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생각 말하기(Think-Aloud) 방법을 통해 살펴본 읽기이해부진아동과 일반아동의 추론 특성 (Inferential Characteristics of Poor Comprehenders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Using the Think- Aloud Method)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7.12
12P 미리보기
생각 말하기(Think-Aloud) 방법을 통해 살펴본 읽기이해부진아동과 일반아동의 추론 특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수록지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22권 / 4호 / 669 ~ 680페이지
    · 저자명 : 김해인, 최소영

    초록

    배경 및 목적: 읽기이해부진아동이 어려움을 보이는 영역 중 하나로 추론을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생각 말하기(Think-Aloud) 방법을이용하여 읽기이해부진아동들이 이야기 글 이해 과정 동안 산출하는 추론의 양상을 일반아동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3-6학년에 재학 중인 읽기이해부진아동 12명과 일반아동 12명이 참여하였으며, 시각적으로 제시된 이야기를 한 문장씩 읽고 떠오르는 생각을 자유롭게 산출하도록 하는 생각 말하기 방법을 이용하여 발화를 유도하였다. 결과: 읽기이해부진아동은 산출한 총 절의 수는 일반아동과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추론절 자체의 산출 빈도는 적어 추론절의 산출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읽기이해부진아동이 산출하는 추론절의 정확도 면에서는 일반아동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주목할 점은 추론의 하위유형 중 선행문장을 기반으로 이야기의 발생 원인을 추적하고 정보를 회상하게 함으로써 응집성 있는 표상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는 설명적 추론의 비율에서읽기이해부진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특히 낮은 것으로 관찰되었다는 것이다. 논의 및 결론: 읽기이해부진아동은 추론절 산출 과제에서 양적 측면뿐 아니라 질적 측면에서도 일반아동과 다른 특성을 가진 것으로 추정되며, 본 연구 결과는 읽기이해부진아동의 추론과정을 파악하고 보다 효율적인 읽기 평가 및 중재 접근법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Objective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poor comprehenders have inadequate inferencing skills,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how they produce inferences in comprehension processing when reading text. This study analyzed the inference aspect produced when poor comprehenders read text using a Think-Aloud procedure, and compared the results to those produced by typically developing (TD) children. Methods: Think-Aloud is a procedure that encourages the expression of thoughts that freely come to mind after reading visually presented stories aloud sentence by sentence. Twenty-four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grades three to six participated in this study. Among them, 12 were poor comprehenders and 12 were TD children. Results: First, poor comprehenders produced inferential clauses with lower frequency than TD children. However, the numbers of total clauses produced by the two groups were similar, which indicates that poor comprehenders produce inferential clauses at a lower rate tha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Second, the accuracy of inferential clauses produced by poor comprehenders was similar to that of TD children. Third, poor comprehenders generated significantly less explanatory inferences than TD children. Explanatory infere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ading comprehension; it helps children to determine the cause of an event in a story and to recall information based on preceding sentences. Conclusion: This study determined inference characteristics by comparing the inference aspect produced during the reading of a story by poor comprehenders with that of TD children, and provides experimental data for reading intervention by identifying subtypes of infer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