sunjo 2), they got suppor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long with the appointment of Noron-line Gamsa, Nam Gong-cheol, and finally succeeded in reconstructing it. But in February of 1806 (Sunjo 6), Soron-line Gamsa, Yun Gwang-an, committed hwecheol again, and then, fact finding was done through sangseo to the king. The result showed that in the process of hwecheol, there had been serious problems in terms of ibong or uijeol, and those involved in it got punished. However, the yeongdang was no longer reconstructed.
    Regarding the chipye of Ungokyeongdang, the guhyang of namin desperately needed to hwecheol the yeongdang even up to three times though it had been approved by the central government. It was because they had to hold the dominant position in the hyangchon. At the same time, the growing sinhyang of Noron tried the reconstruction of that yeongdang also three times challenging the hyanggwan. It was the case that took place within that conflict, and it plainly tells us how hard it was to build Yeongnam Noron-line wonwoo in late Chosu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