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말(Ram Adhar Mall)의 상호문화적 해석학과 문화적 중첩 (The intercultural hermeneutics and cultural overlap in Mall)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4.09
31P 미리보기
말(Ram Adhar Mall)의 상호문화적 해석학과 문화적 중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범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범한철학 / 74권 / 3호 / 501 ~ 531페이지
    · 저자명 : 조해정

    초록

    말의 상호문화철학의 기획은 ‘상호문화적 비교철학’ 내지 ‘상호문화적 해석학’으로 특징된다. 그는 해석학의 모델을 ‘동일성 모델’ ‘차이의 모델’ ‘유비적 모델’의 세 가지로 구분하고, 그 중에서 ‘유비적 모델’을 상호문화적 해석학에 적합한 모델로써 제시한다. ‘동일성 모델’은 자신의 전통을 보편타당한 기준으로 삼기 때문에 타문화에 대한 이해에서 타자의 고유성을 말살시키고 자기 이해를 확장하려고 한다. 반면 전적인 ‘차이의 모델’은 문화들 사이의 차이를 절대시하기 때문에 대화 가능한 출발점이 부재하게 된다. 다만 차이 모델에서는 타자가 타자로서 인정된다는 점에서는 ‘동일성 모델’보다 진일보한 측면이 있지만, 상호관계성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동일한 한계를 보인다. 오직 ‘유비적 모델’의 해석학만이 타자의 타자성이 무시되거나 환원되지 않고 이해에 도달하는 상호문화적 해석이 가능하다.
    상호문화적 해석의 가능성은 문화들 사이의 중첩(겹침, Überlappung)에 있다. 겹침만이 해석을 허용하기 때문이다. 문화들 사이의 중첩개념은 전적인 차이도 전적인 동일성도 아닌 유비적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개념이다. 중첩 및 유비적 개념은 유적 개념의 차원에서는 근본적으로 다른 두 종류의 문화들이지만, 맥락적인 문화 전통의 구체적인 사례에서, 그리고 그 상위 개념을 통해서 유사성으로 드러난다. 가령 인도 논리학과 서양 논리학은 유적 개념으로서는 서로 다른 두 개의 논리학이지만, 새로운 지식 획득을 위한 추론과 논거를 제공하려 한다는 점에서, 따라서 논리학이라는 상위 개념에서 겹친다. 그러나 인도 논리학은 논거를 경험적 사례에 의거하는 귀납의 방식으로 추론하고, 서양 논리학은 형식적 타당성에 의거하는 연역적 방식으로 추론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여기서 상호문화철학의 관점은 어느 한편의 관점을 중심으로 하여 다른 편의 결여로 판단하거나 변형시키지 않는다. 상호문화적 이해는 타자성을 훼손하는 것이 아니라 남겨 둠으로써, 논리학이라는 보편적 인식의 확장으로 이끈다.

    영어초록

    The plan of intercultural philosophy for Mall is characterized as ‘intercultural comparative philosophy’. He distinguishes three kinds of the model of hermeneutics, which are ‘identity model’, ‘model of difference’ and ‘analogical model’. He presents the ‘analogical model’ of them as a suitable model for intercultural hermeneutics. If you read many other cultures on the ground of the ‘identity model’, you will destroy the uniqueness of the other cultures and try to expand the only uniqueness of this model, because you insist that 'identity model' has the universal validity and the criteria for all the traditional cultures. If on the ground of the ‘model of difference’, there is no starting point here to hold dialogue between different cultures. The ‘model of difference’ thinks a variety of cultures as they are. So this model goes further than the ‘identity model’, but these two models have the same mistakes in that the models don't accept the mutual relationship. Now we have the only ‘model of difference’ that regard a variety of cultural differences as they are in itself, we can reach at the understanding of cultural differences through this model. This model doesn't ignore cultural differences and doesn't reduce the otherness of the other cultures to the universaliy of culture, so we can interpret a variety of cultures and accept the differences as they are.
    There is a overlap(Überlappung) between the cultures, in this overlap we can find the possibility of intercultural interpretation. Because only in the overlap between the cultures, the possibility of interpretation will be held. The overlap between different cultures can make cultural differences niether as equality, nor as difference, only as analog. This analogical concept allows the analogical interpretation. The concepts Overlap and analog are two types of cultures that have essential difference. But we can reveal a similarity through these concepts, as a concrete example in the context of culture and tradition. For example, Indian logic and Western logic are two different types of logic, but these are still logic, because these logics attempt to provide grounds for the acquisition of new knowledge.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methods of two logics, Indian logic generally use inductive reasoning based on empirical cases, and Western logic deductive reasoning based on the formal validity. In this point,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 philosophy don't judge the other cultures to be the lack of universality and validity on the ground of centralism. So intercultural understanding can recognize different cultures to be right, without denying the otherness, and lead us to a logic which will extend universal knowled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범한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