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기 고구려의 기층문화 연구③:通化 萬發撥子 유적의 무덤 (A Study on the Traditional and Basic Culture of the Early Goguryeo: Tomb of Tonghua Wanfabozi)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20.10
31P 미리보기
초기 고구려의 기층문화 연구③:通化 萬發撥子 유적의 무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학 / 81호 / 65 ~ 95페이지
    · 저자명 : 하문식

    초록

    통화 만발발자 유적은 혼강 상류에 위치하며, 195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조사가 진행되어 왔다. 이 유적은1997년부터 1999년까지 발굴조사되어 신석기 후기의 집터를 비롯하여 청동기~초기 고구려 시기에 이르는 무덤, 재구덩이, 구상 유구, 환호 시설과 토기, 석기, 뼈연모, 청동기와 철기 등 많은 유구와 유물이 찾아졌다.
    이 글은 만발발자 유적에서 조사된 움무덤, 돌덧널무덤, 고인돌(개석식과 적석형), 돌무지무덤(단 없는, 3 단) 등 41기에 대한 분석 결과이다.
    만발발자 유적은 구릉의 능선에 따라 동쪽과 서쪽으로 나누어지는데 동쪽에서는 무덤이, 서쪽에서는 집터와재구덩이 등 생활 유적이 조성된 것으로 밝혀져 당시에 이미 공간 분할의 개념이 있었던 것 같다. 무덤의 조성과정을 보면 낮은 지대의 움무덤부터 점차 높은 곳으로 갈수록 돌덧널무덤, 고인돌, 돌무지무덤이 축조된 것으로 밝혀졌다.
    무덤의 구조적인 면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이른 시기의 돌덧널무덤은 모난돌을 사용하여 무덤방의 벽체를단순하게 만들었지만 점차 판자돌을 이용하였는데 이러한 축조 방법은 다음 시기의 개석식 고인돌로 발전되어가는 연속 과정으로 추론된다. 돌덧널무덤과 고인돌에서는 딸린방이 조사되었는데 이것은 껴묻거리를 부장하기 위한 공간으로 보이며 당시 사람들의 내세관을 이해할 수 있다.
    움무덤에서는 묻힌 사람의 머리뼈가 없는 것이 조사되었는데 이것은 당시 사회가 복합사회 단계였기 때문에 갈등 관계에 따른 전쟁의 결과일 가능성이 있다. 묻는 방법에서는 어울무덤인(20호, 34호) 경우 묻힌 사람이 얼굴을 서로 마주보는 특이한 것도 확인되었다. 여러 사람을 여러 차례 묻기 한 움무덤(21호)과 돌덧널무덤(36호)은 핏줄을 매개로 한 가족 구성원이 한 곳에 묻힌 집단무덤으로 해석되며, 신빈 용두산과 구태 관마산무덤과 비교된다.
    만발발자 유적에서는 움무덤을 제외한 나머지 무덤에서 화장 행위가 조사되었다. 몇몇 무덤에서는 무덤방안에서 화장한 제자리 화장이 조사되었다. 이러한 제자리 화장의 장례습속은 길림 남부의 합달령 지역 고인돌, 태자하 유역의 동굴무덤과 고인돌에서도 조사되고 있어 서로 비교된다. 이러한 묻기는 뼈의 보존 문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화장은 동북지역에서 청동기시대가 되면 보편적으로 이루어져 오다가 만발발자 유적이 자리한 혼강 유역의 무덤에서는 중요한 매장 행위로 유행한다. 이것은 초기 고구려의 장례습속인훼기 습속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만발발자 유적에서는 오랜 기간 동안 다양한 유형의 무덤이 조성되었기에 여러 껴묻거리가 발굴되었다. 토기는 일상 생활에 사용되지 않고 무덤에 껴묻기된 명기를 비롯하여, 길림지역 고인돌에서 많이 찾아진 제기같은 항아리[豆形罐], 묶음 줄무늬 단지 등이 조사되었다. 그리고 36호 돌덧널무덤에서는 초기 고구려 토기의 정형성을 규명하는데 필요한 토기도 발굴되었다.
    또 압록강 중류 지역이나 혼강 하류 지역에서 주로 출토되는 변형동검이 발굴되어 문화 계승 관계를 살펴보는데 좋은 자료가 된다.
    만발발자 유적의 무덤 축조 시기는 움무덤의 경우 서기전 7세기 후반이나 6세기 초부터 서기전 4세기까지로 볼 수 있고 돌덧널무덤과 개석식 고인돌은 서기전 4세기 초에 해당되는 것 같다. 그리고 돌무지무덤은 서기전 3세기 후반 경 축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영어초록

    The site of Tonghua Wanfabozi are located in the upper valley of Hunjiang. As the result of excavation, coffin tombs, stone lined tombs, dolmens, and stone mound tombs dating from the Bronze Age to early Goguryeo were excavated. This site was divided into the living space where the ruins of the houses were excavated and the tomb space where people were buried at that time. Looking at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tombs, the coffin tombs were built in the lower area in the early days, and the stone lined tombs, the dolmens, and the stone mound tombs were built gradually toward the higher place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head bones among the coffin tombs, which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war because the society at the time was in a chiefdom society. The coffin tombs, which buried several people several times, and the stone lined tombs, appear to be a group tomb where family members are buried in one place.
    Meanwhile, other stone tombs, except for the coffin tombs, were found to be buried through cremation. In some tombs, in situ cremation was found inside the grave pit. These burial customs were also investigated in dolmens in Hadaling area in the southern Jilin, cave graves and dolmens in the Taizihe basin, and the stone graves in Liaonan region. These burial practices among them are compared and researched. The subordinate coffin,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 space for funerary objects, was found in the stone lined tombs and dolmens.
    The orientation of the head of a person buried in several tombs in the site of Wanfabozi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natural topography. Among the funerary objects were small potteries that appeared to be the mortuary gifts for being buried and those showing the formality of potteries of the early Goguryeo. More than 200 bone arrowheads were excavated from No. 21 coffin tomb, regardless of gender or age. This has to do with people's belief of afterlife at that time. Transformed-type bronze daggers, which are mainly found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Yalu River, have been excavated. They ar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succession relationship between Gojoseon and early Goguryeo.
    The materials excavated from the tombs of Wanfabozi site are important for understanding the basic culture of early Gogurye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