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말 강화지역 사립보창학교의 등장과 성장 -민족과 기독교, 황실의 조우- (The Rise and Growth of the Private Bochang School in Ganghwa Province for the Period of the Great Han Empire)

5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4.09
51P 미리보기
한말 강화지역 사립보창학교의 등장과 성장 -민족과 기독교, 황실의 조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교육사학 / 36권 / 3호 / 1 ~ 51페이지
    · 저자명 : 김성학

    초록

    본고는 학교사적 관점에서 한말 강화지역 사립보창학교의 등장과 성장 과정을 분석하고 그 특질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사립보창학교는 1904년에 8월에 강화 진위대 대대장 이동휘가 읍내 선교계 사립학교들의 영향을 받아 국민개학의 뜻을 이루고자 설립한 육영학교에서 출발했다. 그는 1905년 3월에 군직에서 물러났고 곧바로 읍내 잠두교회에서 기독교 감리교로 개종했다. 이후 그는 강화지역 교육진흥운동에 매진했다. 동년 3월 하순에 육영학교에서는 대규모 강연회를 개최했다. 이는 육영학교가 계몽의 수단으로 기능하며, 감리교와 밀접한 관계 속에서 운영되기 시작했음을 보여주었다. 이어 5월에 고종은 보창학교라는 교명과 내탕금을 하사하였고 경리원에서도 학교 재정을 지원하기 시작했다. 1906년, 정부는 전등사와 적석사의 토지를 보창학교로 이속시켰다. 보창학교는 설립된 지 2년 안에 초등․고등소학과(수업연한 각 2년), 보통과(중학과, 수업연한 3년), 여학과, 사범과(수업연한 2년) 및 어학과정을 거느린 강화지역 중추학교로 성장했다. 1907년 여름에 일본군에 의해 파괴되었지만 1908년 2월에 다시 재건되었다. 이후 대한자강회 안을 계승하고 보창학교를 주축으로 한 강화지역 의무교육안이 마련되고, 사범속성과와 중학과 졸업생을 배출하는 등 보창학교는 1910년까지 강화지역 교육을 선도하였다. 하지만 강제합방 이후에 재정난을 겪다가 1915년에 문을 닫았다.
    보창학교 본교는 과거 강화 진무영 동영(東營) 자리에 설립되어 1907년에 진위대 영사 자리로 이전했다. 모두 과거 군영이 있던 곳이었다. 1905년에 이동휘는 강화지역 세 곳에 지교를 설립했다. 여기에는 경리원과 주민들의 협력이 더해졌다. 지교는 강화 전역으로 확산되어 많을 때는 20~30개 수준을 유지했다. 지교 설립은 이동휘의 직접 설립, 주민 설립 후 승인, 주민청원 후 주민 설립 등의 방식을 취했다. 지교들의 위치는 감리교회 위치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었다. 지교설립자는 감리 교인과 기호흥학회 지회원이 두 축을 이루었다. 지교에는 교감만을 두고, 지교는 모두 본교의 통제를 받았다. 지교의 학과 편제는 본교와 비슷했다. 일제 하 몇몇 지교들은 다른 학교로 전환되어 시골 거점학교로서의 역할을 다했다. 결론적으로, 강화지역 사립보창학교의 등장과 폭발적인 성장은 강화지역의 종교적․군사적․경제적 공간 안에서 이동휘와 기호흥학회 지회원으로 대표되는 민족주의자, 감리교로 대표되는 기독교, 그리고 황실의 역사적 조우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었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rise and growth process of the private Bochang school and figure out its characteristics. The private Bochang school began from Yookyoung school, which was established in August, 1904 by Dong hwi Lee affected at nearby Christian day schools in order to realize a goal of education for all. He resigned from army office in March, 1905 and converted to Christianity at the Jamdu Church in downtown Ganghwa. After this, he pushed on toward establishing schools in Ganghwa province. The Korean king gave the school a name of Bochang and money in May, 1905. Royal Financial Office offered support to school finance. Government granted the land of the temple of JeonDung and Juksuk to it in 1906. Two years after being established, the Bochang school grew to become a central school with several educational courses in Gwanghwa. The school was severely destroyed by Japanese army in summer, 1907. Reconstructing it in February of next year, Lee planned compulsory education in Ganghwa province. The school graduated many students in pre-teacher education course and middle school course. In this way, it led Ganghwa education until 1910. But it closed due to financial problems in 1915.
    The main campus of Bochang school was established at Dongyoung(東營) under the navy camp(鎭撫營) in Gwanghwa at the first time and moved to the past military camp(鎭衛隊) in the year of 1907. Both sites are the places of the military camp. Lee established three branch schools in 1905. Royal Financial Office and people of Gwanghwa supported it. Branch schools spread all over the Gwanghwa, and they amounted up to the number of 20 or 30 in maximum. They were established by three ways of Lee's direct establishment, his approval after people's establishment, and people's establishment after their petition. The location of Bochang schools was closely related with that of Methodist church in Ganghwa. There were many Methodist Christians and the branch members of Gihohunghakhoy(畿湖興學會) among the founders. Branch schools could have only a vice principal and were controlled by the central school. The educational courses of branch school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central school.
    In conclusion, the private Bochang school grew and spread explosively in social and economic condition of Gwanghwa. Nationalists who were represented by Lee, Christianity and the Imperial played a important role in that proc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교육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