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어 학습자 구어 말뭉치의 담화 분석적 논의 - 대화 행위 주석을 중심으로 - (A Discussion on Discourse Analysi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Oral Language Corpus - focusing on the dialogue act annotation -)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6.09
41P 미리보기
한국어 학습자 구어 말뭉치의 담화 분석적 논의 - 대화 행위 주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글 / 313호 / 67 ~ 107페이지
    · 저자명 : 이동은, 김지애

    초록

    이 글은 한국어 구어 담화 연구에 적용하기 위한 대화 행위의 주석 체계를 논의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형태와 통사 주석은 마련된 것이 있지만 담화 차원에서의 주석 체계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한 기준을 제시한 연구가 부재하기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구축에 있어서 담화 차원의 대화 행위 주석 체계를 실험적으로 모색해 보고자 한다. 아울러 대화 행위 주석 체계 정립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주석 작업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단계적 절차 수행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그리고 대화 행위 주석이 실제로 어떠한 연구로 활용될 수 있는지 보이기 위해 주석이 부착된 자료를 활용하여 일상대화에서의 담화 전개 양상을 분석해 보이고 그것이 한국어 담화 교육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논의한다. 합리적 차원의 대화 행위 주석 체제를 마련하는 것은 다차원적이고도 역동적인 담화 의미를 규명하기 위한 출발점이 된다. 또한 학습자 구어 말뭉치의 구축 과정에 이를 적용함으로써 교수·학습과 교재 및 교육 자료 개발에 기여함은 물론 국제 학계에서 한국어 담화 분석과 한국어교육학의 효율적 소통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s on discussing the dialogue act annotation system that can be applied when studying about Korean oral discourse. Since 1990’s, in the field of discourse analysis, an objective research on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oral discourse, started to take place. And since the start of the 21st century, Korean language teaching academia began to actively do analytical research on the oral discours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More recently, At a national level, a task of establishing and utilizing Korean language learners’ corpus is in progress. In order for a large national corpus research to be applied continuously in future researches, developing a annotation system that can effectively handle spontaneous information is necessary. Even though there are forms and syntax annotation system that are already developed, we still lack researches that clearly defined the standard for a annotation system at a discourse level. Therefore, this research seek to develop a dialogue act annotation system at a discourse level through experiments. The foundational theories that helped develop a reasonable Korean dialogue act annotation system were the various researches done by different corpus language departments, but the main reference that was used was the result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by ISO. In first experiment, we provided 14 tags and requested 2 inexperienced taggers to do a trial conversation. Using the problems and implications as base, we added an additional tag and performed the second trial using 15 tags. To increase the credibility on the second experiment, we broke down each stage of the trial. First, the taggers performed their own test. Second, they cross examined each others results and finally gave chance to discuss and revise the results together. If the taggers cannot come to an agreement, one of the skilled researchers will listen to the sound file and judge the final tag. Through the experimental process, we were able to further examine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a dialogue act annotation system, and discuss ways to increase the credibility by separating each part of the experiment stages. And to find out how dialogue act annotation can be utilized in other experiments, we applied the materials that includes the tags to daily conversation and analyzed the developing aspect of conversation. Using the result of the analysis, we further examined how it can be applied to teaching Korean discourse. Establishing a rational dialogue act annotation system is a starting point to deeply understanding the multi-dimensional and yet more dynamic meaning of the corpus. Also, by utilizing the information when establishing learner’s oral corpus, it will not only contribute to developing teacher and student learning materials, but can also expect more efficient communication on analytical Korean discourse and Korean linguistic education at international academ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