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만암 종헌의 생애와 활동 - 1928년 이후의 활동을 중심으로 - (Manam Jongheon’s Life and Activity - Focused on activities after 1928 -)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23.12
37P 미리보기
만암 종헌의 생애와 활동 - 1928년 이후의 활동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토학회
    · 수록지 정보 :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40호 / 9 ~ 45페이지
    · 저자명 : 김상영

    초록

    한국 근현대 불교사에서 차지하고 있는 만암 종헌(曼庵 宗憲, 1876-1957)의 위상은 너무도 뚜렷하다. 그는 백양사 중창과 호남불교 발전에 큰 공을 세웠으며, 이 시기 불교교육 분야와 중앙 교단에서도 많은 활동을 하였다. 하지만 그가 남긴 업적과 역사적 위상에 비해 만암 관련 연구는 지극히 부진한 상태다.
    필자는 이미 1927년까지의 만암 생애와 관련한 논문을 발표한 바 있으며, 이 논문은 1928년 이후의 만암 생애를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본문에서는 백양사 중창, 고불총림(古佛叢林) 결성, 교정(敎正) 및 종정(宗正)으로서의 활동 등에 관계된 내용을 상술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의 결론은 만암의 사문상(沙門像)을 크게 다섯 가지로 나누어 제시하는 것으로 대신하였다. 첫째, 만암은 종사(宗史) 인식이 뚜렷한 사문이었다. 둘째, 만암은 교육분야에 뚜렷한 족적을 남긴 사문이었다. 셋째, 만암은 가람수호의 화신과도 같은 사문이었다. 넷째, 만암은 생산불교, 반농반선(半農半禪) 불교를 실천한 사문이었다. 다섯째, 만암은 평등과 화합원융의 가르침을 몸소 실천한 사문이었다.

    영어초록

    Manam Jongheon (曼庵宗憲, 1876-1957) is a high priest who holds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Buddhis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history of the purification movement of Korean Buddhism. He greatly rebuilt Baekyangsa Temple, which was in a devastated stat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Baekyangsa Temple and Buddhism in Honam. During this period, he was also active in the central Buddhist Sangh. However, compared to the achievements and historical status he left behind, research related to Manam is extremely rare.
    I have already published a paper on Manam's life until 1927, and this paper was written with the purpose of examining Manam's life after 1928. For this purpose, the text attempted to detail the contents related to the reconstruction of Baekyangsa Temple, the formation of the Gobul Monastic Complex (古佛叢林), his activities as the Gyojeong (敎正) and the Jongjeong (宗正).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is to present Manam’s image of Sramana (Buddhist monk), divided into five major categories. First, Manam was a Sramana with a clear awareness of the order’s history. Second, Manam was a Sramana who left a distinct mark in the field of education. Third, Manam was a Sramana, who was like an incarnation as a guardian of Baekyangsa Temple. Fourth, Manam was a Sramana, who practiced production Buddhism, semi-farmer and semi-Zen Buddhism. Fifth, Manam was a Sramana, who personally practiced the teachings of equality and harmon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