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5세기~16세기 문인들의 학금(學琴) 양상과 학금(學琴) 악곡의 변화 -<풍입송>과 <평조 만대엽>을 중심으로- (The Aspects of Hakgeum(學琴) by the 15th and 16th Centuries Literati and Changes in Musical Pieces for Hakgeum)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24.02
27P 미리보기
15세기~16세기 문인들의 학금(學琴) 양상과 학금(學琴) 악곡의 변화 -&lt;풍입송&gt;과 &lt;평조 만대엽&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악교육연구 / 18권 / 1호 / 113 ~ 139페이지
    · 저자명 : 성기련

    초록

    조선시대 문인들의 학금(學琴)은 비전문 음악인을 대상으로 한 음악교육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15~16세기에는 학금을 위한 가장 이상적인 현악기는 거문고라는 인식이 자리 잡으면서 문인들이 거문고를 배워서 연주하고 이를 글로 남긴 기록이 많아진다. 본고에서는 조선 전기를 15세기와 16세기의 두 시기로 나누어 각 시기별 학금 양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15세기에는 성현과 김일손 등이 거문고에 대한 역사와 악조 이론을 기록하였고, 이 시기 문인들은 학금 입문곡으로 <풍입송>을 학습하였다. <풍입송>은 선율적으로 순차 진행이 많아서 거문고의 괘법과 지법을 익히기에 용이했고, 길이가 긴 장가이지만 선율에 반복이 많다는 점도 문인들이 학습하기에 적합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16세기에 안상이 편찬한 『금합자보』(1572)에는 15세기 학금 이론의 전통을 계승하여 거문고의 역사와 악조 이론 등이 정리되어 있다. <평조 만대엽>은 안상에 의해서 처음 거문고를 배우는 초학자가 학습하기에 가장 적합한 악곡으로 꼽혔는데, 그 이유는 <평조 만대엽>이 5지의 구성에 맞는 가사 붙임새와 반복적 짜임새를 갖추어 학습하기에 용이하고, <평조 만대엽>의 선율과 지법을 익히면 16세기에 연주되고 있던 다른 악곡의 학습에 용이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 살펴본 15~16세기에 역사적으로 많이 알려진 문인들의 학금 관련 일화나 학습 과정은 국악의 역사적 이해를 위한 음악 교과 수업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인물 중심의 음악 수업 구성에도 활용될 수 있으리라고 본다. 15~16세기 문인들의 학금 전통은 조선 후기에 들어서 더욱 많은 문인들에 의해 계승되었으며, 17세기 이후 풍류 음악 향유와 발전으로 이어지게 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Hakgeum(學琴: the learning of the geomungo) of Joseon Dynasty literati is noteworthy as a form of music education for non-professional musicians. During the 15th and 16th centuries, as the geomungo came to be recognized as the most ideal stringed instrument for hakgeum. There were more records of literati learning and playing the geomungo and leaving it in writing. This paper divided the early Joseon Dynasty into two periods, the 15th and 16th centuries, and examined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the aspects of hakgeum in each period.
    In the 15th century, Sunghyun and Kim Ilson recorded the history and theory of musical modes of the geomungo, and literati of this period learned <Pungipsong> as an introductory song for hakgeum. <Pungipsong> was analyzed to be easy to learn frets and fingering techniques of the geomungo because it had a lot of melodic sequential progressions and. The fact that there were many repetitions in the melody was also found to be suitable for literati to learn although the song is a lengthy piece.
    『Geumhapjabo』(1572), compiled by Ahn Sang in the 16th century, summarizes the history of geomungo and the theory of musical modes by inheriting the tradition of the 15th-century theory of hakgeum. <Pyeongjo Mandaeyeop> was considered by Ahn Sang as the most suitable piece for novice scholars who learned the geomungo for the first time, because <Pyeongjo Mandaeyeop> is easy to learn with its lyrics and repetitive structure matching the composition of the five ji. It was also because learning the melody and finger techniques of <Pyeongjo Mandaeyeop>, made it easy to learn other pieces of music that were being played in the 16th century.
    It is believed that the anecdotes and learning processes related to hakgeum of historically well-known literati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examined in this study can be used in music classes for historical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can also be used in character-centered music lessons. The hakgeum tradition of literati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was inherited by more literati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ts significance can be said to be meaningful in that it led to the enjoyment and development of pungryu music after the 17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