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선 토론 담화에서 나타나는 말차례 끼어들기와 반응하기 현상 연구 (A study on the turn–taking interrupting and response phenomenon appearing in the presidential debate discourse)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22.11
38P 미리보기
대선 토론 담화에서 나타나는 말차례 끼어들기와 반응하기 현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문학 / 81권 / 81호 / 1 ~ 38페이지
    · 저자명 : 박순형, 최지현

    초록

    이 연구에서는 2022년 대선 후보자 토론 담화에서의 말차례 끼어들기와 반응하기가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분석 자료로 2022년 대선 토론 중 ‘방송 3사 합동초청 2022 대선후보 토론’ 및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초청대상 후보자토론회(정치분야)’를 사용하였다. 각 2시간 분량인 자료 내에서 말차례 끼어들기와 반응하기 현상이 나타난 부분을 전사 후 분석하여 해당 전략이 사용된 빈도수를 집계한 뒤 그 결과를 살펴보았다. 전사한 분량은 약 5,787어절로 공통 주제의 단위로 발화를 묶어 단락을 구분하면 약 170개의 문단이다.
    말차례 끼어들기는 우발적 말차례 끼어들기 5.1%, 의도적 말차례 끼어들기가 94.9%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후보자 대부분이 토론 중 말차례 끼어들기를 전략적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의도적 말차례 끼어들기에서 우호적 말차례 끼어들기는 ‘청자반응신호 > 친밀감 증진 > 명료화 요청 > 대화 공동 구성’, 비우호적 말차례 끼어들기는 ‘거부·반대하기 > 부정적으로 평가하기 > 발끈하기’, 중립적 말차례 끼어들기는 ‘말차례 순서 짚어주기 > 다음 순서 진행 > 분위기 전환 > 화제 이탈 방지’ 순으로 나타났다. ‘말차례 반응하기’에서는 ‘말차례 유지하기’ 79.8%, ‘말차례 넘기기’가 20.2%로 선행 화자는 말차례 끼어들기에 대하여 자신의 차례를 유지하려고 하는 경향이 큼을 알 수 있다. 말차례 유지하기에서 ‘무시하기 > 짧게 반응 후 유지하기’, 말차례 넘기기에서 ‘발화 중단하기 > 대꾸하기’ 순으로 나타났다.
    대선 토론 담화에서는 짧은 시간 내에 후보자들이 유권자들의 선택을 더 많이 받기 위한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임하기 때문에 후보자 자신의 공약과 역량을 돋보이기 위해 말차례 끼어들기와 반응하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대선 후보자 토론 2회분만를 대상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는 점과 비언어적인 요소 중 후보자들의 행동만을 요소로 다루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으나 기존 토론 담화의 말차례 끼어들기와 반응하기 연구들과는 달리 발생빈도에 대한 분석을 제시하며 계량적인 분석과 기술적인 분석을 모두 다루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고 본다. 향후 토론자의 화법이나 운율적 요소를 함께 고려하여 말차례 끼어들기와 반응하기의 특징은 어떠한지에 대해 살펴본다면 더 나은 연구 성과를 보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tried to clarify in detail the patterns of turn-taking interrupting and response to them in the 2022 presidential candidate debate discourse. Among the 2022 presidential debates, "Joint Invitation in three broadcasting companies 2022 Presidential Candidate Debate" and "Candidate Debate for Invitation by the National Election Debate Committee" were used were used as analysis data. Within each two-hour data, the part turn-taking interrupting and response occurred was analyzed after transcription, the frequency the strategy was used was aggregated, and the results were examined. The transcribed volume is about 5,787 words, which is about 170 paragraphs when the paragraphs are grouped into units of common topics.
    Turn-taking interrupting was found to be 5.1 percent of accidental turn-taking interrupting and 94.9 percent of intentional turn-taking interrupting. It can be seen that most of the interventions are strategically used by candidates. In intentional turn-taking interrupting, friendly turn-taking interrupting appeared in the order of ‘audience response signal > intimacy request > dialogue co-organization’, ‘rejecting and opposing > evaluating negatively > getting angry’, and the neutral turn-taking interrupting was in the order of ‘pointing out the order of the turn-taking > proceeding the next order > changing the atmosphere > preventing departure from the topic’.
    Turn-taking response was found to be 78.9 percent of maintaining the turn-taking and 20.2 percent of turn-taking. This is because the preceding speaker has a large tendency to maintain his or her turn regarding the subsequent speaker's interrupting in his or her turn. In the maintenance of the turn-taking, it was in the order of ‘ignore > maintenance after a short reaction’, and in the act of passing the turn-taking, it was in the order of ‘stop firing > answering back’.
    In the presidential debate, it was found that candidates actively use turn-taking interrupting and response, unlike other debates, to highlight their pledges and capabilities, because they have a clear purpose to receive more voters' choices in a short period of time.
    Although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at it dealt with only candidates' behavior among nonverbal factors,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an analysis of frequency and deals with both quantitative and technical analysis, unlike previous studies. In the future, better research results will be possible if we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urn-taking interrupting and response in turn by considering the debater's speech method and prosody factors toge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