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 말 20세기 초 영국 언론의 한국 ‘형상화’와 제국주의적 여론 형성 (The Figuration of Korea and Formation of Imperialistic Public Opinion by British Press from the Late 19th to the Early 20th Century)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8.08
35P 미리보기
19세기 말 20세기 초 영국 언론의 한국 ‘형상화’와 제국주의적 여론 형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문화연구 / 47권 / 87 ~ 121페이지
    · 저자명 : 김소영

    초록

    영국 언론은 19세기 중반부터 “미지의 나라”였던 한국에 대해 보도하기 시작했다. 1876년 조선이 ‘개항’하자 영국 언론의 보도는 더욱 빈번해졌지만 여전히 서구국가들에게는 ‘문호’를 개방하지 않자 “은둔의 나라”라는 이미지가 지속되었다. 1880년대 조영수호통상조약 체결과 거문도 점령 사건으로 영국 언론의 보도가 급증하고 더 많은 정보를 통해 “은둔의 나라”라는 조선의 이미지는 퇴색되어 갔다. ‘새로운’ 정보는 거문도 사건을 중심으로 조선의 지리적 위치와 전략적 중요성을 강조했지만 경제적, 정치적 측면에서 ‘낙후’하고 ‘혼란’하다는 것이었다. 영국 언론은 동학농민전쟁과 이어 청일전쟁이 발발하자 조선을 청과 일본의 ‘갈등’과 ‘분쟁’의 원인으로 ‘대상화’하기 시작했다.
    1900년대에 접어들면서 영국 언론은 동아시아에서 러시아의 영향력이 확대되는 것을 우려하며 한국이 러시아의 세력권에 들어가기보다는 일본이 한국을 ‘보호’하는 편을 지지했다. 한국정부나 한국민을 행위나 의지의 주체가 아닌 객체로만 취급하며 러시아와 일본간의 갈등과 분쟁의 원인, 그리고 ‘점령’의 대상으로만 ‘사물화’했다. 1904년 러일전쟁이 발발한 직후 일본이 한국을 강제하여 ‘한일의정서’를 체결하자 영국 언론은 이를 일본이 한국과 한국의 황제의 지위를 이집트와 헤디브(khedive)의 지위로 만들려는 것으로 이해했다. 또한 ‘의정서’ 체결 이후 일본의 대한정책을 ‘혜택’으로 평가했다. 1910년 8월 일본은 한국을 완전한 식민지로 만들었다. 이러한 사건들에 대해 영국 언론은 청일전쟁, 러일전쟁의 결과 한국이 일본의 ‘보호국’이 되고 다시 일본의 식민지가 되는 것은 “당연한 귀결”로 보도했다.
    이처럼 1905년을 전후하여 1910년까지 일본이 한국을 ‘보호국’화하고 다시 식민지로 만드는 과정에 대한 영국 언론의 보도는 제국주의적 언론의 속성을 여실히 드러냈다. 즉 영국의 이익이라는 측면에서 한국의 현상 변화에 관심을 가지기도 했지만 일본이 한국을 식민지화하는 것을 당연한 귀결로 보도했다. 또 일본의 한국 통치를 영국의 이집트 통치에 비유하며 제국주의 팽창과 통치를 “문명의 혜택”으로 긍정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British press media represented Korea by analyzing the press articles from the end of 19th to the early 20th century. Britain at the time was the most powerful imperialist in the aspect of economic and military and british media got a powerful influence leading global public opinion as well. Therefore, the articles of British press could affect the various countries’ public as well as British.
    The articles of newspapers and periodicals dealing on Korea were selected and analyzed by period and subjects. As a result, it was found out that what image of Korea British press made, which direction the image of Korea led british public opinion to and what influenced British government’s policy of Korea.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Britain started by conclusion of treaty in 1883. Since then, Korean images made by British media had changed from ‘the unknown’ and ‘hermit nation’ to the ‘backwardness’, ‘impotentness’ and ‘object of dispute’, which were all negative. They formed public opinion by reporting on Korea based on typical imperialism which justified act of aggression on the pretext of ‘civilization’. With this formation of public opinion they supported or put pressure on government's policy on Korea.
    The imperialist characteristic of British press exposed clearly in the process of Japanese protectorate over Korea in 1905 and annexation of it in 1910. They reported that it was very reasonable that Korea became a protectorate and colony by Japan which were emerging as new imperialist power and were interested in only keeping British interests even after the alteration of Korean statu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