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 우리말노래 「만전춘」의 형성과 성격 연구 (Study on the Formation and Character of Goryeo Korean Song, ‘Manjeonchu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17.12
26P 미리보기
고려 우리말노래 「만전춘」의 형성과 성격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언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언어문학 / 38호 / 243 ~ 268페이지
    · 저자명 : 이진규

    초록

    이 글은 작품들 대부분이 작자 및 창작연대 미상으로 남아 그 정보를 규명하는 데 어려움이 많은 고려 우리말노래 가운데 「만전춘」작품의 형성과 그 성격에 대해 논의하였다.
    「만전춘」이 창작 당시 그대로라기보다는 元詞가 있었는데 어떤 가락적인 측면의 영향을 받아 재구성되었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었고, ‘悼亡詩’라는 한 유형에서 인생의 짧음을 영원한 자연에 대비시켜 死別로 인한 슬픔의 정서를 표현하고, 임이 사용했던 사물을 통하여 임의 부재를 재인식하여 화자의 심경을 표출하고, 화자가 짝을 잃고 홀로 남은 심정을 무리에서 벗어난 미물의 모습에 은유하여 슬픔을 표현하고, 사별한 임(아내)과의 사랑을 죽어도 잊지 못하는 그리움의 정서를 표현한 점들이 「만전춘」에 사용된 시어나 노랫말의 정서와 일치하거나 유사하기에 이와 대비하여 고찰하였다.
    고려시대에 일찍이 명종의 「도망시」(명종 10년, 1180)가 창작되어 「만전춘」의 원사로서 존재하다가 명종 18년(1188)에 제악에 사용하기 위하여 가락적인 손질을 하고 제명을 「만전춘」으로 바꾸어 향악으로 등제하였을 것으로 보았다. ‘滿殿’은 ‘궁전에 가득한’, 곧 명춘과 함께 했던 아름다운 시절을 나타내는 말이고, ‘春’은 詞牌의 이름이면서도 명춘의 이름을 뜻하는 중의적 의미가 있어 보인다. 또한 노랫말에 구와 행의 반복이 일어난다는 점에서도 명종대를 전후한 과도기의 노래이며 노래의 성격은 사별한 아내에 대한 영원한 사랑을 담은 작품이라고 보았다.

    영어초록

    This writing discusses the formation and character of ‘Manjeonnchun(滿殿春)’ among Goryeo Korean Songs, which have many difficulties in tracing the information, as most of the works remain anonymous and unknown for creation period.
    ‘Manjeonnchun’ is weighed on the possibility that it might have been reconstructed under the influence of some rhythmic aspects of the original song rather than just as it was at the time of creation, and the points that in the type of Domangsi(悼亡詩), the emotion of sorrow due to the bereavement was expressed by contrasting the shortness of life for eternal nature, the heart of the speaker was expressed by re-recognizing the absence of the beloved through the objects that the beloved had used, the sorrowful mind in which the speaker lost the partner and left alone was expressed in the metaphor of the tiny creature who was left away from the crowd, and that the emotions of yearning that could not forget the dead beloved even if she died, were coincident with or similar to the emotion of the poetic words or lyrics used in ‘Manjeonnchun’, so I considered by contrasting these.
    Early in the Goryeo Dynasty, Myeongjong's ‘Domangsi’(10th year of Myeongjong, 1180) was created, and it existed as the original song of ‘Manjeonnchun’, and it seems that in the 18th year of Myeongjong (1188), the rhythm was modified to use in the ritual music, and it was registered as Hyangak(鄕樂) by changing its title name into ‘Manjeonnchun’. Manjeon(滿殿) means ‘full in the palace’, in other words, beautiful days sharing with Myeongchun, and chun(春) seems to have dual meanings which is the name of the musical score and means the name of Myeongchun simultaneously. In addition, it seems that it is a song of the transitional period around Myeongjong times in that the repetition of phrases and lines in the lyrics occurs as well, and that it is a work in which the character of the song contained the eternal love of the deceased w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언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