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일본수필에 나타난 「문말のだ」에 관한 고찰 (A Study on ‘Noda’ in the Ending of Sentences in Modern Japanese Essay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15.09
25P 미리보기
현대일본수필에 나타난 「문말のだ」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아시아인문융복합연구소
    · 수록지 정보 : 日本學硏究 / 46권 / 525 ~ 549페이지
    · 저자명 : 박정근

    초록

    본 연구는 23권의 현대일본수필에서 「문말のだ」용례를 수집한 후, 형태상 의미분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용례와 문말의 「のだ」를 생략해버리면 의미가 통하지 않는 용례를 제외한 약 4,159개의 「문말무드のだ문」을 상세하게 의미및 접속분류를 해서 그 특징을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설명(2,194개), 단정주장(1,904개), 감탄(영탄)․놀람(32개), 당위(24개), 명령(5개)」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이지 않지만, 「순수전설(純粋前説)のだ」「전설(前説)のだ」「후설(後説)のだ」는 「당위のだ」「명령のだ」와 더불어 「のだ문」앞의 문이나 뒤의 문까지 파악해야만 의미구분이 가능하고, 이밖에 「해당문 설명のだ」「단정주장のだ」「감탄(영탄)․놀람のだ」는 「のだ문」만으로도 의미구분이 가능하다. 「당위のだ문」을 명령으로 해석하면 어색하지만, 「명령のだ문」은 당위로도 해석이 가능하다.
    「문말のだ문」에는 접속조사 「~が」「~から」「~と」 등이 문의 중간에서 많이 나타났고, 「해당문 설명のだ문」과 「순수전설のだ문」에서만 「~ので」가 「~から」보다 더 많이 나타났다. 「후설のだ문」의 경우, 「のだ문」다음의 문 앞문에 「それ(は,が,も)~」와 「その~」가 많았고, 이 문말에서는 「~の(ん)だ」「~から(だ)」「~わけ(だ)」와 같은 말로 끝나는 문이 많았다.
    「문말のだ」문의 앞쪽(주어쪽)에서는 3인칭주어가 1인칭주어 보다 많은데, 3인칭주어쪽의 경우 「성씨(인명)」가 많고, 1인칭주어쪽의 경우 「私」가 많이 나타났다.
    접속분류에서는 「~ルのだ」「~タのだ」「~イのだ」「~タのだった」「~ルのだった」순으로 5개 접속형태로 나타났고, 「~ルのだ」는 「설명」「단정(주장)」「감탄(영탄)․놀람」「당위」「명령」등 5개의 모든 의미에 나타났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concentrates on the characteristics of 4,159 examples of “sentence-ending mood noda” sentences collected from 23 modern Japanese essays, excluding examples containing grammatical forms that affects the meaning classification and of examples which cannot stand alone without using “sentence-ending noda.” As a result, the frequency of the usage is as follows, in the list of “explanation,” “opinion,” “admiration,” “clarification,” and “command.” Although it is not considered general, genuine sentence beginning noda, sentence beginning noda, and sentence ending noda, along with admiration noda, clarification noda, and command noda can only be classified by understanding both the pre and post sentence of noda. Meanwhile, the meaning of relevant explanation noda, conclusive opinion noda, and admiration noda can be easily classified by considering only sentence including noda.  It is rather awkward to interpret “clarification” noda sentences as “command,” however, “command” noda sentences can be interpreted as “clarification.” Word ending noda was found more after the conjunctions ~ga(~が), ~kara(~から), and ~to(~と) and ~node(~ので) and ~kara(~から) were more found in relevant explanation noda and genuine sentence beginning noda.  For sentence ending noda, after noda came sore(ha,ga,mo)~(それ(は,が,も)~) and sono~(その~). At the end of a word, more sentences ended with words like ~no(n)da(~の(ん)だ), ~kara(da)( ~から(だ)), and ~wake(da)( ~わけ(だ)).
    The beginning of word ending noda, usually the subject, is 3rd person perspective rather than 1st person perspective. Last names were often used for to express 3rd person perspectives and watashi to express 1st person perspective.
    In classification by conjunction, 5 conjuction types were found in the following order of ~runoda(~ルのだ), ~danooda(~タのだ), ~inoda(~イのだ), ~tanodatta(~タのだった), and ~runodatta(~ルのだった), and was found in all five meanings which are explanation, opinion, admiration, clarification, and comma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日本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