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6세기 광양만권 주거구조의 변천양상과 지역성 (Changes and Regionality of dwelling form in Gwangyang Bay area from the 1st to 6th centurie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22.02
28P 미리보기
1~6세기 광양만권 주거구조의 변천양상과 지역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남고고학보 / 70권 / 34 ~ 61페이지
    · 저자명 : 김재훈

    초록

    전남동부지역은 기존 연구에서 마한 영역권으로 파악하고 그 변경지역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지배적이었다. 아울러 이 지역은 마한과 가야의 문화가 만나는 점이지대로 마한보다는 가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다루어지고 있어 이 지역에 살던 집단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는 소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남동부지역 가운데 고고학적 조사가 활발히 이루어진 광양만권을 중심으로 이 지역의 고대 문화상을 고고학적으로 조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광양만권에서 1~6세기 대에 조성된 주거지를 중심으로 원래의 형태를 파악할 수 있는 것과 출토유물을 대상으로 형식분류를 진행하였다. 그 후 광양만권 주거구조의 변천양상을 살펴 보고, 주변지역과 비교를 하여 이 지역이 가지고 있는 지역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이 지역은 1~4세기까지 주거구조 및 출토유물 양상은 경남서부지역과의 유사성을 보이며, 전남서부지역과는 다른 양상이다. 4세기 이후 가야, 백제, 왜 등의 세력과 교류하여 다양한 물질문화를 이루지만, 주거양식은 큰 변화가 없이 기존 전통이 유지되는 특징을 보인다. 6세기 이후 백제의 영역화과정에 의해 이 지역에 산성과 고분이 축조된다. 마한에서 백제로의 전환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며, 주거양상에서 뚜렷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는다.
    이 지역을 바라본 기존의 시각은 외부자의 관점에서 바라보았기 때문에 이 지역의 자체적인 발전을 살펴보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 지역의 문화변동을 자체적으로 점진적으로 발전하기보다는 외부 자극을 통해 이루어졌다는 견해가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이 지역 사람들의 살아온 주거공간에 대한 검토 결과 외부 자극으로 인해 문화가 급격하게 바뀐 양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오히려 내부적인 발전 과정에서 다양한 외부 문화를 선별적으로 수용하여 점진적으로 그들의 삶을 개척한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e existing eastern Jeollanam-do area was known as the territory of Mahan and was known as the border area of Mahan. In addition, there was no discussion of the groups living in this area by mentioning only the point where the cultures of Mahan and Gaya were confirmed together.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culture of this region archaeologically from the 1st to 6th centuries centering on the Gwangyang Bay area, where archaeological research was actively conducted in the eastern Jeollanam-do region. For this purpose, we tried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dwelling form identified in the Gwangyang Bay area an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culture. First of all, type classification was carried out for those whose original shape could be identified among the dwellings surveyed and those from excavated relics. After that, the changes in the dwelling structure of the Gwangyang Bay area were examined, 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is area were examined by comparing it with the surrounding areas.
    As a result, this area showed similarity to the western Gyeongnam area in terms of residential structure and excavated relics from the 1st to 4th centuries, and different aspects from the western Jeonnam area were confirmed. However, since the 4th century, various material cultures such as Gaya, Baekje, and Japan have been exchanged, but the existing tradition has been maintained without significant changes in the residential style. After the 6th century, ancient fortress were built in this area by Baekje's territorialization process and this area was integrated.
    Since the existing perspective of looking at this area looked at this area from an outsider's point of view, it was not possible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the area itself and considered that culture was changed by external stimuli. However, in the residential space where people in this area have lived, the rapid change of culture due to external stimuli has not been confirmed in actual archaeological data. In other words, the development of this region is believed to have gradually pioneered their lives as external cultures were accepted in internal development, and only the necessary parts were adopted by contact with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남고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