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설 말뭉치 기반 한국어 ‘-아/어 버리-’와 우즈베크어 ‘-(i)b tashla-’ 대조 연구 (Contrastive Study of Korean ‘–a/eo beori–’ and Uzbek ‘–(i)b tashla–’ Based on a Novel Corpus)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24.12
20P 미리보기
소설 말뭉치 기반 한국어 ‘-아/어 버리-’와 우즈베크어 ‘-(i)b tashla-’ 대조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다문화융합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Multiculture and Education / 9권 / 4호 / 83 ~ 102페이지
    · 저자명 : 주은진

    초록

    한국어 ‘버리다’와 우즈베크어 ‘tashlamoq(버리다)’은 본동사의 의미가 유사하여보조동사로 쓰일 때도 학습자들이 이해하기 쉬울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우즈베크인 학습자의 오류 말뭉치를 살핀 결과 용례를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우즈베크어 소설 말뭉치를 기반으로 한국어 보조동사‘-아/어 버리-’와 우즈베크어 보조동사 ‘-(i)b tashla-’를 대조 분석하여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으로는 한국어-우즈베크어 소설 말뭉치를 구축하여이를 통해 ‘-아/어 버리-’와 ‘-(i)b tashla-’의 선행 동사와 후행 요소를 분석하였다.
    ‘-아/어 버리-’와 ‘-(i)b tashla-’ 모두 일이 끝난 결과를 나타내는 완료 상의 의미를가지며 아쉬움과 시원함의 양태적 의미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i)b tashla-’는완료의 의미보다 강조하는 의미가 가장 많음을 알 수 있었고 반복의 의미도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한국어 보조동사 교육에서 이러한 유사점과 차이점을 명시적으로 대조하여 가르친다면 학습자들의 이해와 사용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Korean verb ‘beorida’ and the Uzbek verb ‘tashlamoq (beorida)’ share similar meanings as main verbs, suggesting that learners might find it easy to understand these verbs when used as auxiliary verbs. Despite the semantic similarity between the base verbs ‘beorida’ in Korean and “tashlamoq” in Uzbek, which could facilitate learners’ comprehension of their auxiliary verb forms, an analysis of error corpora revealed few examples of usage by Uzbek learners of Korean. Therefore, this study contrasts and analyz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auxiliary verb ‘-a/eo beori-’ and the Uzbek auxiliary verb ‘-(i)b tashla-’ based on a Korean-Uzbek novel corpus.
    As a research method, a Korean-Uzbek novel corpus was constructed, through which the preceding verbs and following elements of ‘-a/eo beori-’ in Korean and ‘-(i)b tashla-’ were analyzed. It was confirmed that both ‘-a/eo beori-’ and ‘-(i)b tashla-’ convey the aspectual meaning of completed actions and the modal meanings of regret and relief. However, ‘-(i)b tashla-’ exhibits a stronger emphasis on the expressive meaning and also conveys a repetitive nuance, which is less evident in the Korean counterpart. Therefore, explicitly contrasting thes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education of Korean auxiliary verbs could enhance learners’ understanding and usage rat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Multiculture and Education”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