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말 중국연호 수용의 특징과 그 영향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 of the Introduction of Chinese Era Name in the Late Silla Period)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24.12
29P 미리보기
신라말 중국연호 수용의 특징과 그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62호 / 461 ~ 489페이지
    · 저자명 : 이부오

    초록

    7세기 중엽부터 신라는 줄곧 당의 연호를 사용해 왔으나, 9세기 말부터 차질이 빚어졌다. 지금까지 이문제에 대해 기초적인 검토는 이루어져 왔으나, 당시 연호 오기를 둘러싼 문제점과 그 의미를 구체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신라말에 중국연호 수용이 지연된 배경은 근본적으로 대륙의 정치적 혼란에 있었다. 신라 내에서 새로운 연호의 공유가 지연되거나 본인이 당에서 경험했던 기존 연호를 계속 사용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반대로 연호 수용의 지연과 무관하게 과거의 연호를 소급 수정한 경우도 있었다. 정상적인 연호 기록이 후대의 전승 과정에서 오기된 경우도 있다. 당을 우호적으로 여기는 인식 때문에 天祐 연호가 지연 사용되기도 했다. 신라의 조공이 후당의 개원과 괴리된 것은 신라 왕이 후당으로부터 받은 대우가 기대보다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이에 신라 왕은 후당으로부터 지배권을 인정받으려 하면서도 기존 연호를 후당 연호로 신속하게 대치해야 할 만한 동기가 부족한 편이었다. 이처럼 다양한 요인이 연호 오기의 증가를 가져왔다.
    이러한 오기는 고려초에 찬술된 비문에서도 계속되는 사례가 많았다. 특히 당의 마지막 연호인 天祐를 지연 사용한 사례는 당을 정통왕조로 여기는 관점이 지속되었음을 반영한다. 당에서 개인의 경험을 근거로 했던 신라말의 연호 지연이 고려초까지 이어지기도 했다. 반대로 연호가 소급 수정된 사례는 주로 승려의 중요 행적을 중심으로 그 빈도가 점차 증가해 갔다. 하지만 그렇지 않은 사례도 뒤섞여 있어 신라말의 연호 오기에 대한 수정 과정은 불규칙한 편이었다.
    신라말에 지연 사용된 연호는 『삼국유사』에 인용된 일부 ‘古本’에서도 그대로 수용되었고, 다수의 고기류에서도 계속되었다. 『삼국사기』』신라본기 진성왕 즉위조의 세주도 이러한 오기가 수정되기 이전의 상황을 보여줄 것이다. 그 뒤 『삼국유사』의 저본인 일부 ‘古記’에서는 실제 연호에 맞춰 수정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불규칙한 과정을 거치면서도 점차 실제 연호로 소급 수정하는 방향으로 변화해 갔다. 12세기 중엽까지는 고기류에서도 대부분의 지연 연호들이 사실에 맞게 수정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과정은 신라말의 기록이 고기류를 거쳐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로 수용되는 과정을 파악하는 데 일정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영어초록

    Since the mid-7th century, Silla consistently adopted the Tang Dynasty's era names, but this practice began to encounter disruptions in the late 9th century. While previous studies have provided general overviews of this issue, the problems surrounding incorrect era names and their significance must be examined in detail.
    The delay in adopting Chinese era names during late Silla was fundamentally rooted in the political chaos on the continent. In many cases, the dissemination of new era names within Silla was delayed, or individuals continued to use previously known Tang-era names. In other cases, corrections were applied retroactively. During the process of transmitting officially recognized era names to subsequent generations, they were sometimes inaccurately recorded. Because of the perception that it was friendly to the Tang, the use of the Tianyou(天祐) era name was delayed. Silla’s tribute missions also did not align with the Later Tang Dynasty’s era name changes because the treatment it’s king received from the Later Tang was not as favorable as expected. Consequently, while seeking recognition of his rule, the Silla king lacked the motivation to quickly adopt the Later Tang’s era name. These various factors contributed to increased confusion and delays in recording era names.
    Such errors persisted into the early Goryeo period, as evidenced in inscriptions from that time. The delayed use of the ‘Tianyou’ era name, in particular, underscores the sustained recognition of the Tang Dynasty as the legitimate ruling dynasty. This tendency to prioritize Tang-era names extended into early Goryeo. On the other hand, retroactive corrections of era names became more frequent, particularly in cases that were personally significant to Buddhist monks. However, the presence of varied and conflicting cases rendered the process of correcting era name errors in late Silla irregular and inconsistent.
    The delayed usage of era names from late Silla also appears in sources such as the Gobon(古本) cited in the Samguk Yusa(三國遺事). The annotation in the Samguk Sagi(三國史記) regarding the accession of Queen Jinseong reflect the situation before these errors were corrected. Some Gogi(古記) cited in the Samguk Yusa reveal instances where era names were adjusted to conform to historical accuracy. This process, though initially inconsistent, gradually progressed toward greater historical accuracy. By the mid-12th century, it is possible that most of the incorrect era names including those in Gogi were corrected to align with actual usage. These developments offer significant insights into the process by which late Silla records were transmitted through texts such as Gogi and integrated into the Samguk Sagi and Samguk Yus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