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명말 화본소설 ‘三言’의 宗族 이야기와 宗族 인식 - 불멸의 세계로서의 종족과 관련하여 - (The Stories of Clan and the Idea of Clan in the Vernacular Story Sanyan(三言) - In relation to the Clans as an Immortal World -)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22.11
35P 미리보기
명말 화본소설 ‘三言’의 宗族 이야기와 宗族 인식 - 불멸의 세계로서의 종족과 관련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사학회
    · 수록지 정보 : 江原史學 / 39호 / 189 ~ 223페이지
    · 저자명 : 원정식

    초록

    삼언에서 종족 관련 핵심 용어가 사용되는 사례가 적어도 62편으로 전체 120편의 반 이상을 차지하였는데, 이는 명대 종족 인식의 확산과 그 필요가 반영된 결과였다.
    삼언을 전체적으로 볼 때, 필멸의 세계와 불멸의 세계라는 공간을 설정하고, 필멸의 세계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을 궁극적으로 인과율을 통해 불멸의 세계와 결합하고 있다. 이러한 구도는 ‘조상 - 나 - 후손’으로 이어지는 종족의 세계와 유사했다.
    삼언에서는 영생불사 및 불멸의 세계에서의 삶을 최고의 가치로 설정하였다. 하지만 이에 도달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함을 공언하고 현실적으로 가능한 ‘福’의 획득을 강조했다. ‘복’ 가운데는 ‘자손 많은 것’을 비롯하여 관직, 재산, 건강과 장수 등이 있고 그 복을 얻는 최선책 역시, 수행, 선행, 공덕 쌓기였는데, 이들은 모두 종족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핵심적 요소였다.
    삼언에서 종족은 필멸의 세계와 불멸의 세계를 결합한 조직이자 믿음의 세계였다. 조종은 조상신이 되어 후손들을 보우하고, 후손은 조상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제사를 지냄으로써 복을 받고 보호를 받을 수 있으며, 제사를 지내주는 후손이 없다면 죽어서도 제사를 받지 못하는 떠돌이 귀신이 된다고 믿었다. 이에 후손의 확보는 가장 중요한 과제가 되었으며, 그 대책으로 첩 들이기, 데릴사위 삼기, 양자 들이기, 외손자 나누어 갖기 등을 소설 형식으로 제시했다. 또 선영은 조상의 유해를 보존하고 정기적으로 조상을 추념할 수 있는 공간이었고 사당은 조상의 영정이나 위패를 모셔두고 일상적으로 조상과 같이 사는 공간으로, 종족을 영속시키는 물질적 기초였다. 이에 삼언에서는 선영과 사당에 대한 안정적 유지가 조상을 지키고 종족을 영속시키는 현안이라고 하였을 뿐만 아니라 무덤을 새로운 종족 형성의 출발점이자 상징으로 그리기도 하였다.
    삼언의 작가들은 이러한 종족 인식과 종족 이야기를 120편 곳곳에 배치하여 이야기를 흥미 있게 만들고 ‘세상 사람들을 깨우치려는’ 자신의 의지를 관철하고자 했다.

    영어초록

    The ideology and lifestyle of the Clans permeated the Ming Dynasty society like air. Political instability and socioeconomic liquidity increased in the Ming Dynasty. Securing the social safety net has become the most important task for everyone. The state power sought to ease restrictions on the people's right to perform ancestral rites and expand clan ethics to the foundational society. Various clans were activated, ranging from the Emperor's or gentry's clans to the common people's clans below. There were at least 62 cases in which key terms related to clan were used in Sanyan, accounting for more than half of the total 120. This was the result of reflecting the spread of the ideas of clans and its need.
    Looking at Sanyan as a whole, the space of the mortal world and the immortal world were set. The lives of people living in the mortal world are ultimately combined with the immortal world through causality. This composition was similar to the world of clans connected by 'ancestors - I - descendants'.
    In Sanyan, life in a world of eternal immortality and immortality was set as the the highest value. However, Sanyan declared that it was virtually impossible to reach this. Sanyan emphasize the realistically possible acquisition of 'Fu(福)'. Among the 'Fu(福)', there are "many descendants", government posts, property, health, and longevity. These were all key elements of forming and maintaining a clan. The best way to achieve 'Fu(福)' was also to practice, do good deeds, and build merit. These were all in accordance with causality and were important virtues for clan formation and development. From the first story of Sanyan, in return for his good deeds, it cited cases of passing the test and promotion, becoming rich, acquiring offspring, and the couple's happily aging together, and presented cases of death, disgrace, and extinction for evil deeds.
    In Sanyan, the clans was an organization and a world of faith that combined the mortal world and the immortal world. People believed that when their ancestors died, they became ancestors and protected their descendants. People believed that descendants could be blessed and protected by continuously performing ancestral rites. People believed that without descendants who performed ancestral rites, they would become wandering ghosts who could not receive ancestral rites even when they died. As a result, securing descendants became the most important task for everyone. As a countermeasure against this, Sanyan presented the form of a novel, such as making a concubine, making a son-in-law, making an adopted son-in-law, and sharing a grandchild.
    The tomb was a space where the remains of ancestors could be preserved and regularly remembered. A shrine is a space where ancestors' portraits or memorial tablets are enshrined and they live together on a daily basis. These were all material bases that perpetuated the clan. Sanyan clearly stated that maintaining these stable is a pending issue that protects ancestors and perpetuates the clan. Even in Sanyan, the tomb was described as a symbol of forming a new clan.
    The writers of Sanyan placed these ideas of clan and stories of clan in the composition of many of the 120 novels. Through this, the story development was urgent and interested. In addition, they tried to fulfill their will to "awake the world" through th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江原史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