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8세기 말~19세기 초 歌集 편찬과 악곡 변화의 특징적 국면 - 가람본 [靑丘詠言]을 대상으로 (Characteristic Aspects of Compiling Collections of Songs and Changes of Music from the Late-18th Century to the Early-19th Century -Subjecting Garambon Chungguyeongeon(靑丘詠言)-)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4.11
29P 미리보기
18세기 말~19세기 초 歌集 편찬과 악곡 변화의 특징적 국면 - 가람본 [靑丘詠言]을 대상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가연구 / 37권 / 275 ~ 303페이지
    · 저자명 : 송안나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가람본 『청구영언』(이하 『청영』)을 통해 읽어낼 수 있는 19세기 초반의 가곡 문화를 탐색하는 것이다. 『청영』은 19세기 중반에 완성되었지만 그 내적 체계는 그보다 이른 시기인 18세기 후반~19세기 초반의 가곡 흐름에 더 견인된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19세기 초반, 다양한 악곡이 분화․파생되어 가던 양상이 잘 반영된 가집으로 드러났다.
    논의 결과를 정리하면, 먼저 『청영』은 가집 이름과 체계가 진본 『청구영언』으로부터 시작된 18세기 가집 편찬의 전통을 대체적으로 따르고 있지만 ‘김천택 중심의 가곡 문화권’에서는 벗어난 가집이었다. 그리고 각종 서․발문과 음악 기록들이 다수 실려 있어 여러 항목을 갖추고자 한 가집 편찬자의 수집 의도를 엿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 『청영』이 완성된 시기로 추정되는 19세기 중반 가곡의 가장 큰 특징은 ‘평조, 평조계면조, 우조, 우조계면조’라는 4개의 악조에서 ‘우조, 계면조’라는 양조로의 정착인데 이 가집에는 이러한 조짐이 보이지 않아 우․계면 정착 이전 시기의 문화가 반영된 가집으로 파악되었다.
    당대 보편적 가곡 문화와 상반된 흐름은 중대엽 항목에서도 나타났다. 18세기 후반~19세기 초․중반 편찬된 대개의 가집에서 중대엽은 악곡별로 1수 정도 수록되는데 반해 『청영』에서는 악곡별 수록 작품이 증가했음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중대엽 항목이 쇠퇴해가는 시기에도 나름의 명맥을 유지하며 가창․전승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청영』의 이삭대엽 항목은 불규칙적인 편제 양상을 보이는데 이러한 모습은 지속적인 보충․보완을 통해 이삭대엽을 완비하고자 한 편자의 노력을 의미한다. 또한 농․낙․편 계열의 다양한 악곡이 생성되면서도 선호도는 이삭대엽을 비롯한 본가곡에 미치지 못했다. 이는 ‘만횡 낙시조 편삭엽 농가’를 통해 여실히 드러났다. 흔히 ‘소가곡’이라 이르는 농․낙․편의 악곡은 이미 분화되었으나 해당 악곡별 레퍼토리가 확정되지 않아 『청영』에는 이들 악곡명이 하나로 묶여 수록된 것이다. 다시 말해 이 가집이 향유된 문화권에서 이삭대엽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기 때문에 당대에 파생되기 시작한 악곡별 맞춤형 노랫말을 굳이 정할 필요가 없었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intend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Gagok culture from the late-18th century to the early-19th century after studying the system of Garambon[Bibliotheca Garam] Chungguyeongeon(Chungyeong).
    Features of Chungyeong are the multiple prefaces no other songbook has been recorded. And it reflected more early time’s music systems than 19th century when collections of songs was compiled.
    In spite of these features, Chungyeong has not studied due to the difficulty of interpretation. Perhaps, by such features, it is recognized as a unusual collection of songs compared with other collections.
    Brief explanations of the features of Chungyeong are as follows.
    First, Chungyeong follows Jinbon[珍本] Chungguyeongeon in name and the system of collection of songs but it was not nearly influenced by Kim Cheontaek.
    Second, it shows intentions which had collected more pre․postfaces and musical records than other collections.
    Third, Chungyeong is estimated to be compiled in mid-19th century, but a tonal distribution characterized of the time-Woo-jo and Gyemyoun-jo, settling two musical tones-does not appear.
    Fourth, there was high probability of singing Joongdaeyeop without extinction because the Joongdaeyeop had been increased.
    Fifth, there are many compiler's efforts to supplement the works of the Yisakdaeyeop items constantly.
    At last, Nong․Nak․Pyeon had been divided, but they did not completely settled in Gagok Hanbatang repertoire.
    Thus, the currently passed down Chungyeong was compiled in mid-19th century, but it is reflected various changes and unique features of the Gagok culture from the late-18th century to the early-19th century we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