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헤르만 헤세의 『싯다르타』에 나타난 벽지불과 아트만의 개성화 (A Study of Pacceka-Buddha and Ātman’s Individuation of Hermann Hesse’s Siddhartha)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22.06
20P 미리보기
헤르만 헤세의 『싯다르타』에 나타난 벽지불과 아트만의 개성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과종교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과 종교 / 27권 / 2호 / 63 ~ 82페이지
    · 저자명 : 신은희

    초록

    이 글은 헤르만 헤세(Hermann Hesse)의 『싯다르타』(Siddhartha)에 나타난 벽지불(辟支佛, Pacceka-Buddha)의 개념과 분석심리학적 개성화의 관점으로 존재의 인격 성숙과 영적 도정의 과정을 해석해 보는데 주안점이 있다. 『싯다르타』는 헤세의 내적 성찰이 반영된 자전적 작품으로 서양적 자아와 동양적 무아(無我)의 간극 사이에서 새롭게 확장된 자아의 정립과 스스로 깨달아 성취하는 해탈지견(解脫知見)을 갖춘 벽지불 싯다르타를 그려내고 있다. 이 글에서는 싯다르타의 영적 깨달음을 ‘아트만(ātman) 개성화’ 과정으로 해석하며 벽지불 싯다르타의 확장된 자아론과 불교의 무아론의 간극을 재조명 한다. 융의 분석심리학적 개념을 기초로 싯다르타의 자아 구도 여정을 ‘아트만의 4위설’(位設)의 관점에서 해석해 본다. 첫째, ‘각성위’(覺醒位)는 ‘자아의 페르소나’의 단계로 깨어있는 의식의 상태이다. 둘째, ‘몽안위’(夢眼位)는 ‘자아의 그림자’ 단계로 꿈과 환상과 같은 무의식의 내면적 성찰 상태이다. 셋째, ‘숙면위’(熟眠位)는 ‘자아의 융합 단계’로 ‘꿈 없는 잠’의 상태이다. 넷째, ‘사위’(死位)는 ‘옴과 아트만의 단계’로 모든 형태의 개별적 자아가 사라진 평정과 열반의 상태이다. 소설의 구조적 분석과 함께 벽지불 싯다르타의 아트만의 개성화 과정을 살펴보고 헤세의 형태 없는 자아 개념과 불교적 무아론과의 대화를 연결해 본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erpret the concept of Pacceka-Buddha in Hesse’s Siddhartha from a perspective of the analytical psychology especially focusing on the notion of ‘individuation of ātman.’ Siddhartha is an autobiographical work that reflects Hesse’s introspection. In this work, we look at the religio-philosophical differences between the Western self and the Eastern self-emptiness. Hesse describes Siddhartha as a ‘Pacceka-Buddha’ who achieves the ultimate enlightenment by self-realization. Based on Jung’s analytic psychological concepts such as persona, shadow, archetype, union of the opposite, the spiritual journey of Siddhartha can be viewed in relation to the perspective of ‘Ātman’s 4th position’; ‘self-awakening,’ ‘unconsciousness of dreams,’ ‘dreamless sleep, and ‘equanimity’ in which all forms of dualistic entities have been eliminated. In addition to the structural analysis of Ātman’s 4th position, we examine the process of individuation of ātman by Siddhartha(the Pacceka-Buddha) and connect the dialogue between Hesse’s ‘formless self’ and the Buddhist idea of self-annihil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학과 종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