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명말청초 산수화와 산수판화와의 관련성 연구: 弘仁의 기하학적 표현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scape Painting and Landscape Prints in the Late Ming and Early Qing Periods, with a Focus on Geometrical Representation in Art)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7.06
26P 미리보기
명말청초 산수화와 산수판화와의 관련성 연구: 弘仁의 기하학적 표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술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연구 / 32호 / 221 ~ 246페이지
    · 저자명 : 한정희

    초록

    청초에 활동하였던 弘仁(1610~1664)의 작품은 산이나 바위가 전반적으로 윤곽선 위주이면서 각이 심하게 진 기학학적인 표현으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것은 이전에 보지 못하던 개성적이고 특이한 회화적인 표현으로 이후에 중국뿐 아니라 한국과 일본에까지 동아시아 회화에 크게 영향을 미쳐 산이나 바위를 기하학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유행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표현은 홍인이 원대의 예찬을 흠모하여 모방한 것이라는 논의가 일반적이지만, 필자는 실제로는 송강파나 신안화파의 선구자들 중에서 李永昌이나 程嘉燧 같은 화가들의 화법에서 유래된 측면이 상당히 많다고 생각한다. 특히 송강파의 고정의와 동기창이 이러한 기하학적 표현의 선구적인 작례를 다수 남기고 있어 그러한 원류가 되었던 것으로 보고 있다. 이밖에 동기창은 바위의 끝단을 말아 올리는 기법이나 방작, 산수장권으로 그리는 등 명 말기에 성행한 새로운 기법에서 전반적인 원류가 되었음도 지적하였다.
    홍인은 이러한 일반 회화뿐만 아니라 명 말기에 복건성에서 제작된 『武夷志略』이나 소운종의 『태평산수도』 같은 산수판화집의 영향을 받았다고 하는 사실을 제시하였다. 홍인은 흡현 출신이지만 명이 몰락한 뒤에 승려가 되어 무이산에 들어가 몇 년간 머물렀기에 그곳에서 발간된 『무이지략』을 접할 기회가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판화를 통해 그의 작풍을 착안하였을 가능성도 적지 않다고 생각한다.
    한편 명 말기인 1619년 발간된 『무이지략』 역시 그 이전에 나온 여러 판화집들에서 보이던 단편적인 기하학적 표현을 발전시킨 것이 아닐까라는 추정을 해보았으며, 다른 일반 회화에서의 기하학적 표현 역시 『무이지략』 같은 산수판화집이 발간되는데 기여를 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밑그림을 담당했던 화가들이 일반 회화에서의 새로운 경향을 판화에 적용하면서 자주 일어났던 현상이라 해석된다.
    홍인의 작품은 후대의 일반 산수화와 산수판화 모두에 영향을 미치며 지속적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1679년 발간된 기념비적 산수판화집인 『芥子園畵傳』에 반영되면서 기하학적 표현은 동아시아 삼국의 산수화에 자주 등장하게 되었다. 전반적으로 살펴보면 기하학적인 표현은 일반 회화에서 먼저 등장하였다가 이것이 판화로 옮겨가고 그 이후에는 다시 일반회화로 이전되어 판화와 일반회화의 상호교류에 의해 점차적으로 퍼져나간 것이 아니었나 생각된다.

    영어초록

    The works of early Qing painter Hong Ren (1610-1664) are characterized by the way their mountains and rocks are generally rendered using outlines and highly angular geometrical expression. This unique and unprecedented type of expression in painting went on to become highly influential in East Asian painting, in Korea and Japan as well as in China, signaling the beginning of a fashion for depicting mountains and rocks in geometrical style.
    The habitual discourse holds that Hong Ren's style was copied from that of Yuan artist Ni Zan, whom he admired. But I believe that it in fact originated in considerable part in the styles of Li Yongchang and Cheng Jiasui, pioneering painters of the Xin'an schools. I take the view that Gu Zhengyi and Dong Qichang of the Songjiang School, in particular, left many pioneering examples of such geometrical expression, which apparently constitute its origin. Moreover, I point out that Dong was an overall originator of successful new styles in the late Ming period, such as curling up the tips of rocks, and painting in the manner of ancient masters or making long landscape handscrolls.
    I have suggested that Hong Ren was influenced not only by such regular paintings but by landscape print albums such as Wuyi zhilue (武夷志略), produced in Fujian Province in the late Ming period, and Xiao Yuncong's Taiping sanshui tu (太平山水圖). Hong Ren was a native of She County, but became a monk after the fall of the Ming Dynasty and entered the Wuyi Mountains where he stayed for several years. He would therefore probably have had a chance to encounter Wuyi zhilue, which was published in Wuyi. I thus believe it is not unlikely that Hong Ren developed his idiom under the influence of prints.
    Meanwhile, I have presumed that Wuyi zhilue, which was published in the late Ming period in 1619, may also have developed the fragmentary, geometrical expression found in several previous print albums. It appears that geometrical expression in other general paintings contributed to the publication of Wuyi zhilue, too. This is thought to have been a common phenomenon resulting from the application of new painting trends to print images by artists producing print underdrawings.
    Hong Ren's works inf luenced later general landscape paintings and landscape prints alike, developing continuously. The results of this process were reflected in the monumental print album Jieziyuan huazhuan (芥子園畵傳; “Mustard Seed Garden Manual”), published in 1679, while geometrical expression became a common feature of landscape paintings in China, Korea and Japan. Overall, it seems geometrical expression first appeared in conventional paintings, then was transferred to prints, then moved back to conventional painting again, spreading gradually through interchange between the two gen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