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우리말의 성조는 방점으로 (Why Do We Have to Write the Tones with Side-dot Representations in Korean Tonal Dialects?)

6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23.09
61P 미리보기
우리말의 성조는 방점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글 / 84권 / 3호 / 711 ~ 771페이지
    · 저자명 : 김차균

    초록

    훈민정음 창제 이후 100여 년 동안 우리말의 운소인 성조를 적는 방법은 글자의 왼녘에 □(평성), ·□(거성), :□(상성)처럼 점의 있음과 없음, 있으면 점이 하나인가, 둘인가에 따라 구별하는 것이었다. 각 방점이 나타내는 성조의 조치에 대해서는 『훈민정음』, 『훈몽자회』 범례, 『소학언해』 범례에 따로 설명되어 있다. 이들 설명 내용에는 현대 방언 성조론과 같은 성조 층위와 음조 층위의 구분은 없었고, 방언적인 차이에 대한 설명도 나타나지 않는다.
    우리말의 형태소나 단어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기저 방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들은 하나의 어절이 만들어지면서 대립을 유지할 수도 있고 중화나 다른 규칙에 의해 바뀔 수도 있다. 이렇게 결정된 어절의 최종 방점형이 방점 표기의 대상이 된다.
    방점형은 크게 평측형, 거성형, 상성형이 있는데, 이들은 방언에 따라 /L, M, H, R, …/ 중의 둘 또는 셋으로 나타나며, 각각의 방점은 걸맞은 성조형으로 번역된다. 성조형은 각각의 방언에 따른 표면적인 음조형을 결정하는 규칙들의 적용에 의해 음조형(surface pitch forms)으로 실현된다.
    종래의 성조론 학자들은 음조의 수와 종류를 두세 개로 미리 정해 놓고, 거기에 꼭 일치하지 않는 중간적인 것은 정해져 있는 것 중의 어느 것에 임의로 합쳐버리는 방법을 사용해 왔는데, 그것은 합리적인 처리가 못 된다. 음운론과 음성학이 발달할수록 복수의 분절 변이음의 존재를 인정하듯이, 운율론에서도 복수의 높낮이의 존재를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연구에서는 [L, м, M, н, H]의 5개 높낮이를 인정하며, 이들의 음정은 인지심리학의 방법을 따른 사분음척도라는 자에 따라 눈금의 범위가 정해진다.
    결론적으로, 우리말 성조 방언의 성조들은 세종대왕이 고도의 음운 이론으로 개발한 방점법으로 표기되어야 하고, 표면형인 음조형은 더 정밀하게 표기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In Hunminjeongum, there are twenty-eight letters for segmental sounds and three tone codes for even tone □, rising tone :□, high tone ·□. They have been used for more than 100 years since its creation. Even tone □ was unmarked, rising tone :□ and high tone were marked. ·□ was a light-marked. :□, a heavy-marked.
    The measures they represent were explained separately in. The pitch values of the four tones were in the Hunminjeongeum version, the code of the Hunmongjahoe, and the code of the Sohakeonhoe.
    In modern tonal dialects, constituents of morphemes, words or phrases have the base side-dots, and sidedot patterns by the opposition and neutralization between them. There are three side-dot patterns in Gyeongsang and Gangwon dialects: even-marked tone pattern □1·□ⁿ and rising tone patterns :□ⁿ and high tone patterns ·□1 are marked, while in the Hamgyeong and the Yanbian dialects, there are two tones: one is even and the other is marked. three side-dot patterns. the Hamgyeong and the Yanbian dialect have only one even-marked tone pattern □₀·□ⁿ.
    There are three tonemic patterns in Gyeongnam dialect, which are L1, M1, and H1Mⁿ, Seongju dialect of a Gyeongbuk-Daegu dialects has three tonemic patterns, 1, M1, and H1Mⁿ, while in the Hamgyeong and the Yanbian dialects, there are two tones: one is even and the other is marked. The Hamgyeong and the Yanbian dialect have only one even-marked tone pattern □₀·□ⁿ, which is of two subclass patterns, even □1 and marked ·□1.
    For surface pitch forms, we need five degrees [L, м, M, н, H] in order to describe national dialects, including the Changwon dialect.
    The conclusion is that the tones of the tone dialects of the Korean language have to be written with side-dot representations □, ·□, and :□.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