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리말 불교용어와 <한국한자어사전>의 불교용어 증보 방향에 대하여 - 향가, 이두, 구결을 중심으로 - (On the Direction of the Enlargement of Buddhist Terms in Sino-Korean Dictionary)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6.04
16P 미리보기
우리말 불교용어와 &lt;한국한자어사전&gt;의 불교용어 증보 방향에 대하여 - 향가, 이두, 구결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학 / 63호 / 87 ~ 102페이지
    · 저자명 : 김성주

    초록

    이 논문은 한국한자어사전 를 증보할 때, 차자표기 자료에서 우리말 불교용어를 증보하는 방법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이 논문의 대상은 차자표기 자료 중 신라시대와 고려시대의 향가, 이두, 구결 자료이며, 고유명사 표기를 제외하였다. 한국한자어사전 에서는 향가 자료를 제외한 이두와 구결 자료는 한국한자어 용어 선정의 대상 자료로 이용하였다. 그러나 한국한자어사전 에서는 신라와 고려시대 자료 중 ‘葛項寺石塔記’, ‘蓮池 寺鐘銘’, ‘大明律直解’, ‘通度寺國長生石標’, ‘淨兜寺五層石塔造成形止記’ 등 5개의 자료만 용어 선정 대상으로 이용하였을 뿐이어서 좀 더 많은 자료를 대상으로 한국한자어사전 을 증보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신라와 고려의 차자자료는 희소성의 가치가 있는 반면 여기에 쓰인 우리말 불교용어는 우리말 체계에서 오래 전부터 정착된 불교용어들이기 때문에 모두 표제어로 선정하는 방향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한다.
    차자표기 자료에서 우리말 불교용어를 선정할 때 향가·이두와 구결 자료는 분리하여 생각하여 할 필요가있다. 왜냐하면 전자는 우리말을 표기하는 문자 체계이므로 거기에 쓰인 불교용어는 우리말 불교용어라 할 수있다. 그러나 후자는 일반적으로 한문을 쉽게 이해하기 위한 문자 체계이므로 구결문에 쓰인 불교용어가 바로우리말 불교용어라고 하기 어렵다. 불교용어의 선정은 기존의 불교사전의 표제어를 기본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구결문에 쓰인 불교용어를 우리말 불교용어임을 검증하는 방법으로 중세국어 언해문에 쓰인 ‘NP+-’ 동사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direction of the supplementation of the Buddhist Terms in Sino-Korean Dictionary published in the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in Dankook University. And the objects of this paper are Idu, Hyangga and Kugyol in Silla and Goryeo Dynasity.
    The points of this paper a s follows.
    First, Hyangga and Idu are all the Chinese-loaned writing system. Kugyol, however, is not the writing system to write the Korean sentence but to easily interpret the Chinese sentences.
    Therefor, these two are quite different writing systems between them.
    Second, the Buddhist Terms used in Hyangga and Idu are to be directly regarded as Korean Buddhist Terms but those used in Kugyol literature are not because they are essentially quit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ird, the Buddhist Terms used in Kugyol literature are not able to be regarded as the real Korean Buddhist Terms. It is basically different from the case of the Buddhist Terms used in Hyangga and Idu. Therefore, the former should be necessary to filter the Korean Buddhist Terms form the general ones. Although how to filter the Korean Buddhist Terms from the general ones are several. It is, however, a possible method in which we can take advantage to the type of the verb NP+ha- translated in the Middle Korean Translation literatures. If the verbs of NP+ha used in Kugyeol literature are used in the Middle Korean Translation literatures, we can regards them as the real Korean Buddhist Terms.
    Lastly, I want to be argued that the Korean Buddhist Terms used in Silla and Goryeo period should be listed as the title words of the revised Sino-Korean Dictionary. It is because they are not a lo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