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감각의 확장 : 라울 하우스만의 옵토폰 (Extension of Senses: Raoul Hausmann’s Optophon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22.02
12P 미리보기
감각의 확장 : 라울 하우스만의 옵토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상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영상학회논문집 / 20권 / 2호 / 73 ~ 84페이지
    · 저자명 : 심선영, 김희영

    초록

    본 연구는 다다 작가 라울 하우스만이 1922년에 발명한 옵토폰에 주목한다. 옵토폰은 소리의 신호를 빛의 신호로 변환하거나, 빛의 신호를 소리의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이다. 제1차 세계대전의 파괴를 경험하고 바이마르 독일의 격변기를 살았던 하우스만은 전통적인 예술에서 탈피하고 현대 기술의 원리를 수용한 새로운 예술을 창작하고자 했다. 그는 인체와 감각의 한계를 직시하고 발전된 기술의 도움으로 이를 보완하고 극복하고자 했다. 그의 옵토폰 이론은 기계와 예술의 결합, 기계 예술을 통한 감각의 확장이라는 두 축을 포함하였다. 하우스만은 예술이 과학 기술과 결합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변화와 충돌 안에서 균형을 갖추고 사회의 변화를 이끌어 갈 새로운 인간을 전망했다. 옵토폰은 다양한 지각의 상호보완 작용을 활성화함으로써 예술의 경험 가능성을 극대화하려는 하우스만의 미래적인 희망을 담고 있다. 하우스만이 한 세기 전에 예견했던 예술은 기술과 결합하여 인간 경험의 한계를 극복하고 궁극적으로 세계를 인지하는 폭을 확장하는 데 기여하는 예술이었다. 본 연구는 옵토폰을 미디어 고고학적인 장으로 발굴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매체로 전개되고 있는 동시대 예술 실험의 정신적인 유산의 한 축을 드러내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Optophone invented by the Dadaist Raoul Hausmann in 1922. The Optophone is an apparatus designed to transform sound signals into light signals, and vice versa. Having gone through the devastation of the WWI and the drastic changes in Weimar Germany, Hausmann turned away from traditional art and intended to produce a new art by embracing modern technology. Being aware of the limits of the human body and senses, Hausmann aimed to overcome these limits with the aid of advanced technology. His theory of the Optophone is twofold. First, its intention is the union of machine and art. Second, it effectuates the extension of senses with machine art. Claiming the need for a new art allied with technology, Hausmann believed that new art would contribute to the birth of a 'New Man' who would lead social changes. By invoking the interaction between senses with technological aids, Hausmann wanted to maximize artistic experiences. The Optophone alludes to his pioneering vision to overcome the limits of human senses, thereby broadening our views to perceive the world. This paper intends to excavate the Optophone as a media archaeological site, from which contemporary art experiments across media are yet to draw inspi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 오후