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말 禪僧의 入元遊歷과 元 淸規의 수용 (The Goryeo Seon Monk's Visit to Yuan: Their Journeys, and their embracement of the “Pure Rules(淸規)")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12.04
38P 미리보기
고려말 禪僧의 入元遊歷과 元 淸規의 수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40호 / 29 ~ 66페이지
    · 저자명 : 강호선

    초록

    太古普愚(1301~1382), 懶翁慧勤(1320~1376), 白雲景閑(1298~1374) 등 고려말 대표적인 선승들에 의한 원나라 淸規의 수용과 실천시도는 看話禪風의 수용과 함께 당시의 가장 보편적인 불교가 고려사회에 들어온 것이었다. 간화선과 청규는 원나라 선종의 양대 기둥인데, 이 두 가지는 시차를 두고 고려불교계에 수용되었다. 간화선풍의 수용과 확산이 고려 선종 교단 내부에서 13세기 말부터 일어난 변화라고 한다면 청규의 시행은 공민왕대 王師-보우와 혜근-에 의해 이루어졌는데, 왕사였던 보우와 혜근, 그리고 왕사는 아니나 청규실천을 중시했던 경한이 모두 원에 유학하며 강남지역 불교를 경험했다는 점이 주목된다. 보우와 혜근은 모두 왕사에 임명된 이후 청규를 시행하거나 청규의 실천과 확산을 강조했다. 이는 청규실천을 통한 불교 개혁에는 불교교단 뿐만 아니라 국가의 의지도 반영되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공민왕의 후원 아래 왕사인 보우와 혜근이 실제 교단 및 禪刹 운영에 적극적으로 도입하고자 했던 『勅修百丈淸規』가 국가주의적 성격을 강하게 띄고 있었고, 寺院에 대한 국가의 통제와 관련된다는 점에서 공민왕의 개혁정치 및 왕권강화와도 연결되는 바가 있다. 공민왕대 청규에 바탕하여 불교교단을 변화시키고자 했던 불교계의 시도는 결실을 맺지는 못했고, 국가주의적 성격이 강하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고 있다. 그러나 고려말 불교교단 내에서 스스로 변화의 조짐을 보였고, 이를 통해 공민왕의 불교개혁의 방향성을 읽을 수 있다는 점에서 보우와 혜근을 중심으로 한 청규의 시행은 의미를 갖는다.

    영어초록

    The most renowned Seon Monks in the final days of the Goryeo dynasty, such as Tae'go Bo'wu, Na'ong Hye'geun, Baeg'un Gyeong'han, all adopted the so-called “Pure Rules(淸規)” from the Yuan empire. They embraced these “Rules” alongside the Gan'hwa Seon(看話禪), and tried to train themselves by them, which were regarded as the epitome of universal Buddhism at the time. Gan'hwa Seon and the “Pure Rules” were the two essential elements of the Zen Buddhism believed by the Mongol Yuan people, and were embraced by the Goryeo people as well, yet at different time points. The Gan'hwa Seon was introduced to the Goryeo people and then became quite popular throughout the Goryeo Seon Buddhist society in the ending days of the 13th century, yet the adoption of the “Pure Rules" were led by the Royal Preceptors(王師) such as Bo'wu and Hye'geun, during King Gongmin-wang's reign. Both Bo'wu and Hye'geun either officially enacted the “Pure Rules” or passionately argued its values, after they were named as Royal Preceptors. And Gyeong'han, who was not a Royal Preceptor,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biding by the “Pure Rules" too. All of them once visited the Yuan empire, and experienced the Buddhist traditions of the Chinese Jiangnan region during their stay. Bo'wu and Hye'geun's emphasis upon the “Pure Rules” in particular, shows us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Rules" and efforts to reform the Buddhist community based upon those rules, was not only the will of the Buddhist society but also the will of the government as well. With Gongmin-wang's support, Royal Preceptors like Bo'wu and Hye'geun tried to run the Buddhist community and individual monasteries based upon Pure Rules compiled by the order of the Emperor(勅修百丈淸規), so such adoption of the “Pure Rules” had to strongly reflect the government's agenda and interest, which would ultimately lead to the government's control of the Buddhist temples. In that regard, the adoption of “Pure Rules” was clearly related to King Gongmin-wang's plans for dynastic reform, and his efforts to reinforce his own authority. Yet such attempts to bring reforms upon the Goryeo Buddhist community based on such “Pure Rules” during King Gongmin-wang's reign did not succeed. And unfortunately it was an attempt launched by the government rather than the Buddhist community itself. But the Royal Preceptors were involved, so we could say that they indeed wished to pursue a meaningful change. Bo'wu and Hye'geun's embracement of the “Rules” shows us what were the objectives of King Gongmin-wang's Buddhism reforms, and what was the dire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