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 말 유교지식인 김상즙이 제시하는 이상적 조선 여성상: 「본조여사(本朝女史)」를 중심으로 (The Ideal Image of Joseon Woman Presented by Kim Sang-Jeup, a Confucian Intellectual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Focusing on Bonjoyeosa)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8.12
45P 미리보기
19세기 말 유교지식인 김상즙이 제시하는 이상적 조선 여성상: 「본조여사(本朝女史)」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37호 / 229 ~ 273페이지
    · 저자명 : 조혜란

    초록

    본고는 1898년, 충청도의 유교 지식인 김상즙이 쓴 「본조여사」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저자가 이상적으로 생각했던 조선 여성의 자질이나 이상적 여성상을 추출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본조여사」의 서지, 작가 정보 등에 대해서는 기존 논의가 있으므로 본고는 기존에는 다루어지지 않았던 분류 항목들을 비교 검토하고, 항목별 일화들을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19세기 말, 20세기 초 유교 지식인들의 여성담론의 지형 속에서 「본조여사」가 지니는 차별적 지점에 대해 검토하였다.
    12개 항목에 속한 일화들을 검토한 결과, 「본조여사」에서는 열녀와 관련하여 분류 기준이 모호하게 사용되었고, 항목에 상관없이 여성들의 지적 능력, 안목 등이 반복하여 언급되는데, 특히 정치적 상황에서 판단을 해야 하는 일화들이 다수 있었다. 또 정절 이데올로기 및 전통적 부덕의 범주 안에 들어가는 일화들도 함께 수록되었다. 유교 지식인으로서 저자는 이렇듯 기존의 유교적 가부장제가 여성에게 덕목으로 강조해 온 내용들과 공통되는 것도 있었으나 차이점을 보여주는 것도 있었다. 우선 그는 더 이상 열녀를 남편에 대한 성적 종속성을 지키는 여성으로 국한시키지 않은 채 기존의 열녀에 대해 수용한다. 또 그는 여성의 능력 중 지적 자질이나 정치적 판단력을 중시하며, 특히 여성의 고생이나 고통에 대한 공감도 보여준다. 저자는 전통적인 삼강오륜을 중시하나 근대전환기 조선 현실에서 그가 중요하게 생각한 여성의 자질은 당대를 헤쳐 나갈 정치적 판단력이었다.

    영어초록

    Bonjoyeosa(本朝女史) was compiled by Kim Sang-Jeup(金商楫: 1862~?) in 1898. Kim was a Confucian intellectual who lived in Chungcheong Province. He listed anecdotes of women of Joseon divided into twelve categories so that their great deeds would not be forgotten. Even though Bonjoyeosa is an important material for research on women's life in Joseon, only one published paper can be found dealing with the manuscript. Since the bibliography and the author have already been discussed in that paper,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quality or image of Joseon woman the author thought ideal.
    In all of the twelve categories, the women's intellectual capacity and insight are repeatedly mentioned. Especially, there are multiple anecdotes of women making wise judgements on the political situations. Meanwhile, also a number of anecdotes are related to female chastity and other womanly virtues. An examination of the "Virtuous Woman (烈女)" category shows that the author, unlike the majority of biographies of exemplary women written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did not confine the definition to the women who maintained their sexual subordination to their husbands such as those who passively internalized the ideology of female chastity and took their own lives after their husbands' death. In addition, he regarded women's intellectual capacity and political judgement as important and also showed sympathy to their sufferings and pain. Although he valued the traditional three fundamental bonds and five constant virtues (三綱五倫), the reality of Joseon in 1898 made him choose the political judgement to be an important quality of a virtuous wom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