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말갈 문화에 대한 고고학적인 검토 (An Archaeological Review of the Mohe Cultur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19.11
34P 미리보기
말갈 문화에 대한 고고학적인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구려발해학회
    · 수록지 정보 : 고구려발해연구 / 65권 / 169 ~ 202페이지
    · 저자명 : 양시은

    초록

    본 연구에서는 말갈 문화를 대표하는 성곽, 취락(주거지), 고분, 토기에 대한 그간의 고고학적 조사 내용과연구 성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출입구가 없는 방형의 수혈 주거지, 토광묘, 기형과 문양에서 몇 가지 특징적인 요소를 공유하는 수제 토기(말갈관)를 기본으로 하는 말갈 문화는 중국 동북지역, 러시아 아무르강 유역과 연해주 일대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 걸쳐 분포하고 있었으며, 발해의 성립과 성장은 말갈 문화의 시공간적인 분포에 큰 영향을 끼쳤다.
    문헌에는 여러 말갈 집단에 대한 기록이 있지만, 고고학적으로는 흑룡강 중류에서 처음 등장한 나이펠드유형의 흑수말갈 문화, 송화강 유역을 중심으로 한 (발해 이전의) 속말말갈 문화, 발해 성립 이후의 속말말갈계 발해 문화, 8세기경 아무르 유역에서 새롭게 등장한 트로이츠코예 유형의 속말말갈계 문화와 같이 대략적인 구분만이 가능한 상황이다.
    말갈 문화의 전개 과정을 살펴보면, 5세기를 전후하여 삼강평원과 동아무르 유역에서 흑수말갈로 대표되는 나이펠드 유형이 처음으로 등장하였다. 그리고 거의 비슷한 시기에 삼강평원의 곤토령-봉림 문화 집단이제2송화강 유역으로 남하하면서 토광목관묘와 양이부호 등의 부여계 문화 요소를 받아들여 나이펠드 유형과는 다른 새로운 속말말갈 문화가 생겨났다. 고구려가 멸망하고 발해가 건국되면서 흑수말갈을 제외한 나머지말갈 집단은 점차 발해로 편입되었고, 그 결과 발해 내 말갈 집단의 문화에는 석실묘와 새로운 토기 제작 기술이 출현하게 되었다. 이 집단의 일부가 8세기 경 아무르강 유역으로 이주하면서 서아무르 지역에서는 속말말갈계 전통을 기본으로 하는 트로이츠코예 유형의 새로운 말갈 문화가 추가되었다. 발해 멸망 이후에도 아무르강 유역의 말갈 문화는 한동안 유지되다가 12세기 이후 여진 문화로 이어지게 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review the results of the archaeological research on the fortresses, settlements, tombs and pottery representing Mohe culture.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Archaeological culture of Mohe, based on the subterranean dwelling without entrance, pit grave, handmade pottery with characteristic of form and pattern, is distributed in a wide area encompassing northeastern China, the Amur River basin and Primorsky region of Russia. However, the establishment of Balhae and the expansion of territory greatly influenced the time and spatial distribution of Mohe culture.
    The review of the archaeological records confirmed that the Mohe culture was established collectively but had developed differently due to the indigenous traditions and neighboring cultures in each major region. Unlike the historical literature in which the approximate residential areas of the seven Mohe tribes are recorded, only a rough archaeogical distinction can be made, such as the Naifel’d-typed Heishui Mohe group, the Mohe group near the Songhwa River basin before the emergence of Balhae, Mohe group incorporated into Balhae, and the Troitskoe-typed Sumo Mohe group which is newly emerging in the Amur River basin around the 8th century.
    In a brief look at the development of Mohe culture, it began around the 5th century with the establishment of a Naifel’d type of Heisui Mohe group in the Sanjiang Plain and East Amur area. In Songhua River basin, a group of Guntuling-Fenglin culture in the Sanjiang Plain moved southward, absorbed the native Buyeo culture to engender the new Sumo Mohe cultur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Heisui Mohe culture of Amur River basin. After the emergence of Balhae, the rest of the Mohe groups except Heisui Mohe tribe was incorporated into Balhae. As a result, the culture of the Mohe group within Balhae area was introduced with stone chamber tomb and new earthenware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around the 8th century, as some of these Mohe groups migrated to the Amur River basin, a new culture of the Troitskoe type based on the tradition of Sumo Mohe was added in the West Amur region. These Mohe group cultures maintained around the Amur River basin even after the fall of Balhae lead to the Jurchen culture after the 12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구려발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