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말 麗․明 관계의 동향과 수군정비 (The status between Rye and Ming dynasty Relationship and the reorganization of Goryo’s naval forces during the late period of Goryo dynasty)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14.03
42P 미리보기
고려말 麗․明 관계의 동향과 수군정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군사 / 90호 / 1 ~ 42페이지
    · 저자명 : 이강욱

    초록

    본 논문은 고려 말 명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추진된(추진 되었던) 수군정비 과정에 대한 연구이다. 고려말엽은 왜구가 침입하여 전국이 유린당하는 시기였다. 당시 이러한 왜구의 침입에 대한 대책이라고는 ‘수성책(守成策)’ 또는 ‘청야책(淸野策)’ 뿐이었다. 또한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서는 수군의 재건이 필요하였다. 이미 고려 수군은 원나라가 내정을 간섭기하기 시작한 이후 그 실체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붕괴되어 있는 상태였다. 게다가 고려 내부에서 조차 수군을 강화해야 한다는 여론도 형성되어 있지 못하였다. 이색(李穡)은 공민왕이 즉위한 첫해 수군의 강화를 주장하였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하지만 1372년을 분기점으로 하여 왜구 침략에 대한 고려 조정의 태도는 변화하였다. 그 직접적인 계기가 된 역사적인 사건이 공민왕의 수군 사열이었다. 이후 고려 왕조는 수군 재건을 시작하였고 그 결과 독자적인 작전수행능력을 갖추게 되었다. 그런데 주목할 만한 점은 왜 수군 정비의 시점이 1372년인가 하는 것이다. 이에는 물론, 내부적으로는 반원정책과, 지속적인 홍건적(紅巾賊)의 침입으로 인한 군사력 약화 등 여러 요인이 작용했을 것이다. 하지만 심지어 수도인 개경인근까지 침입하고, 충선왕의 초상화와 조운선(漕運船)을 약탈하는 등, 국가의 존망까지도 위태롭게 하고 있었던 왜구라는 존재를 그냥 간과하기에는 그 피해가 매우 컸다는 점이 고려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 살펴본 것처럼, 1372년도에 시작되었던 고려의 수군정비는 국내적 상황보다는 국외적 상황, 특히 명나라의 관계 동향 속에서 나타났던 하나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명나라 건국 이후, 주원장은 지방에 출몰하는 왜구와 지방민과의 관계를 분절하기 위해 해금정책(海禁政策)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고려에게도 금왜(禁倭)를 요구하였다. 물론 이러한 명의 요구가 직접적인 원인이 되어 고려의 수군정비의 결과를 이끌어 내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다만, 당시 친명정책을 추진하고 있었던 공민왕으로서는 명과의 관계를 우선시 하였으며, 이때 명으로 금왜(禁倭) 요구를 받음으로써, 수군 정비는 왜구침략에 대한 방어대책 중 하나의 부가적 조치였다고 판단된다.
    명나라가 자국으로 침략하는 왜구를 고려로 하여금 방어하라고 강압적으로 요구해오자 고려는 명의 압력을 역이용하였다. 공민왕 22년 11월, 명나라에 왜구 토벌에 필요한 선박에 사용되는 기계, 화약(火藥), 유황, 염초를 요구한 것이 대표적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우현보(禹玄寶)과와 정지(鄭地)의 수군 재건 계획을 기초로 하여 고려는 다수의 전함을 건조하고, 군사를 양성하였다. 하지만 이렇게 재건된 수군은 을 왜구의 침입에 바로 투입시킬 수 없었다. 명나라와의 관계가 악화되었기 때문이었다. 특히 요동 나하추의 우가장 공격으로 인해, 고려와 명과의 관계는 경색국면으로 전환되었는데 이 시기에 명나라는 고려 조정에 공마(貢馬)를 요구하였다. 하지만 당시 공마의 주 징집처였던 제주도는 목호(牧胡)가 장악한 상태였다. 명과의 관계개선을 중요시 한 고려로서는 경색국면을 타결하기 위해 제주도의 목호를 토벌해야 했고, 최영이 300여척의 병선을 이끌고 제주도를 공격하였다.
    이와 같은 고려수군의 제주도 공격은 1372년부터 진행된 수군 정비의 일련의 과정 속에서 이루어 낸 성과였으며, 이후 우왕시기부터 진행되었던 수군지휘체계를 개편 이후 본격적으로 왜구를 토벌하기까지 하나의 수군정비의 중요한 과정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이후에도 명나라는 계속 왜구 방어에 대해 고려에 계속적으로 요구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고려말엽 수군의 재 정비과정을 연구함에 있어 명나라와의 관계를 함께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이 연구에서 일본과의 관계성에 대한 고찰도 빼놓을 수가 없다. 왜구에 대한 인식이 고려의 수군 재정비 과정에서 변화되었다는 것은 확실하다. 이는 고려왕조가 수군 재정비 과정에서 최초에는 왜구가 일본 조정에 의해 통제가능한 존재로 인식하고 있다가 일본 당국에 의해 통제할 수 없는 실체라는 것을 인식하였다는 것이다. 이러한 왜구의 실체에 대한 인식 변화가 고려수군의 재정비 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연구하는 것이 또한 필요하다.

    영어초록

    This is the study on the naval forces’ reorganizing process of the Goryo on the basis of the political relationships with Ming dynasty. It was the times of being trampled by Japanese pirates’ invasion into Goryo’s territory in the middle and late 14C. The two countermeasures against Japanese pirates’ invasion during that time relied on ‘Su-Sung’ which is the defensive way of sustainment within a fortified castle and ‘Chung-Yha’ which means to remove all harvests or buildings from the field in order not to be used by invading enemy forces. It was necessary for Goryo dynasty to rebuild it’s naval forces for stopping Japanese pirates’ invasion. Since Yuan's interference in internal affairs started from 1270, the naval forces of Goryo dynasty had been so disintegrated and collapsed that it’s main body could not be found. Additionally, there had been not any public opinions on the need of reconstruction for the naval forces inside Goryo royal court.
    Yi-saek, who was one of royal court high officers in the late of Goryo dynasty, insisted on the necessity of reinforcing the naval forces in the first year of king Kongmin, but it was not accepted. After that, the military policies against the Japanese invaders of the Goryo dynasty started to change in 1372. The historical military inspection led by King Kongmin provided the direct and decisive turning points to the rebuilding of Goryo dynasty’s navy. Since that point, Goryo dynasty started to reorganize it’s naval forces so that they were able to carry out an operation for themselves.
    What was the most noticeable thing was why the rebuilding project took place in 1372. There had been some reasons such as the anti-Yuan policy and the weakened Goryo’s military power caused by the invasion of ‘Honggunjeok’ which was Chinese’s rebel forces wrapped their forehead with red band internally. But, above all else, the serious threats and great damages to the Goryo dynasty caused by Japanese pirates’ having invaded to the vicinity of the capital, Gaegyeong, and looted king Chungsun's portrait and plundered Goryo’s cargo vessels could not be overlooked when they started the rebuilding its naval forces.
    As we considered on this study, the rebuilding of Goryo dynasty’s naval forces started in 1372 was resulted from the external situations, especially the relations with Ming dynasty rather than the internal circumstances Since the establishment of Ming dynasty, Zhu Yuanzhang had implemented the ‘Haegeum policy’, which means to forbid any kinds of trade and exchange with the Japanese pirates, in oder to split the pirates and it’s own people, and also he required Goryo to reject the Japanese pirates.
    But It is hard to believe that Ming's such requirements gave direct momentum to the reformation of Goryo’s naval forces. However, King Kongmin who had pursued the pro-Ming dynasty at thoses times, placed a high value on the relations with the country, so the rebuilding projects might be considered as the additional moves to some degree to defend against the Japanese pirates. As Ming dynasty put pressures Goryo to repel the Japanese pirates, then Goryo government(Royal court) took advantage of them in reverse. For an example, Goryo dynasty requested Ming to provide with some military items such as the spare parts of warship, gun powder, sulphur and niter which could be used to suppress the Japanese pirates.
    Although Goryo dynasty had built several warships and raised naval forces on the bases of the rebuilding projects designed by Woo-hyunbo and Jeong-ji, Goryo’s fledgling navy could not be committed to the battle against the Japanese pirates because of the deteriorated the relations with Ming at that time. Specifically, the Yuan dynasty’s attack led by general ‘Naghachu’ to ‘Woogajang(a kind of government office to handle the military horses) located in the region of Liadong made worse the Goryo-Ming relations. Even though at those times, Ming demanded Goryo to provide with horses through the ‘Gongma’, which was the horse conscription system for the public purpose such as War and Government transportation, Goryo could not accept it because Jeju island, the main spot of ‘Gongma’, had been under the control of ‘Mokho’ (the Group of Yuan’s shepherd). For the recovering the relations with Ming, Goryo dynasty sent Gneral Choi-young with about 300 warships to the Jeju island so as to surpress ‘Mokho’.
    It was considered that such a naval attack on a large scale to Jeju island was a prominent achievements from the Goryo navy’s reorganizing process started since 1372. And it was also regarded as the important process of suppressing the Japanese pirates in earnest since the reformation of navy’s commanding and control(C2) system started from the period of King Woo. Afterward, Ming dynasty had requested continually Goryo to take the defensive measure against Japanese’s pirates.
    It is very important to study on the reorganizing process of naval forces and relations with Ming together in the late period of Goryo dynasty. We must also consider the relationships with Japan on this study. It is certain that an awareness of Japanese pirates has been changed during the process of the reorganizing naval forces of Goryo dynasty.
    It means that Goryo’s awareness toward Japanese’s pirates was diverted from the entity suppressed by Japan into uncontrollable beings under the Japan authority. It is also needed to research how did the change of the awareness toward them influence on the reorganization of the Goryo dynasty’s nav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