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 말 漕轉城의 등장과 溏城倉 (A Study on the Appearance of Jojeonseong and Dangseongchang in the Late Goryeo)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22.01
37P 미리보기
고려 말 漕轉城의 등장과 溏城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서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담론 / 101호 / 153 ~ 189페이지
    · 저자명 : 문경호

    초록

    이 글에서는 1391년(공양왕 3) 아산만 남쪽 해안에 설치된 당성창의 구체적 위치와 입지에 대해 살펴보려 한다. 당성창은 용안성, 영산성과 함께 설치된 시기를 명확히 알 수 있는 대표적인 漕轉城이다. 그 중에서도 당성창은 『고려사』에 수록된 유일한 조전성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아직 당성의 구체적인 위치나 규모, 역할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한 현실을 고려하여 이 논문에서는 『고려사』 ‘신창현’에 등장하는 조전성의 구체적인 위치를 추정하고, 溏城倉址에 해당하는 성곽의 특징과 주변경관을 복원함으로써 당시 조전성이 어떤 지리적인 조건을 갖춘 곳에 설치되었는지 살피려 하였다.
    지형과 지명, 다른 조전성과의 위치 등을 비교하면 당성창은 현재의 충청남도 아산시 선장면 군덕리의 구릉에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크다. 군덕리 일대는 아산만 방조제가 축조되기 전까지 바닷물이 드나들었던 곳이며, 성이 있었던 곳에는 아직까지도 성터라는 지명이 남아있다. 바로 앞까지 바닷물이 들어오고, 왼쪽으로는 도고천이 흘러 내려와 삽교천에 합쳐진다는 점에서 조창이 들어설 수 있는 조건이 잘 갖추어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곳은 몽골 침입기에 아산의 주민들이 피난했다는 선장도와도 인접한 지역이라고 판단된다.
    왜구 침입기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당성창은 조선 건국 이후 왜구 침입이 줄어들고, 조창이 좀 더 하류인 범근내창으로 이전하면서 기능을 상실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충남 북부 지역 아산만 일대의 조창은 당성창 → 범근내창 → 아산 공세창으로 이전한 것으로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will look into the specific location and surrounding of Dangseongchang installed at the southern shore of Asan Bay on 1391 (King Gongyang 3). Dangseongchang is a typical Jojeonseong certainly unknown for its era of installing including Ong-anseong and Yeongsanseong as well. Out of them, Dangseongchang is meaningful in the point that it was a unique Jojeonseong recorded in Goryo's history. But, the specific point, scale and role of Dangseong were not known yet. In consideration of such reality, this article tried to estimate the specific point of Jojeonseong appeared at 'Shinchang-hyun' in Goryo History and investigate the geographical conditions of Jojeonseong at that time by restoring the features of the castle and landscape surrounding the site of Dangseongchang.
    Comparing the terrain, geographical name and the point of Jojeonseong shows that Dangseongchang was highly likely built on the hill at current Gunduk-ri, Seonchang-myeon, Asan City, Chungchangnam-do. Proximities of Gunduk-ri was the point of ebb and tide before building the water break at Asan Bay, and the geographical name of castle site was remained still on the site where the castle had been placed. It can be said that the conditions of the Jojeonchang were well estalished in the point that the sea water surged at near and Dogo River flows to the left to merge to Sapgo River. In addition, the point is believed as same area with Sunchang-do where the residents of Asan evacuated at the invasion of Mongolia.
    Dangseongchang which played an instrumental role at Japanese invasion seemed to lose its function while Japanese invasion was reduced and Jochang moved to the farther lower stream Beomgeunnaechang. Accordingly, it can be summarized that Jochang at the proximities of Asan Bay in northern Chungnam moved to Dangseongchang → Beomgeunnaechang → Gongsechang, As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담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