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남해만 연안지역 海陸勢力의 성장과 濟·羅의 토착사회 재편 (The Increase of Land and Sea Power in the Southern Coastal Area and Reorganization of the Aboriginal Societies in Baekje and Shilla)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15.10
50P 미리보기
남해만 연안지역 海陸勢力의 성장과 濟·羅의 토착사회 재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용봉인문논총 / 47호 / 121 ~ 170페이지
    · 저자명 : 문안식

    초록

    백제 근초고왕의 경략 이후 노령 이남지역의 마한사회는 영암 시종과 나주 반남·다시 등 오늘날의 영산강 중류지역에 해당되는 남해만(南海灣) 연안지역이 중심지로 부상하였다. 이곳의 마한집단은 6세기 중엽 이전까지 독자적인 세력권을 유지한 채 백제를 비롯하여 가야·신라·왜국 등과 교류하였다. 이들은 영산강 유역의 평양지대를 이용한 농경 활동 외에 남해만을 활용한 대외교류와 해상활동 등을 통해 경제적인 기반을 마련한 해륙세력이었다.
    남해만 연안의 남쪽지역은 근초고왕의 남정을 전후하여 시종집단이 주도권을 장악하였는데, 5세기를 거치면서 반남집단의 영향력이 확대되었다. 반남집단은 농경과 대외교류를 통한 재부의 축적 외에 백제와 상보관계를 맺고, 그 권위를 활용하여 주변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였다. 남해만 북쪽지역과 영산강 하구 일대는 함평 월야와 학교, 무안 몽탄, 나주 다시 등을 중심으로 옹관고분을 축조한 집단의 성장이 이루어졌다. 이들 중에서 다시지역 토착집단의 성장이 두드러졌는데, 6세기를 전후한 시기에 반남을 대신하여 마한사회의 중심지로 부상되었다. 다시집단은 백제와 남해만 연안지역 토착사회의 교류를 중재하고, 그 반대급부로 받은 금동관 등의 위세품을 활용하여 재지사회에 대한 영향력 확대하였다.
    백제의 금동관 등 위세품 사여를 통한 영향력 확대는 반남과 다시 및 월야 등 남해만 연안지역의 중심지에 국한되었다. 그 외곽에 자리한 함평·영암·영광·해남·담양·광주 일대는 장고분과 영산강식 석실분을 축조한 집단이 다수 존재하였다. 백제는 남해만 연안을 비롯한 노령 이남지역의 주민을 內地와 다른 外方의 부용집단으로 인식하였다.
    남해만 연안지역은 백제가 6세기 중엽 방군성제를 실시하면서 변화를 맞게 되었다. 백제는 전국에 걸쳐 37군 200현을 설치하였는데, 노령 이남지역에 14군 44현을 두었다. 남해만 연안과 주변지역은 발라군과 월나군 및 물아혜군이 들어섰다. 발라군 등의 郡治는 마한사회의 중심가 아니라 그 외곽지역에 배치되었다. 백제는 郡治와 縣治의 위치 선정을 통해 토착사회의 재편을 꾀하였다. 군치와 현치의 위치 선정은 지리적 여건도 함께 고려되었는데, 대부분 산성 내에 마련되었다. 그런데 발라군 등이 관할한 영현의 숫자는 『삼국사기』 지리지의 기록과 실제 내용 사이에 차이가 있다. 백제의 군현 관련 기록은 당시의 사정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신라의 통일과정을 겪으면서 통폐합이 이루어진 상황이 소급 정리되었다.
    또한 남해만 연안지역은 백제의 지배를 받게 되면서 사회구조와 생활방식 등에서 전면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마한 때는 여러 포구를 중심으로 활발한 대외교류 활동이 이루어졌지만, 방군성제가 실시되면서 지방통치의 거점을 성곽 내에 두는 등 행정적·군사적인 지배가 강화되었다. 지방관은 재지의 수장 중에서 선발해 임용하는 단계를 거쳐 중앙에서 파견하는 방식으로 전환되었다.
    신라는 통일 이후 전국에 걸쳐 9주제를 실시하면서 노령 이남지역에 ‘州’를 두었다. 처음에는 나주에 發羅州가 설치되었다가, 신문왕 때 광주 방면으로 치소를 옮기면서 武珍州라고 하였다. 무진주 밑에는 玄雄縣 등 직할 3현을 두어 州治 유지에 필요한 물적 및 인적 자원을 지원하게 하였고, 남해만 연안의 금산군과 반남군을 견제하는 역할도 맡겼다.
    신라는 삼국 통일전쟁을 겪으면서 호구와 경작 면적이 감소한 여건 등을 감안하여 현의 숫자를 대폭 줄인 통폐합을 추진하였다. 인구가 적은 지역은 鄕과 部曲으로 삼는 등 지방사회의 재편을 도모하였다. 신라는 통일 이후 모든 군현에 지방관을 파견하는 등 전제왕권 형성을 위한 토대를 마련해 나갔다. 신라의 지방통치는 군사제도 개편을 통해 보강되었다. 그러나 신라의 지방통치가 토착세력을 배제한 채 이루어진 것은 아니었다. 지방 출신들은 州司와 郡司 및 縣司 등의 행정에 吏가 되어 참여하였다. 또한 군현 통폐합 과정에서 대부분의 행정 치소가 산성에서 평지로 내려오게 되었다. 군현 통폐합과 치소 이동은 문무왕 때를 거쳐 신문왕 5년(685)에 이르러 9주제가 완성될 무렵 기본골격이 형성되었고, 경덕왕 때에 漢化政策을 추진하면서 지명 개명이 이루어졌다.

    영어초록

    After occupation by King Geunchogo(近肖古王) of the Baekje, as the center of Mahan in the area south of Noryong, coastal areas of Namhae Bay(南海灣) including Sijong, Yeongam, Bannam and Dasi of Naju appeared. The groups located there had exchanges with Gaya, Shilla and Japan as well as the Baekje and were independent until before the mid-6th century.
    Mahan in the coastal areas of the south sea was divided into south, north, and the Youngsan river mouth in consideration of its geographical conditions. The southern area was controlled by the Sijong group before and after conquest of the south by king Geunchogo, and the influence of the Bannam group was expanded through the 5th century. The Bannam group had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the Baekje in addition to accumulating wealth through agriculture and external exchanges and used its authority for a greater influence over the surrounding areas.
    In the northern area of the southern coast and the Youngsan river mouth, the group which built OJarcoffin tombs grew centering in Wolya and Hakgyo of Hampyong, Mongtan of Muan and Dasi of Naju. Growth in Dasi was remarkable and it was raised as a center of Mahan instead of Bannam before and after the 6th century. The Dasi group arbitrated contact with the aboriginal societies in Baekje and the southern coast, and expanded its influence over the nobility using prestige goods such as a gilt-bronze crown which was received as tribute.
    The coastal area of the southern sea changed as Baekje executed direct control over it in the mid-6th century. The Baekje established an administrative base of Gun and Hyun within their fortress. As the coastal area of the south coast was controlled by the Baekje, the social structure and living style changed greatly. Although there were active external exchanges centering on many ports in the Mahan period, as the Banggunsung system(方郡城制) was executed, administrative and military control was reinforced as: the base of local governance was placed within a fortress. Local authorities were appointed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hrough the process of appointment from the heads of the nobility.
    As Shilla established counties and prefectures(a nine province system), it established 'Ju(州)' even in areas south of Noryong. Shilla conducted the merger and abolition of Hyons(縣) in consideration of the condition that the number of houses and people and the area under tillage decreased. Also Shilla's local administration was reinforced through reorganization of its military system. However, its local administration was not made with aboriginal power excluded. Lower-level officials from local areas took part in local administ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