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6세기 말∼7세기 고구려 지배세력의 대외인식과 대외정책 (The foreign relations realization of Koguryo governing power between the late 6th and 7th centuries)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1.06
43P 미리보기
6세기 말∼7세기 고구려 지배세력의 대외인식과 대외정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번역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 / 37권 / 37호 / 149 ~ 191페이지
    · 저자명 : 윤성환

    초록

    그동안 고대국가 지배세력의 대외관계 인식에 관한 연구는 관련 사료 부족 등의 이유로 제대로 검토되지 않았다. 그러나 한 국가의 대외정책 결정과정에서 지배세력의 대외관계 인식이 차지하는 비중을 고려한다면, 이를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특히 6세기 말∼7세기는 삼국, 더 나아가 사실상 동아시아 전체가 전쟁의 소용돌이에 휩싸인 격변기였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이에 이 글에서는 6세기 말∼7세기 격변기의 국제질서를 주도했던 고구려의 대외관계 인식을 검토하였다.
    영양왕이 즉위한 무렵, 왕실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던 溫達은 이른바 故土回復論을 제기하였다. 그 내용은 지역적으로는 한강 유역, 대상 국가로는 신라에 대한 군사적 공격을 통해 빼앗긴 옛 고토를 되찾아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 고토회복론은 뒷날 淵蓋蘇文에게까지 이어진 것으로, 당시 고구려 지배세력이 일정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성격의 것이었다. 그런데 온달에 의해 제기된 초기 고토회복론에선 고토회복의 대상으로 백제는 거론되지 않고 있었다. 전통적으로 5세기 이래 고구려와 백제는 상호 적대적 인식을 거듭해왔고, 또 현전 기록상 적어도 607년 무렵까지는 고구려가 여전히 백제를 신라와 함께 잠재적 위협 세력으로 간주한 것이 확인됨에도 불구하고 왜 이 같은 현상이 일어났는지 의문이 아닐 수 없는데, 아마도 이는 온달이 고토회복론을 제기하며 출정에 나선 시기에 주목해볼 때 당시 고구려의 대수정책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즉, 수의 중원 통일 직후 수 문제가 보낸 璽書에 대한 대응으로, 고구려는 수와의 타협안을 모색했고, 이런 속에서 일찍이 수 중심의 국제질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던 백제에 대한 공격론을 자제했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연개소문의 고토회복론은 온달의 그것과는 역사적 근거를 달리하는 것으로서, 특히 그는 고구려 서·북방에서의 대외적 위기와 신라에 대한 고토회복론이 전혀 무관한 것이 아님을 명백히 했다. 그리고 對隋戰爭을 거치며 고구려와 백제의 관계는 비공식적 접촉을 통해서나마 점차 개선되어간 반면 신라와의 관계는 연개소문의 언급에서 확인되듯 적어도 악화된 것으로 보인다. 이런 역사적 배경 역시 연개소문의 대신라관계 인식에 일정한 영향을 주었으리라 생각되며, 그가 집권한 뒤 김춘추의 우호 제의를 사실상 거부한 것 역시 이 같은 대외관계 인식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인다.
    다음으로, 6세기 말∼7세기 고구려의 對隋·對唐關係 인식을 살펴보았다. 580년대 초반, 고구려는 요서지역을 둘러싸고 수와 대립을 겪으면서 점차 위기의식이 고조되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고구려는 585년 南朝의 陳에 사절을 파견하고 있다. 이때의 遣陳使 파견은 5세기 대의 외교적 경험을 바탕으로 추진된 것으로 여겨지는데, 이후 수와의 갈등이 첨예화되는 가운데에도 더 이상 진과의 외교를 추구하지 않은 것은 아마 이때에 이르러 진의 國勢를 정확히 인식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이에 고구려는 수에 대해 더욱 적극적인 군사적, 외교적 대응 조처를 강구하는 가운데 수의 중원통일을 접했다. 아울러 수 문제의 경고성 새서도 고구려에 보내졌다. 기왕의 지적처럼 5세기 이래의 국제질서가 붕괴되었다는 점에서 고구려 지배세력의 위기의식은 고양되었으나, 일단 영양왕이 즉위하여 수와의 타협을 모색했는데 이 과정에서 고구려는 수의 ‘祥瑞’를 축하하고, “고(구)려왕”으로의 改封을 요청했다. 이는 이제 고구려가 수의 중원통일을 현실로 수용하고, 현실성이 떨어지는 5세기 대의 외교적 경험이 아닌 바로 580년대 대수관계에서의 외교적 경험과 인식을 대수정책 결정 과정에서 활용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수와의 1차 전쟁을 거치며, 고구려는 수의 세력 팽창과 확장이라는 현실에 대한 인식을 더욱 분명히 했다.
    이 같은 수대의 경험은 당이 건국된 이후 고구려의 대당정책에도 일정하게 반영되어 나타났다. 영류왕 대 고구려는 외형상으로는 당에 대해 온건화평책을 추구했으나 이면적으로는 당에 대한 경계심을 늦추지 않으며, 백제·신라의 대당통교를 차단하고, 당의 세력 팽창에 민감하게 반응하였는데, 이는 고구려 지배세력이 수대의 경험을 통해 중국 통일 왕조의 대외적 팽창에 관한 속성을 인식하고 있었음을 잘 보여주는 사례라 하겠다. 이처럼 고구려의 대수·대당관계 인식과 정책 결정은 과거의 역사적 경험이 그 주된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Historically, foreign relations realization of governing power is important in the foreign relations history study. by the way, in relation to ancient history of Korea studying about this subject is not active. Hereupon this study tried general approach about the foreign relations realization of Koguryo(高句麗) governing power between the late 6th and 7th centuries.
    The late 6th century, one´s native place restoration argument which is proposed by Koguryo governing power is the slogan including whole governing power. Also, that is included realization about relations with Baekje(百濟) and Shilla(新羅). The content is that Han River(漢江) basin loss by Shilla will be able to aggravate a foreign crisis especially of northwest. Therefore Shilla become an target of force attack. This foreign relations realization based on one´s native place restoration argument matched up to foreign south policy the influence. Above all, a margin is made Combining with Baekje. Eventually, foreign relations realization based on one´s native place restoration argument was a result of new grope faithful in reality under new circumstances change.
    Next, look around the realization and understand about relations with Sui(隋) of Koguryo. In the early years of the Sul establishment of a country, the foreign relations realization about Sui which Koguryo governing power had based on historic experience since 5th century with relations with China(南北朝). The reason why critical consciousness of Koguryo governing power reached the peak is collapsed international environment of 5th century. But, war si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critical consciousness of Koguryo governing power is caused by reality that extensive expansion of Sui. Also, a view of the world that is traditional thing of Koguryo people haven´t changed.
    Meanwhile, the realization about relations with Tang(唐) of Koguryo based on historic experience of Sui a period. In conclusion, the foreign relations realization of Koguryo governing power between the late 6th and 7th centuries is created by the reality of the age and historic experi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