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 말 性理學 서적의 수용과 성리학적 문학 담론 양상 고찰 (A Study on the Acceptance of Books concerned Neo-Confucianism at the End of Goryeo and the Aspects of Neo-Confucian Literature discourse)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20.10
34P 미리보기
고려 말 性理學 서적의 수용과 성리학적 문학 담론 양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 / 57권 / 35 ~ 68페이지
    · 저자명 : 류화정

    초록

    고려 말 性理學 서적과 주요 인물들에 대한 정보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하지만 성리학의 수용이 성리학적 문학관의 이해를 동반한 것은 아니다. ‘성리학적 문학관’이라는 것은 실체는 없지만, 성리학을 수용한 지식인들에게 문학에 대한 인식 변화를 유도했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무엇이 어떻게 변했고, 그 실마리가 되는 생각은 어디서 유래했는지는 좀 더 세부적으로 밝힐 필요가 있었다. 본고에서는 서적의 수용이라는 외부적 관점에서 성리학적 문학관의 기원을 밝혀보고자 했다. 사상의 轉移는 서적의 수용도 하나의 動因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단 성리학을 수용하기 전에는 蘇軾과 黃庭堅의 기교를 배우기 위해 골몰했다면, 성리학을 배운 이력이 있는 白文寶의 경우 經典에 나오는 문구들을 인용하여 성리학적 문학관을 피력했다. 그런데 그가 주로 언급한 내용이나 표현은 『四書集註』와 『近思錄』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다음으로 고려에 들어온 성리학 텍스트들을 조사해서 구체적인 서지 정보를 획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그 속에 있는 문학 담론들을 추출하여 의미를 해석해 보았다. 실제로 고려로 들어온 성리학 서적들을 검토해 본 결과, 성리학적 문학관을 비교적 선명하게 인식할 수 있는 텍스트는 『四書集註』와 『近思錄』이었다.
    그렇지만 고려 말에 성리학을 접한 지식인들은 극소수에 불과하고, 성리학 서적 속에 산발적으로 담긴 성리학적 문학관을 인지하고 창작으로 옮겨가는 과정은 오랜 시간이 필요했던 것으로 보인다. 성리학을 배우고 인식의 변화를 보이는 자료들도 있지만, 여전히 기존의 문학관을 고수하거나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이것은 성리학적 문학관을 처음 인식하여 이해하는 과정에서 보이는 과도기적인 모습으로, 매우 자연스러운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Information on books concerned Neo-Confucianism and key figures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is already widely known. However, the acceptance of Neo-Confucianism does not accompany the understanding of the Neo-Confucian Literature Ideas. ‘the Neo-Confucian Literature Ideas’ doesn't really exist, induced the intellectuals who embraced Neo-Confucianism to change their perception of literature. In particular, it was necessary to reveal in more detail what has changed and where the idea of the clue originates. In this book, I wanted to reveal the origin of the Neo-Confucian Literary Ideas from an external perspective of accepting books. This is because the acceptance of books can be a factor in the movement of thought.
    Once they had been bent on learning So Sik(蘇軾) & Hwang Jeong Gyun(黃庭堅)`s skills before accepting Neo-Confucianism, Baek Mun-bo(白文寶), who has a history of learning Neo-Confucianism, the Neo-Confucian Literary Ideas was expressed by quoting the phrases in the Confucian classics. But what he mainly mentioned or expressed was derived from Sishu jizhu(『四書集註』) & Jinsilu(『近思錄』). Next, I examined the Neo-Confucian texts that entered Goryeo to obtain specific bibliographic information, and based on them, I extracted the literary discourse in it and interpreted the meaning. After examining the biblical books that actually came into Goryeo, Sishu jizhu(『四書集註』) & Jinsilu(『近思錄』) was the text that could recognize the Neo-Confucian literature relatively clearly.
    However, only a small number of intellectuals encountered Neo-Confucianism at the end of the Goryeo, and the process of recognizing and moving to creative Neo-Confucian literature sporadically contained in Neo-Confucian books seems to have taken a long time. Some materials show a change in perception and learning Neo-Confucianism, but others still stick to existing literary views or fail to completely deviate from them. But this is a transitional form seen in the process of first recognizing and understanding Neo-Confucian Literature Ideas, and I think it is a very natural proc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