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말 기독교 신문의 근대국가론 : 인민을 중심으로 (Inmin and the Modern Nation in Christian Newspapers during the Late Joseon Korea)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08.09
30P 미리보기
한말 기독교 신문의 근대국가론 : 인민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기독교와 역사 / 29호 / 5 ~ 34페이지
    · 저자명 : 류대영

    초록

    이 논문은 「죠션크리스도인회보」와 「그리스도신문」이 펼친 문명개화론 가운데 근대국가 건설과 관련된 기사들을 분석했다. 민족주의나 민족국가에 관한 최신의 이론을 적용하여 「회보」와 「신문」을 분석하고, 두 신문이 전한 근대국가 개념의 핵심요소를 ‘인민'이라는 새로운 용어를 중심으로 드러내려고 했다. 두 신문은 먼저 조선이 청일전쟁의 결과로 독립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고 보고, 문명개화를 통해 참된 독립국, 즉 근대국가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명개화는 근대국가를 형성하는 데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인식되었다.
    두 신문에 따르면 근대국가의 기초가 되는 것은 주권을 가진 인민이었다. 인민은 전근대 사회에서 피지배층을 의미하던 백성이나 신민과 구별되는 용어로서 문명개화와 근대국가의 중심이었다. 근대국가는 자유와 평등과 같은 인민의 인권을 법으로 보장하며, 그들이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하는 국가다. 이를 위해서 근대국가는 공정한 법을 만들고 공의로운 정치를 펼친다. 두 신문은 한글 사용을 근대국가 형성을 위해 대단히 중요한 요소라고 본다. 한글은 민족어를 적는 민족 문자로서 전근대 동양의 지배층 문자였던 한자와 대비된다. 두 신문은 한글의 우수성과 편리함을 칭찬하면서 한문의 어려움과 불편함을 신랄하게 비판했다. 민족문자인 한글의 사용은 인민이 주인의식과 공동체 의식을 가지게 만들었다. 이 일에 크게 기여한 것이 한글로 된 신문과 도서의 배급이었다. 이런 점에서 두 신문은 신문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며 신문발행을 권장했다. 근대국가를 유지시키는 것은 인민의 애국심이다. 두 신문은 전통사회 속에 조선인의 애국심이 결여된 것을 지적하면서 교육을 통해 애민, 애족, 애국을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대의 민족주의 이론은 「회보」와 「신문」이 펼친 근대국가 개념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러나 서구의 민족주의 이론은 근본적으로 서구중심적 역사관인 근대화론에 기초하고 있었다. 이와 마찬가지로 두 신문이 말한 문명개화론도 사회진화론에 기초하고 있었다. 따라서 선교사들은 일본이 조선을 식민지로 만들었을 때 그것을 쉽게 받아들일 수 있었다. 선교사들이 신문을 통해 조선 사람들의 국가의식 부족을 비판했지만, 조선의 대중이 근대국가가 요구하는 국가의식을 가질 수는 없었다. 그들은 지배층의 언어, 문화, 종교로부터 소외되어 국가가 아니라 씨족 공동체를 중심으로 살고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deals with the articles related to modern nation-building as part of the civilization-enlightenment campaign by the Joseongrisdoinhoebo(「죠션크리스도인회보」) and the Grisdosinmun(「그리스도신문」). It attempted to analyze their idea of nation-state with recent theories of nationalism and to reveal its key ingredients with the idea of “inmin (people).” Believing that Korea became independent due to the Sino-Japanese War, the two newspapers claims that Korea should became a truly independent modern nation through the civilization-enlightenment movement.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is regarded as a necessity for building a modern nation.
    According to the two newspapers, the sovereign inmin(인민) is the basis of modern nation. Compared to baekseong and sinmin in the pre-modern period, the inmin is the center of civilization-enlightenment and modern nation. A modern nation secures inmin's rights such as freedom and equality by law and help it willingly contribute to the nation. Therefore, a modern nation establishes just laws and righteous politics. The two newspapers considers the universal use of hangeul inevitable for modern nation-building. As the national alphabet, hangeul stood in contrast with the classical Chinese that had long been the alphabet of the rulers in pre-modern East Asia. The two newspapers praises hangeul's superiority and convenience, and harshly criticizes the difficulty and inexpediency of the classical Chinese. The widespread use of hangeul helps inmin have a sense of national responsibility and community. The distribution of Korean-language newspapers and books greatly contributed to this development. The power behind the prosperity of a modern nation is inmin's patriotism. Criticizing the lack of patriotism in the traditional Korean society, the two newspapers holds that the love of nation and fellow inmin should be taught by universal education.
    The civilization-enlightenment theory that the two newspapers introduced was based on social Darwinism. Therefore, it was natural for the American missionaries, who published the newspapers, to accept Japan as a new ruler over the Korean peninsular. Although they criticized the Korean people's lack of national consciousness, they could not fully understand why. The Korean populace, long alienated from the language, culture, and religion of the rulers, was living around blood-related communities and could not have the sense of nation as the missionaries advoc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