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1세기말 12세기초 殷元忠의 활동과 사상 경향 (Eun Won-chung’s Activity and Thought Inclin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8 최종저작일 2013.08
32P 미리보기
11세기말 12세기초 殷元忠의 활동과 사상 경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학연구 / 51호 / 1 ~ 32페이지
    · 저자명 : 변동명

    초록

    殷元忠은 11세기말에서 12세기초를 살아간 草野의 學人이었다. 無等山 일원에서 은일의 삶을 누리다 국왕의 부름을 받아 중앙으로 올라가 출사하였지만, 미관말직에 재임했을 뿐 뚜렷한 행적을 남기지 못하였다. 자연히 그의 생애를 전하는 기록도 극히 영세하며, 그의 가문이나 世系 역시 알려진 바가 없다. 그에게 관심을 기울인 연구자를 찾기 힘든 것은 당연해 보인다.
    그렇지만 은원충은 생존하던 당시 벌써 상당한 명성을 지닌 인물이었다. 지방의 일개 처사에 지나지 않던 그를 국왕이 개경으로 불러 올렸음이 사서에 전한다. 또한 그와 교유했던 李資玄이나 李仲若은 고려중기 사상계에 새로운 기풍이 일도록 고취한 것으로 이름있는 인물들이었다. 비록 그 행적이 도드라져 보이지는 않지만, 은원충은 관심을 베풀기에 부족함이 없는 인물이었다.
    무등산처사 은원충의 행적을 살피고 더불어 그러는 가운데 드러난 그의 사상 경향과 그 의미를 헤아리려는 게 이 글의 목표였다. 그리하여 당시 고려사회에서 새로운 사상적 풍조가 고개를 들기에 이른 의미를 되새기며, 나아가 그와 같은 신선한 기풍의 진작에 지방지식인이라 일러 무방할 초야의 학인이 나름대로 기여하였음을 이해함으로써, 고려중엽 들어 성장을 거듭하던 지방사회의 한 단면이나마 드러내고자 시도하였다.
    무등산처사 은원충은 국왕의 부름을 받기 전부터 이미 지방과 중앙에 그 이름이 알려진 인물이었다. 가야산에 들어가 수행 중이던 이중약으로 하여금 월출산으로 옮겨가 道家的 수양을 지속하도록 그가 유도하였다든지, 혹은 관직생활을 하던 이자현이 마침내 청평산 문수원에서 은일의 삶을 누리기로 결정하는 데 그가 영향을 미쳤다는 기록 등이, 그러한 증거였다. 또한 은원충은 도가와 풍수지리 그리고 불교 등과 두루 연결된 삶을 누린 인물이었다. 처사라 불리며 이자현이나 이중약과 연계를 맺었던 데서 그의 도가적 취향이 드러나는 것은 물론이고, 道詵의 설을 앞세워 예종에게 남경 천도를 권유하였다는 기록에서는 풍수지리 전문가로서의 그의 명성이, 그리고 선승 翼宗 및 이자현과의 교유에서는 그가 불교계와도 교분을 맺었던 사실 등이 각각 확인된다. 고려중기에 非儒敎的인 삶을 지향하며 은일을 선택한 가운데 무등산에 묻힌 초야의 학인으로서, 지방과 중앙에 그 이름을 알린 이가 곧 무등산처사 은원충이었다.
    무등산처사 은원충은 나름의 명성을 바탕으로 肅宗의 부름을 받아 중앙으로 진출하였다. 고려중엽 중앙에서 활동하던 한두 殷氏들, 각별히는 태자시절 睿宗의 후궁이던 은씨와의 연고가 주요한 배경이었다. 개경에 올라간 은원충은 예종과 밀착된 가운데, 이중약을 천거하여 그의 출사에 도움을 주며, 남경 건설과 경영 및 대여진정책에서 일정한 역할을 담당하고, 더불어 『해동비록』의 편찬에도 간여하였을 가능성이 있는 등, 왕권을 옹호하고 강화하는 방향에서 활동하였다. 예종과의 연고에 힘입어 중앙으로 진출하였으며, 이후 예종의 측근에서 정치개혁에 참여하여 왕실을 옹호하고 국왕의 정치적 주도권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였다.
    무등산처사 은원충은 도가적 삶을 지향하였다. 그리고 이중약과의 밀착된 관계에서 짐작할 수 있는 것처럼, 그것은 결과적으로 고려 敎團道敎의 성립을 예비하는 일이기도 하였다. 이중약의 경우와 같이 직접적이지는 않지만, 은원충은 고려중기 도교에서 새로운 바람이 이는 데 나름의 기여를 한 인물이었다. 더불어 풍수지리에 조예가 깊었던 그는, 고려 풍수지리사상의 새로운 전개에도 간여하였을 가능성이 높았다. 나아가 불교계와의 교분을 통해 거사불교가 대두하고 선종이 부흥하며 천태종이 개창하는 데 연계됨으로써, 은원충은 고려중기 불교계에서 신사조가 대두하는 것과도 무관하지 않은 인물이었다. 은원충의 그러한 활동이 궁극적으로 국왕 중심의 정치개혁을 뒷받침하는 방향에서 추진된 사실도 또한 그냥 지나쳐서는 안 될 대목이었다.
    은원충은 고려왕조 하의 정규적인 교육에서 일찍이 멀어진 채 은일의 삶을 선택한 인물이었다. 초야의 일개 학인으로서, 고려중기 들어 신사조의 기풍이 경쟁적으로 고개를 들고 분출하는 데 기여하였다. 非儒敎的 성향의 지방지식인으로서 중앙의 사상계에서 변혁적인 전환의 움직임이 일도록 고취하는 데 두루 간여한, 보기 드문 인물이 곧 은원충이었다.

    영어초록

    Eun Won-chung lived in a remote village as a seclusive scholar from the end of the 11th century to the early 12th century. He was entered in the central government by the King’s calling and left his name on the history book. However, Eun Won-chung had already known to the local and central society before he became a governor. The evidence was the record that he had an effect on the retired life of Yi Jung-yag and Yi Ja-hyeon.
    Eun Won-chung enjoyed Taoism, Feng-shui, and Buddhism, etc through his life time. We can see that he had a taste for Taoism as he, calling a seclusive scholar, was acquainted with Yi Jung-yag and Yi Ja-hyeon. The fact that he was famous for a Feng-shui expert was confirmed by the document which said that he invited king Yejong to transfer the capital to Namgyeong depending on monk Doseon’s Feng-shui theory. Owing to the fact that he had mingled with Yi Ja-hyeon and the monk Ikjong. it reveals that he had a relationship with Buddhists. Eun Won-chung, while being a scholar who pursued a non-Confucian life, chose the life of a hermit on Mudeung-moutain in the middle of Koryo dynasty.
    Eun Won-chung entered in the central government owing to his relationship to a lady of the Euns ― a royal concubine of king Yejong. After he came to Gaegyeong, he helped Yi Jung-yag to move for office, and intervened in Namgyeong management and policy-making against Jurchen and the formulation of Feng-shui thought. Eun Won-chung participated in political reform as a king Yejong’s close associate and contributed to support the royal family and strengthen the political leadership of the king.
    The Taoistic life that Eun Won-chung pursued, contributed to bring about a new trend of the times in Taoism in the middle of Koryo. In addition, because he versed in Feng-shui, he intervened to take a new turn of Feng-shui thought. Furthermore, throughout the relation with Buddhists, he made a contribution to emerging the new stream of Buddhism in the middle of Koryo. As a seclusive scholar in a remote village, he was an uncommon person who contributed to make a big change of movement in the central thinking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